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계성 지수

Search Result 17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ricing an Outside Barrier Equity-Indexed Annuity with Flexible Monitoring Period (배리어 옵션이 내재된 지수연동형 보험상품의 가격결정)

  • Shin, Seung-Hee;Lee, Hang-Suck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16 no.2
    • /
    • pp.249-264
    • /
    • 2009
  • Equity-indexed annuities(EIAs) provide their customers with the greater of either the return linked to the underlying index or the minimum guaranteed return. Insurance companies have developed EIAs to attract customers reluctant to buy traditional fixed annuities because of low returns and also reluctant to buy mutual funds for fear of the high volatility in the stock market. This paper proposes a new type of EIA embedded with an outside barrier option with flexible monitoring period in order to increase its participation rate. It also derives an explicit pricing formula for this proposed product, and discusses numerical examples to show relationships among participation rate, barrier level, index volatility and correlation.

A Study on Improvement of throughput-linked Port Development (Trigger Rule) System (물동량 연동 항만개발제도 개선방안 연구)

  • LEE, Su-Young;LEE, Na-You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9 no.3
    • /
    • pp.179-189
    • /
    • 2023
  • Korea's port development adjusts the completion time and size of port facilities according to the future port throughput. The current port development system, which is referred to as "throughput-linked port development (Trigger Rule)", has received positive evaluation for efficiently executing the limited port development budget. Recently concerns have been growing over deteriorating service levels in port facilities in Korea due to accelerated aging of terminal facilities. However, the current port development system does not possess any standard for assessing the level of service and utilizing development indicato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alculate the Port Service Index (PSI) by selecting indicators to measure the Level of Service (LOS) of ports and deriving weights between the indicators, so that the current "throughput-linked port development (Trigger Rule)" can be linked with the level of service.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on a variety of preceding studies, the ship waiting rate, berth productivity, ship turnaround time and ship productivity were selected as four indicators to constitute the Port Service Index. The AHP and entropy methodologies were used to derive weights for each of four indicators which were later combined to calculate the comprehensive weight. The calculation formula of the Port Service Index (PSI) was derived by using the aggregated weights of each indicator, based on which the LOS of domestic container and bulk terminals were evaluated and this measurement result was divided into 6 classes to define each LOS. This paper contributes to draw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port development system that are able to connect the quantitative indicator of throughput, as well as a qualitative indicator of the level of "service".

The Connectedness between Categorical Policy Uncertainty Indexes and Volatility Index in Korea, Japan and the US (한국, 일본, 미국의 정책별 불확실성 지수와 변동성지수 간의 연계성)

  • Hangyong Lee; Sea-Gan Oh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 /
    • v.14 no.4
    • /
    • pp.319-330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nectedness between categorical economic policy uncertainty (monetary, fiscal, trade and foreign exchange policy uncertainty) indexes and option-implied volatility index in Korea, Japan and the U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paper employs the Diebold-Ylmaz (2012) model based on a VAR and generalized forecast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This paper also conducts regression analyses to investigate whether the volatility indexes are explained by categorical policy uncertainty indexes. Findings - First, we find the total connectedness is stronger in Korea and Japan relative to the US. Second, monetary, fiscal, and foreign exchange policy uncertainty index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rade policy uncertainty index is not. Third, the volatility index in Japan and the US is mainly associated with monetary policy uncertainty while the volatility index in Korea is explained by fiscal policy uncertainty index.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the connectedness among categorical policy uncertainty indexes and the volatility index in Korea, Japan, and the US. The empirical results on the connectedness suggest that transparent policy and communication with the market in one type of policy would reduce the uncertainty in other policies.

