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계시험기

Search Result 15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esign and Application of MW ESS Connected with Renewable Energy Source (신재생에너지 연계형 MW급 ESS 설계 및 적용)

  • Heo, Nam-Eok;In, Dong-Seok;Kwon, Byung-Ki;Lee, Myung-Jun;Kwon, Yong-Hyo;Hong,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11a
    • /
    • pp.95-9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KEPCO가 신안 팔금도에서 진행 중인 능동배전망 운영실증 관련 2MW급 태양광발전 출력 안정화, 비상발전기, 계통 역률제어 등이 가능한 1MW/1MWh급 ESS의 설계 및 적용 결과를 기술하였다. 1MW/1MWh급 ESS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시스템 보호를 위해 공조설비 및 소방설비를 포함한 컨테이너에 ESS 관리 및 제어를 위한 PMS, 전력변환을 위한 PCS, 에너지 저장을 위한 배터리 시스템 등을 구성하였다. 또한 배전선로에 ESS 시스템 연계를 위해 변압기, 스위치기어 등의 계통연계설비를 함께 구성하였다. MW급 대용량 전력 시험설비를 이용하여 1MW/1MWh급 ESS의 다양한 기능 및 성능을 검증 후 신안 팔금도 현장에 적용하였다.

  • PDF

Hydrogen production by plasma pyrolysis-gasification of waste (폐기물의 플라즈마 열분해-가스화에 의한 수소생산)

  • Lee, Jin-Ho;Kim, Young-Suk;Do, Chul-Jin;Hwang, Soon-Mo;Jeong, Seong-Jae
    • New & Renewable Energy
    • /
    • v.3 no.4
    • /
    • pp.77-89
    • /
    • 2007
  • 폐기물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열분해-가스화-용융 처리공정은 청정연료 형태로 정화된 합성가스를 얻을 수 있고, 이 합성가스를 WGS 반응과 PSA 공법을 이용하면 고순도 수소로의 전환 및 회수가 가능하다. (주)애드플라텍에서는 자체 보유하고 있는 3톤/일급 플라즈마 폐기물 처리설비와 수소 정제/회수시스템을 연계하여, 페기물로부터 고순도 수소 생산($20Nm^3/h$이상)을 위한 플라즈마 폐기물 처리 추소 생산 통합시스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합성가스 내 질소 농도를 낮추기 위해 산소를 매질로 하는 100kw급 산소 플라즈마 토치를 제작하였다. 수소 정제/회수 시스템은 폐기물의 플라즈마 처리 후의 합성가스 생성량과 조성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WGS 반응기로 들어가는 합성가스를 가스 컴프레서를 통하여 최대 10기압으로 승압시키고, 고농도 일산화탄소의 효과적인 제거 및 열 회수 극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최적의 가스처리 시스템으로 구현되도록 하였다. 설치 완료된 WGS 반응기의 성능시험을 플라즈마 처리설비와 연계하여 수행하였다. 합성가스 내 각각 34%와 25%의 일산화탄소 및 수소의 농도가 WGS 반응기를 거친 후, 일산화탄소는 0.1% 미만으로 제거되었으며 수소는 44%로 증가하여 WGS 반응기의 성능 수준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차기 년도에 설치/가동 예정인 수소 생산용 PSA는 최대 10기압 운전 및 상압재생 방식으로 운전되며 생산된 수소는 최소 99.99%이상의 고순도를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an Igniter for Pyrostarters (파이로스타터용 점화기 개발)

  • Park, Ho-Jun;Hong, Moon-Geun;Kwon, Mi-Ra;Lee, Soo-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49-152
    • /
    • 2009
  • A pyrostarter is a sort of gas generator, which supplies the energy to drive turbines by the combustion gas of a solid propellant charged internally. The igniter of the pyrostarter should guarantee the ignition reliability expecially for the solid propellant with a low fame temperature. For the development of the igniter, several closed bomb testes have been performed to decide several design parameters to get a sufficient chamber pressure build-up for the ignition. Moreover, as a result of the firing testes with pyrostarters, the ignition reliability have been verified and the amount of igniter propellants has been reviewed.

