• Title/Summary/Keyword: 연계운영 효과

Search Result 43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ffects of Multi-Reservoir Operating System Using Reservoir Operation Models (저수지운영 모형을 이용한 댐군 연계운영 효과 분석)

  • Hawng, Man-Ha;Kang, Shin-Uk;Lee, Bae-Sung;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59-2063
    • /
    • 2007
  • 장기 수자원계획시 댐군의 연계운영을 위한 물수지분석 모형으로 HEC-5 모형과 K-ModSim 모형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댐군의 연계운영 효과를 비교 평가를 수행하였다. K-ModSim 모형은 범용 우선순위 목적 선형최적화 모형으로, 조절점 및 저수지조작에 대한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는 반면, HEC-5 모형은 목적별 저수지 조작의 우선순위가 지정되며, 등가저수지 개념을 사용하여 방류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연계운영 방식의 차이는 적정한 시기에 조절점에서의 물부족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뭄발생 상황에 대한 각 모형의 연계운영효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수자원 이용환경에서 보다 합리적인 댐군의 연계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Multipurpose Dam Operation Models for Flood Control Using Fuzzy Control Technique ( III ) - Multi Reservoir Operation Methods - (퍼지제어모형을 이용한 다목적댐의 홍수조절모형 (III) - 댐군의 연계운영방안 -)

  • Shim, Jae-Hyun;Kim, Ji-Tae;Cho, Won-Cheol;Kim, Ji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4 no.3 s.14
    • /
    • pp.61-72
    • /
    • 2004
  • In this research, multi reservoir operation methods for reservoirs in Han River are proposed based on the single dam operation models using fuzzy control techniques. The result of fuzzy controled single dam operation has shown that it can improve flood controllability at the downstream of dams. Among the many control rules of fuzzy operation, a rule that shows the most effective flood control rate at the downstream has been selected as Ike operation rule. The simulated results for 1990 and 1995 flood events are compared with historical ones. As the results, it is founded that suggested models can reduce the inundation of upstream and keep the water elevation lower at downstream, which make the proposed models as the effective methods in multi reservoir operation.

A study on the method of water supply safety through the linked operation of water management facilities in Cisangkuy Basin, Indonesia (인도네시아 Cisangkuy 유역의 물관리 시설물 연계운영을 통한 이수안전도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Wan Seop Pi;Kye Won Jun;Jong Ho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04-304
    • /
    • 2023
  • Cisangkuy 유역은 인도네시아 3대 도시인 반둥시의 주요 식수원 중 하나로 Citarum 강의 1지류에 해당된다. Cisangkuy 유역은 수계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관리 주체 및 다수의 수리시설물이 존재하여 수자원의 이용 및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하천 수량의 대부분을 소수력 발전소의 발전용수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식수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량은 극히 한정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Cisangkuy 유역의 상수공급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비구조적인 대책으로써 물관리 시설물의 운영 최적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물수지 네트워크 모형인 MODSIM을 활용하여 용수이용 효율 극대화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지역의 용수이용 현황 및 물관리 시설물에 대한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고, 유역 내 물 공급/배분 현황 분석을 수행하여 용수공급체계 개선방안 수립을 위한 물수지 분석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시나리오는 크게 기존 저수지 운영효율 개선효과 검토, 저수지 상하류 신규댐 설치에 따른 연계운영 효과 검토, 극한 가뭄 발생시 연계운영 효과 검토, 관개용수 우선순위 적용에 따른 발전유량 이수안전도 검토로 구성되며, 각 시나리오별로 물수지 네트워크 모형을 구축하여 물관리 시설물 간 연계운영에 따른 이수안전도 평가를 통한 용수공급 가능량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도네시아 Citarum 상류에 위치한 Cisangkuy 유역 내 다양한 시설물의 연계운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으며, 한정된 수자원과 다양한 수요 간의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분배 및 시설물 운영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사결정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인도네시아 물산업 육성을 위해 진출 시 수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valuation of Effects of Real Joint-Operation of Multi-purpose Dams (다목적댐군의 실제 연계운영 효과 평가)

  • Kang, Min-Goo;Lee, Gwang-Man;Cha, Hyung-S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2 s.175
    • /
    • pp.101-112
    • /
    • 2007
  • In this study, a methodology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effects produced in the event of joint-operation of dams from the viewpoint of water use. It was applied to evaluating the actual results of dam operation in the Han River basin.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al joint-operation in terms of water supply and flow conditions, the methodology used the satisfaction rate of water requirement and the stability of flow conditions at the evaluation site as indicator.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joint-operation in terms of power generation, the total power generation produced by dams was used as evaluation indicator. Actual operation results were evaluated by comparison of evaluation indicators relating to single dam operation by which the notified mont of water was supplied, as well as to optimization models. Results of actual joint-operation of the Han River basin, from 2001 to 2004, were compared yearly with results from single operation and optimization model; in terms of water supply, the satisfaction ratio of water requirement stood at $94.36{\sim}99.68%$ for single operation, $97.16{\sim}99.90%$ for actual joint-operation, and 100.0 % for optimization model for all four years. The stability of flow condition was evaluated by the coefficient of river regime and coefficient of flow conditions definitely, indicating that flow conditions were more stable in case of actual operation and optimization models than in case of single operation. The actual total power generation was compared with that generated by other operation rules, indicating that the optimization model increased the power generation by $-3.47{\sim}6.54%$ compared with the actual total power generation, and that the single operation decreased the power generation amount by $12.68{\sim}38.94%$ compared with the actual total power generation.