Correlation Analysis of SPI and Water Quantitiy Stress (표준강수지수와 수량 스트레스 관계분석 연구)

  • Hong, Seungjin;Kim, Gil Ho;Kim, Kyung Tak;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47-34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에 발생한 가뭄 분석을 위해 표준강수지수를 활용하였으며, 가뭄분석을 위해 한강유역에 실제로 발생한 가뭄사상 중에 한강유역에 조금 더 많은 피해를 미친 것으로 조사된 2000 - 2001년에 대해 가뭄과 수량 스트레스 관계를 살펴보았다. 수량 스트레스값은 강수에만 영향을 받고 있는 값보다는 실제 가뭄 피해의 영향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수량 스트레스의 결과값과 상호 비교하였다. 이는 실제 발생한 기상학적 가뭄으로 인한 피해가 수량 스트레스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가뭄 피해 발생 시기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표준강수지수 SPI3, SPI6, SPI12을 분석하기 위해 2000년 1월 - 2001년 12월까지의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이와 함께 수량 스트레스의 경우 월별 최대 NDI 값을 추출하여 월단위 자료를 구축하였다. 표준강수지수와 NDI 값을 상호 비교한 결과 2000 - 2001년에 발생한 가뭄 사상의 경우, 실제 피해가 발생한 시점은 2001년 3월 - 5월에 발생한 동아시아 지역의 가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강유역의 대부분에서 수량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시기와 SPI3로 인한 가뭄 발생시기가 유사한 패턴으로 나타났다. SPI6와 비교분석해본 결과 기존 SPI3에서 나타낸 2001년 5월에 발생된 가뭄 발생은 실제 수량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2001년 5월 이후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제 수량 스트레스 발생 시기와는 상관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PI12에서는 대부분의 유역에서 2000년에는 가뭄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한강유역에 발생한 가뭄 피해를 생각해보면, 2001년에 발생한 가뭄 자체가 단기적인 가뭄의 영향이 아닌 장기적인 가뭄의 영향을 띄고 있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으며, 2000년대 초반 극심한 가뭄 피해를 입힌 2001년 가뭄은 지속적인 가뭄 동반한 장기 적 가뭄 피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수량 스트레스와 가뭄을 연계하여 가뭄 해석에 활용한다면, 추후에 좀 더 정확한 가뭄 피해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ioritization of Intermodal Transportation Facilities with Considering the Budget Rate Constraints of Focal Terminal Types (교통물류거점유형별 예산비율을 고려한 연계교통시설 투자우선순위 분석)

  • Oh, Seichang;Lee, Jungwoo;Lee, Kyujin;Choi, Keech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4D
    • /
    • pp.361-368
    • /
    • 2010
  • It is general that mostly congested sections of national backbone networks have been improved based on the national network expansion plan. However, in case of intermodal terminals which are origins of logistics, it is still so congested that travel time between origin and destination is long. Therefore, intermodal transportation systems plan of major intermodal terminals for the intermodal connector networks between intermodal terminal and national backbone network or intermodal terminal was established. With the limitation of priority methodology applying to intermodal connector facility under existing methodology, this study suggests an improved priority methodology. This study includes characteristics of terminal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assessment list, but it does not concentrate on the specific terminal type through survey. To avoid a certain concentration, budget constraint for each terminal type was considered ahead of priority. Finally priority methodology was developed with two-step assessment under consideration that specific terminal is not involved in intermodal connector facility project. As a result of calculating weights by survey, effects such as d/c and accessibility fluctuations index through project implementation gain high weight, and degree of region underdevelopment gets next. Although the methodology in this study could not yields the priority by assessment list, it will be useful for setting the direction on policy related to intermodal connector facility projects.

Examination of Applicability of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to Seismic Vulnerability Evaluation of the Korean River Levees (액상화 가능 지수의 국내 하천제방 지진취약도 평가 적용성 검토)