  • PDF

Characteristics of Saturation and Circulating Current Based on Winding and Iron Core Structure of Grid-connected Transformer in Energy Storage System (ESS 연계용 변압기의 결선방식 및 철심구조에 따른 순환전류와 포화특성에 관한 연구)

  • Tae, Dong-Hyun;Lee, Hu-Dong;Kim, Ji-Myung;Rho, Dae-Se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4
    • /
    • pp.39-48
    • /
    • 2020
  • Since the fire accident of ESS (energy storage system) occurred at Gochang KEPCO Power Testing Center in August 2017, 29 fire cases with significant property losses have occurred in Korea. Although the cause of fire accidents have not been identified precisely, it should be considered battery and PCS (power conditioning system) as well as unbalance issues in the distribution system. In particular, circulating currents in a neutral line of a grid-connected transformer, which can affect a magnetized current, may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ESS with unintentional core saturation and surge voltages at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e modeling of the distribution system, which was composed of a substation, grid-connected transformer, and customer loads using PSCAD/EMTDC S/W, to analyze the phenomena of circulating current and surge voltages of the transformer with unbalanced currents in the distribution system. This paper presents a countermeasure for a circulating current with the installation of NGR (neutral grounding resistor) in grid-connected transformer. From the simulation results, it is clear that exceeding the circulating current and surge voltage at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can be one of the causes of fire accidents.

Performance Analysis of load simulator interconnected with Power Quality Compensator (전력품질 보상기와 부하모의장치의 연계시험 분석)

  • Bae, Byung-Yeol;Cho, Yun-Ho;Park, Yong-Hee;Han, Byung-Moo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2 no.1
    • /
    • pp.89-97
    • /
    • 2007
  • This paper describes a load simulator with power recovery capability, which is based on the voltage source converter-inverter set. The load simulator can save the electric energy that should be consumed to test the operation and performance of the power quality compensator and the power equipment. The load simulator consists of a converter-inverter set with a DSP controller for system control and PWM pulse generation. The converter operates as a universal load to model the linear load and the non-linear load, while the inverter feed the energy back to the power source with harmonic compensation. the performance of proposed load simulator was analyzed with scaled-model experiment, interconnected with the active power filter. Th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s that the proposed load simulator can be utilized to test the performance of active power filter.

Hydrogen production by plasma pyrolysis-gasification of waste (폐기물의 플라즈마 열분해-가스화에 의한 수소생산)

  • Lee, Jin-Ho;Kim, Young-Suk;Do, Chul-Jin;Hwang, Soon-Mo;Jeong, Seong-Ja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627-632
    • /
    • 2007
  • 폐기물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열분해-가스화-용융 처리공정은 청정연료 형태로 정화된 합성가스를 얻을 수 있고, 이 합성가스를 WGS 반응과 PSA 공법을 이용하면 고순도 수소로의 전환 및 회수가 가능하다. (주)애드플라텍에서는 자체 보유하고 있는 3톤/일급 플라즈마 폐기물 처리설비와 수소 정제/회수시스템을 연계하여, 폐기물로부터 고순도 수소 생산 ($20Nm^3/h$ 이상)을 위한 플라즈마 폐기물 처리 수소 생산 통합시스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합성가스 내 질소 농도를 낮추기 위해 산소를 매질로 하는 100kW급 산소 플라즈마 토치를 제작 하였다. 수소 정제/회수 시스템은 폐기물의 플라즈마 처리 후의 합성가스 생성량과 조성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WGS 반응기로 들어가는 합성가스를 가스 컴프레서를 통하여 최대 10기압으로 승압시키고, 고농도 일산화탄소의 효과적인 제거 및 열 회수 극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최적의 가스처리 시스템으로 구현되도록 하였다. 설치 완료된 WGS 반응기의 성능시험이 플라즈마 처리설비와 연계하여 수행되었으며 WGS 반응기를 거친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1.5% 미만으로 분석되었다. 차기 년도에 설치/가동 예정인 수소 생산용 PSA는 최대 10기압 운전 및 상압재생 방식으로 운전되며 생산된 수소는 최소 99.99%이상의 고순도를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Development of Grid Connecting Power Conditioning System for 250kW Fuel Cell Systems (250kW급 연료전지용 전력변환기 개발)