Comparison of a Joint Operation effect between Dams using Reservoir Balancing Method (Reservoir Balancing 방법을 이용한 연계운영효과 비교)

  • Kang, Shin-Uk;Shin, Hyeon-Ho;Hawng, Man-Ha;Lee,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21-1626
    • /
    • 2009
  • 유역 내 수문학적 조건은 변화하게 되고 이러한 변화에 대처해야만 하는 유역관리자는 적절한 수자원의 운용에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수문학적 조건 변화는 갑작스런 인구증가, 산업발전 등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용수공급, 수력발전, 그리고 환경용수 등 서로 상충되는 이해관계를 조정하여 물이용의 효율성 극대화하는 범 유역 단위의 수자원 평가 및 배분이 고려되어야 한다. 더불어 정치적, 경제적, 그리고 환경목적에 부합된 새로운 수자원 개발을 위해서도 지속적인 수자원 통합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매우 중요하다. 복잡하고 다양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유역관리 대상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운영 도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 수자원계획시 댐군의 연계운영을 위한 물수지분석 모형으로 KModSim 모형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댐군의 연계운영 효과를 비교 및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KModSim 모형은 수자원배분에 관련된 물리적, 수문학적, 제도적, 그리고 행정적인 요구들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디자인된 범용 우선순위 목적 선형최적화 모형으로, 조절점 및 저수지조작에 대한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reservoir balancing 방법을 통하여 저수지별로 용수공급 분담률을 지정할 수 있어 보다 현실에 가까운 연계운영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 지원 모형들 중 네트워크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KModSim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권역에 대한 수자원평가시 댐간 연계운영을 하였을 경우와 하지 않았을 경우를 모두 수행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수자원 이용환경에서 보다 합리적인 댐군의 연계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ynergistic gains from the Real-time Coordinated Multiple Reservoir Operation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수계 실시간 댐군 최적 연계 운영의 시너지 효과)

  • Kim Sheung-Kown;Lee YongDae;Park Myung-Ky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289-29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일별 저수지군 최적연계운영 모형(CoMOM 4.0 : Coordinated Multireservoir Operating Model version 4.0)을 낙동강 수계 실시간 일별 운영에 CoMOM을 적용할 경우를 상정하여, 불확실성을 고려한 실시간 모의 운영을 수행하였다. 실시간 일 운영 시 며칠 정도의 유입량 예측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여 유입량 예측일수의 정확도 증가에 따른 연계 운영 효과를 산정해 본 결과, 전반적으로 과거 실적치에 비하여는 좋지만, 예측일 수가 늘어남에 따라 수계 내 연간 평균 저수량은 감소하는 대신 평균 발전량은 증가하여, 연계운영 총체적 효과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미래 유입량을 전혀 예측하지 못할 경우에는 일평균 유입량을 예측 유입량으로 하여 실시간 댐군 연계모의운영을 하였고, 그 경우에도 여수로 방류로 인한 수계 외 유출을 연 평균 약 214백만$m^3$ 정도 감소시키는 반면, 수계 내 전체 댐 군의 평균저수량을 55백만$m^3$ 증가 시키며, 연간 평균 발전량은 25GWh (약 22.5억원/년의 추가 발전수입) 증가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Multi-Reservoir Operation for Flood Control of the Youngsan River System (홍수시 영산강 수계 댐 군의 연계운영에 관한 연구)

  • Ji Byeong Geor;Roh Jung Hwan;Jun Kyung Soo;Lee Jae 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466-1470
    • /
    • 2005
  • 영산강 수계의 담양댐, 광주댐, 장성댐 및 나주댐 등 댐 군의 연계운영에 의한 홍수조절 효과를 검토하였다. 각 댐의 운영방안으로는 Rigid ROM을 적용하였으며, 댐 방류수의 홍수추적을 위하여 부정류 계산모형을 적용하였다. 200년 빈도 홍수수문곡선을 대상으로 하여 Rigid ROM의 매개변수인 각 댐의 일정 방류율을 변화시켜가며, 각 댐 하류 하천의 합류점 등 주요 지점에서의 유량 수문곡선을 구하여 비교하였다. 전반적으로 각 댐의 방류 능력이 낮아 일정률을 크게 할 경우 Rigid ROM에 따른 방류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각 댐의 배수유역 면적이 작은 관계로, 일정률의 변화에 따른 최대 방류량의 차이가 각 댐하류 유역 유출량에 비하여 매우 작아 Rigid ROM을 적용할 경우에는 연계운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udy for Operation of Water Resources in Cisangkuy Basin of Indonesia (인도네시아 Cisangkuy 유역 수자원 운영에 대한 연구)