  • Ha, Iksoo;Moon, Injong;Yun, Jungwon;Han, Jintae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8 no.4
    • /
    • pp.31-40
    • /
    • 2017
  • In this study, a simple method to evaluate the seismic vulnerability of river levees was examined consider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river levee, that is long, an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 of river levee that performs temporary function against flood but is a permanent structure in the ordinary way. Considering the fact that one of the main failure modes of the levee during the earthquake are the settlement due to the strength reduction of the ground caused by the increase of the excess pore pressure in the levee body and foundation and the settlement due to liquefaction, the 2-dimensional section of the levee was regarded as the 1-dimensional section and the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LPI) for the regarded section was estimated. The estimated LPI was correlated with the seismic vulnerability of river leve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lacement of the levee crest caused by the earthquake and the seismic vulnerability of the levees was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placements of the levee crest computed by 2-dimensional dynamic coupled analyses and LPIs based on the results of 1-dimensional seismic response analyses was investigated. In connection with this correlation,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LPI and the seismic vulnerability of the levee, it was concluded that the method for evaluation of the seismic vulnerability of the Korean river levee using LPI is applicable.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well Wave Accid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s in the East Coast (동해안 너울 사고 특성 분석 및 대응방안 수립)

  • Hwang, Soon-Mi;Oh, Hyeong-Min;Kang, Tae-Soon;Nam, Soo-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0 no.6
    • /
    • pp.235-241
    • /
    • 2018
  • In this study, we collected cases of accidents caused by swell in the east coast of Korea from 2013 to 2017. The location of the accident, the season, the type of coast and the type of damage were classifi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cident and the wave data was analyzed by collecting the observation data of the nearby area at the time of the accident. Also,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astal disaster vulnerability assessment of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the vulnerability grades of swell accidents area were evaluated. In swell accident area, the average grade of the wave exposure index was 4.91, the wave sensitivity index was 3.87, and the wave impact index was 4.90. As a result, most of the swell accidents occurred in the 5 grade (very vulnerable level) of the wave impact index, and the area of the east coast (78.7%) of the same 5 grade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according to the wave sensitivity index result. Finally, a countermeasures was taken for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Evaluation of regulating gate impact in small agricultural watershed using coupled SWAT-CFD models (유역-전산유체역학 연계 모형을 이용한 농촌 소유역 하류의 제수문 영향 평가)

  • Kim, Dong Hyeon;;Kim, Da-Yun;Jang, Tae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3-473
    • /
    • 2021
  • 새만금 유역의 하류 평야지대는 농업 관개 및 배수가 제수문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상류 축산밀집시설에 따라 농업 비점오염원 유입이 수계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유역의 하류 제수문을 대상으로 유역 모형과 전산유체역학 모형을 이용하여 유입, 유출 그리고 오염원 등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은 유역 모형으로 수문순환 및 비점오염원을 모의하기 위해 개발한 모형이다.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는 구조물을 설계하고 유체, 기체 등의 역학을 모의할 수 있다.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농촌 소유역을 대상으로 하류 제수문 위치를 출구로 지정하여 수문을 모의하고 그 결과자료는 CFD에 입력할 수 있다. CFD는 하류 제수문 구조물을 설계하고 SWAT 모형의 수문자료를 입력하여 제수문의 유입 및 유출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 SWAT 모형 구축을 위해 2015-2018년까지 기상, 수위, 유량 관측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보정기간과 검증기간은 각 2년이며, 모형 성능 검증에 사용한 적합성 평가 지수는 R2 (Determine coefficient), RMSE (Root mean square error), 그리고 NSE (Nash-sutcliffe efficiency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모형의 보정은 SWAT-CUP 자동보정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모형의 보정지수는 NSE를 사용하였고, 1,000회 반복 수행을 통해 매개변수를 최적화하였다. CFD 모형은 제수문의 실제 규격을 바탕으로 동일한 구조를 고려하였으며, 수문조작을 고려하여 유입 및 유출을 모의하였다. 본 연구는 유역차원과 구조물 차원의 모델링을 연계하는 것으로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급격히 변화하는 유역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제수문 시설을 관리하는 기관에서도 합리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zing Soundness of Paldang Watershed Considering to Water Quantity and Water Quality (수량과 수질 지표를 연계한 팔당유역 건전성 평가)