  • Jung Hong-Ju;Lee Jeong-Min;Chung Joon-Mo;Suh In-Yo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6.06a
    • /
    • pp.185-187
    • /
    • 2006
  • 본 논문은 신 발전 방식들 중 하나인 용융탄산염형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국산화연구와 관련하여, 연료전지로부터 생성된 전력을 전력계통에 안정되게 변환, 주입하기 위한 계통연계형 전력변환기를 제작하고 단위기기별 성능 시험을 수행한 결과이다. 250kW급 전력변환기의 구조 설계와 단위기기 설계는 250kW급 용융탄산염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정격 사양 및 스택의 운전 형태를 시뮬레이션 하여 진행되었으며, 크게 DC/DC 컨버터부와 DC/AC 인버터부의 회로로 구성된다.

  • PDF

The Design of Grid Connecting Power Converter for 100kW Fuel Cell Systems (100kW급 연료전지용 전력변환기 설계)

  • Jung, Hong-Ju;Chung, Joon-Mo;Kwon, Hyoung-Nam;Song, Jong-Hwan;Lim, Hee-Cheon;Ahn, Kyo-Sa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b
    • /
    • pp.1217-1219
    • /
    • 2003
  • 신 발전 방식들 중 하나인 용융탄산염형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개발과 관련하여, 연료전지로부터 생성된 전력을 전력계통에 안정되게 변환, 주입하기 위한 계통연계형 전력변환기를 설계하고 단위기기별 성능 시험을 수행한 결과이다. 100kW급 전력변환기의 구조 설계에 있어서는, 100kW급 용융탄산염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정격 사양 및 스택의 운전 형태에 따라 새로운 시뮬레이션 결과의 검토를 통해 DC/DC 컨버터부, 정류부, 인버터부의 회로 구성을 확정하고, 각 부에 사용될 소자들을 연료전지 출력 및 운전 사양에 맞게 설계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ll-In-One Type Energy Storage System(ESS) for Distribution Network (배전용 일체형 에너지저장장치(ESS) 개발)

  • Park, Minjun;Seo, Jungwon;Hwang, Kwangkyu;Park, Juhyun;Jang, Jeahoon;Kim, Heej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302-303
    • /
    • 2017
  • 본 논문에는 250KW급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이용한 일체형 배전용 계통연계 전력변환 장치를 제안한다. ESS는 전력 불안정에 따른 전력 손실을 줄이고 여름과 겨울, 낮과 심야시간의 전력수요 차이로 인한 전력수습의 불안정을 조절할 수 있는 최적의 수단이다. 제안된 배전용 일체형 ESS란 수용가 및 분산형 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에 연결되어 조화롭고 안정적으로 운전될 수 있는 전력변환 장치이다. 충전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계통으로 보내기 위하여 배전선로 전압제어기술(Statcom) 개발과 분산형 전원의 유 무효 전력제어, 역률 보상기(PF) 등의 기능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프로토 타입 및 현장 시험을 이용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Processing and Pressure Test of Filament Wound Composite Pressure Vessels for Oxygen Tanks (복합재료 산소 압력용기의 성형 및 내압 시험)

  • 황병선;김병하;김병선;박승범;엄문광
    • Composites Research
    • /
    • v.14 no.3
    • /
    • pp.10-17
    • /
    • 2001
  • A reseach was peformed to develop composite pressure vessels in conjunction with design, fabrication, and test. Fiber pattern and angels were decided by CADFIL software and they were [$liner/15^{\circ}/15^{\circ}/90^{\circ}/18^{\circ}/90^{\circ}/21^{\circ}/21^{\circ}/90^{\circ}$]. Fabrication of bottles were done by 5-axis filament winding machine. During fabrication fiber optic sensors were embedded to measure the strain at points when internal pressure was applied by water pump. Conventional strain gage instrumentation showed the stable test results. The test results were compared to finite element analysis results and they were close each other in strain values. One can see the successful design and fabrication of single boss composite vesse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