  • Kim, Tae Won;Kim, Sung Man;Putuhena, Willam M.;Ko, Ick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57-561
    • /
    • 2016
  • 인도네시아는 수자원을 관리하는 기관이 총 9개 부처이지만 지역 단위로 가면 각각의 에이전시가 존재하는 등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및 운영 기술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인도네시아 국립 수자원연구소(PusAir, Puslitbang Sumber Daya Air)와 공동으로 Cisangkuy 유역 내 다양한 시설물의 연계운영 효과를 분석하여, 한정된 수자원을 다양한 수요처에 원활히 공급함으로써, 지역민과 관리기관간의 이해관계를 해소하고 최적의 수자원 활용방안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isangkuy 유역 내 Cisangkuy 강 상류부의 기존 수력 댐 운영과 상수량 증대를 위해 계획 중인 신규댐에서의 추가용수 공급을 고려한 연계운영 효과분석을 수행하여 수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Cisangkuy 유역에 대하여 현재 용수체계에 대한 모형의 적정성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기존 수력댐 저수지 시스템 운영효율에 대하여 물수지분석을 검토한 결과, 현 운영체계보다 최적 운영시 수력발전소 발전용량이 증가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와 같은 모형 구축자료는 현재 Cisangkuy 유역에 대하여 체계적인 운영방안이 없는 상태에서 대상유역 내 다양한 시설물 연계운영효과 도출을 위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국내 연구진들이 향후 인도네시아 수자원활용 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 활용측면에서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coordinated operation technique with weirs in the Yeong-san River for algal bloom reduction (조류저감을 위한 영산강 보의 연계운영 기법 개발 연구)

  • Chong, Sun-A;Yi, Hye-suk;Park, Sang-young;Ko, Chun-ju;Ryu, Kyung-k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78-478
    • /
    • 2016
  • 4대강 다기능 보 건설 이후 보 내에서 발생하는 녹조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댐-보 및 보-보간 연계운영 기법은 수량을 이용하여 대규모 구간에 걸쳐 효과적으로 조류를 저감시킬 수 있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수계 승촌보와 죽산보를 대상으로 조류저감을 위한 다기능보 연계 운영 시나리오에 대해 2차원 모델링을 이용하여 효과를 분석하고 향후 조류저감을 위한 가동보 운영방안 수립에 적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시뮬레이션 기간은 2014년 7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 남조류가 다량으로 발생하였던 시기를 모의기간으로 하였다. 분석시나리오는 최근 낙동강에서 적용된 바 있는 pulse형 방류를 실시하여 수체내에 유속과 난류를 증가시키되 승촌보와 죽산보를 연계하여 순차적인 방류와 담수를 반복하는 형태를 가정하였다. 또한 방류 규모에 따라 수위 저하범위를 0.3~2 m로 차등 적용하여 조류저감 효과를 예측하였다. 예측결과 소수력 발전방류를 이용한 pulse형 방류 연계운영 CASE에서는 최대 승촌보 3.8% 죽산보 8.4%의 저감 효과가 예측되었다. 반면 소수력과 수문방류를 동시에 이용하여 수위 저하범위를 크게 적용하는 CASE에서는 승촌보에서 최대 12.5%, 죽산보 4.7%의 저감율로 방류규모 증가에도 불구하고 죽산보의 저감율은 증가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상대적으로 저수량이 큰 죽산보에서 큰 폭으로 수위를 저하시킬 경우 수위회복 기간이 길어지고 이 시기에 조류가 성장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조류의 발생 규모와 공간적 분포, 보별 유입지류 유입특성과 저수량 등 조류발생에 관련된 다양한 인자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효율적인 운영방안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mproved water hazard warning system using small radar (최적관측을 위한 소형레이더 연계운영 기법 개발)

  • Han, Myoung-sun;Jang, Bo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84-184
    • /
    • 2018
  • 도시의 발달에 따라 도심유역 홍수 도달시간이 점점 짧아지고 있다. 이러한 돌발홍수를 효과적으로 관측하기 위해 소형레이더가 각광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 수도권에 2개의 소형레이더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들 레이더의 경우 개별 차폐분석을 퉁해 운영하고 있어 관측효율이 낮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통합 차폐분석이 필요하다. 이 결과 좀더 저고도 관측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정확한 강우관측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각각 레이더의 차폐 분석과 2대를 연계한 통합차폐 분석결과를 제시하고 통합운영을 위한 최적 관측고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