  • Park, Su Hee;Kim, Da Ye;Maeng, Seu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43-143
    • /
    • 2020
  • 수도권에 용수를 공급하는 팔당유역은 경제, 사회, 환경적으로 매우 중요한 공공의 자산이며, 이러한 자산을 누리는 데에 이어 국민 모두가 공평한 혜택을 받을 필요가 있다. 수량과 수질의 만족도는 곧 지역민들의 복지이며, 복지는 삶의 질을 높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팔당유역에서는 인간의 개발행위로 인해 하천과 생태계의 지속적인 훼손과 방치가 발생하며, 팔당유역에 대한 수도권과 지역주민들의 사회적, 문화적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수자원의 안정적인 확보와 하천의 자연성 회복을 위해 유역 건전성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팔당유역 수량과 수질의 평가지표에 대한 과거 10년 동안의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SPSS를 통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이용해 가중치를 산정한 후 각 하천에 대한 유역 건전성 지수산정과 등급평가를 하여 표준유역 규모의 하천 변화 정도에 대한 상세평가를 통해 지역별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량에 대한 기초자료는 TANK모형을 통해 자연유출량을 산정 후 관측유량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수질에 대한 기초자료는 물환경정보시스템을 통해 수집하였다. 기초자료를 기반으로 왜곡된 자료의 정규성 확보 및 표준화를 수행하고,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적합성 검토를 통해 최종지표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지표를 주성분 분석에 의한 가중치, 엔트로피에 의한 가중치를 산정하여 비교 후 최종 가중치를 선정하였다. 유역 건전성의 최종평가를 위해 가중치와 지표를 이용하여 지수산정 및 등급화를 실시하였다. 유역 건전성의 등급화를 통해 연도별 하천환경의 변화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하천의 가치 보전과 개발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하천기본계획 수립 시 기초정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utomatic Discharge Measurement Using the Velocity Index Method (유속지수법을 이용한 자동유량측정)

  • Kim, Chi-Young;Kim, Won;Lee, Chan-Joo;Kim, D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42-246
    • /
    • 2006
  •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유량측정 분야의 큰 변화의 방향은 자동화이다. 전자, 전기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을 유량측정 분야에 적용하여 자동적으로 유량측정을 수행하고 실시간으로 모든 유량자료를 수집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최근에 초음파 유량계와 더불어 자동 유량측정 기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기법이 유속지수법(index velocity method)이다. 유속지수법의 원리는 매우 간단하다. 수위 기록을 통하여 수위-면적 관계로부터 흐름 단면적을 구하고, 임의의 영역에서 측정된 유속이 단면 평균 유속으로 환산될 수 있다면, 흐름 단면적과 평균 유속에 의해 연속적으로 유량을 구할 수 있다. 유속지수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전체 평균 유속을 대표할 수 있는 유속지수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유속지수법에 의한 연속 유량측정 목적으로 최근에 ADVM(Acoustic Doppler Velocity Meter)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ADVM은 수중에 초음파를 발사해서 산란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의 주파수 편이, 즉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ADVM을 괴산댐 하류에 위치한 시험하천에 설치하여, 유속지수법에 의한 유량측정기법을 적용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속지수법으로 측정된 유량을 괴산댐 방류량과 비교한 결과 평균 4.0%의 상대오차를 지니고 있어 비교적 정확한 연속 유량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유속지수법을 하천 유량측정에 활용하면 보다 정확한 유량을 연속적으로 자동화하여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연계모형의 한계로 인하여 두 모형의 통합모형이 필요하다. 즉, 강우 혹은 월류유량으로 발생한 지표유량 중 일부분이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유입구 지점을 통과할 때 배수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고, 유입된 유량은 배수시스템 내의 흐름에 반영되도록 배수시스템과 침수해석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표면과 배수시스템에 대한 수리학적 관계를 정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시스템 해석 모형과 도시침수해석 모형을 통합하고, 두 모형간의 유량의 전송과정을 수리학적 관계를 고려한 dual-drainage 도시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지역 배수시스템 해석 모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SWMM모형을 이용하여 지표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