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결운항

Search Result 71, Processing Time 0.062 seconds

자율운항선박 플랫폼 개발을 위한 항해정보 분석에 관한 연구

  • An, Yeong-Jung;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232-233
    • /
    • 2019
  • 자율운항선박 개발은 해운분야의 새로운 발전 동력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관련 기술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특히 선박과 육상 간 통신기술 기반의 정보 연결성(connectivity)은 자율운항선박의 실현에 있어 중요한 연구 분야이며, 단위기능 제공에 한정되어 있는 항해 장비 간 통신까지 포함된다. 그러나 수집되는 항해정보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이용 및 관리할 수 있는 선내 플랫폼(Platform) 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항해장비의 연결성을 향상시키고, 원격운항과 자율운항 선박에 적용될 수 있는 항해정보관리 플랫폼의 기능 및 구조설계와 정보처리에 대한 프로세스 제안을 위한 선행연구로 항해 장비들의 취득정보를 분석하였으며, 응용서비스 및 보안관리에 필요한 정보사항과 기능을 정의하였다. 항해정보관리에 한정 하여 수집되는 정보들에 대해 분석하였으나, 선내 플랫폼 개발의 기초 연구가 될 것이다.

  • PDF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신호 변환기 & 에뮬레이터 개발

  • 박규성;옥경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84-185
    • /
    • 2023
  • 육상의 원격제어자가 선박을 제어할 때 가상의 모형선박이 같이 조종되도록 하여, 운전상태의 확인을 도울수 있도록 하고, 시험운항시 에뮬레이터를 선박에 연결하여 원격운전데이터의 시각적 확인이 될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더넷의 디지털데이터가 아날로그로 변환된후 커넥터로 케이블을 연결할수 있도록 하여,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를 가진 선박의 장비가 제어가 될수 있는 예시를 보여준다.

  • PDF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과 표준개발을 위한 협력체계의 구축 및 활용

  • Jeong, Tae-Hwan;Lee, Da-Hui;Park, Han-Seon;Park,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149-150
    • /
    • 2020
  • 자율운항선박의 상용화 및 운항을 위한 기술 인증기준, 운항 법적 근거, 보험제도를 마련하고 국제기구의 효과적인 대응전략을 개발하여 자율운항선박 도입의 기반 마련하기 위하여 자율운항선박 국제표준화기술개발 과제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기술이 개발되어 국제해사기구(IMO)의 의제화가 되는 절차와 국제표준화기구(ISO, IEC 등)의 표준개발이 완료되기까지 하나의 협력체계로서 효율적으로 완성이 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보인다. 특히 수립된 협력체계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 되도록 중장기적 관점에서 전략을 수립하고 개발된 기술이 산업계까지 연결되어 활성화 되도록 하는 플랫폼의 구축과 운영에 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시스템 데이터 자동획득을 위한 프로그램 적용방안

  • 김홍진;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96-197
    • /
    • 2023
  • 자율운항 선박 원격제어를 위해 선박에 설치되어 운용중인 센서 및 기관의 정보를 획득하여 육상에 전송할 필요가 있다. 각 기관 및 센서정보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선내 네트워크를 조사하여 데이터 스니핑 방식으로 데이터를 획득한 결과 텍스트 데이터 외에 이미지 데이터도 수집할 수 있었다.

  • PDF

선박 원격제어 데이터 처리시스템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김홍진;박득진;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74-175
    • /
    • 2021
  • 선박 원격제어를 위해서는 원격 제어자가 선박의 운항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제어 명령을 원격으로 내릴 수 있어야 한다. 연구 목적은 선박 원격제어를 위해 교환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은, 선박 운항상태 파악과 제어 명령 전달에 필요한 시스템을 분야별로 구성하고 해당 시스템을 활용하여 선박을 운항하면서 단위시스템별 활용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박 운항 시뮬레이터와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실제 선박을 대체하여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육상제어시스템-선박 간 네트워크를 통하여 교환되는 데이터의 통신방식은 상황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해상 네트워크 기반 선박 안전 입출항 지원 시스템의 설계

  • O, Jae-Yong;Kim, Hye-Jin;Lee, Mun-Jin;Kim, Seon-Yeong;Park, Se-Gil;Park, Ji-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477-479
    • /
    • 2012
  • 최근 선박의 사고가 증가하고 해양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면서 운항 중인 선박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안전운항 솔루션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안전운항 솔루션은 일반적으로 육상과 선박을 연결하는 광대역 무선 데이터 통신기술, 해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기술, 안전운항을 지원하는 서비스의 요소 기술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애드혹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선박의 안전 입출항 지원 서비스의 항목을 정의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서버 및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연구의 안전 입출항 지원 서비스는 교통정보, 환경정보, 충돌회피지원정보로 구성되며, 선박에 탑재된 클라이언트에서 육상에 설치된 서버 시스템으로 서비스를 요청하고 정보를 제공 받도록 설계하였다. 이렇게 설계된 시스템은 테스트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의 구현 가능성을 검토하며, 실해역(여수항)에서의 시험을 통해 그 실효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 PDF

무중 여객선 해상교량접촉사건에 대한 고찰

  • Jeong, Dae-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363-365
    • /
    • 2015
  • 우리나라 연안에서 육지와 섬 사이를 연결하는 해상교량은 계속해서 건설하고 있는 추세이며 해상교량이 선박의 안전한 운항에 새로운 위험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반면에 내항여객선 선장 및 항해사는 무중 레이더만 믿고 항해하여야 하나, 레이더가 해상교량의 주경간 항로와 해상교량 건너편 상황을 탐지하기 어렵다는 레이더의 한계를 인식하지 못하고, 경험과 관행에 의해 무리하게 선박을 운항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 글은 목포지방해양안전심판원의 관할해역에서 발생한 여객선 비금농협카페리호가 신안1교의 교각과 접촉한 사건의 개요와 원인을 살펴보고, 레이더에 의해 해상교량의 주경간 항로를 식별할 수 있는 대책마련의 필요성, 선박의 해상교량 통항을 위한 최소 가시거리 인식 필요성, 해상교량 주변에 피항지 지정 및 관리, 내항여객선의 VHF청취능력 개선, VTS센터와 한국해운조합 운항관리실의 업무협력 강화, 연안 여객선의 안전문화 정착 필요성, GPS Plotter 과신 주의 등의 교훈 및 개선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 PDF

Explanatory Research on CPDLC-DCL in USA of B747-8 (B747-8 항공기의 CPDLC-DCL 운영에 관한 설명적 연구 (미국 내 운항을 중심으로))

  • Moon, Bong-Sup;Choi, Youn-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27 no.2
    • /
    • pp.70-78
    • /
    • 2019
  • CPDLC-DCL (Controller Pilot Data Link Communications-Departure Clearance) began in 2016 with 62 Towers in the United States. The application of this procedure is to utilize equipment different from existing ACARS PDCs or ACARS-DC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of CPDLC-DCL operation methods. Also, B747-8 aircraft considered operational cases related to departure procedures at U.S. airports. This procedure is currently not mandatory but will be mandatory in the future. The Flight Crew Procedures for CPDLC-DCL, as an appendix, will be a useful resource for B747-8 pilots.

입출항 지원 서비스를 위한 AIS 빅데이터 기반 해상교통혼잡도 예측

  • 이서호;김세원;손준배;엄정온;이주향;김동함;윤상웅;김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44-346
    • /
    • 2022
  • 최근 자율운항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자율운항선 실증이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자율운항선의 효율적 운용 특히 운항의 안전성을 위해 입출항 시기의 적절성 또한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해상교통혼잡도를 예측하고자 하였고, AIS 빅데이터를 통해 선박별항적을 분석 및 분류하고자 하였다. 장기적 관점에서 PORT-MIS 선박입출항현황 데이터(호출번호, 입항일시, 출항일시, 전출항지, 차항지, 계선지)를 과거 AIS 빅데이터와 연결시켜 과거 항적 중 가장 가까운 항적을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당시 소요 시간을 반영하여 12개의 시간대별로 어느 시점에 어느 위치 구간에 선박들이 놓이게 될지 예측하였고, 특히 입출항 시기의 적절성에 핵심이 되는 13개로 모델링된 영역에 몇 개의 선박들이 항로를 지나는지에 따라 혼잡도(원활, 혼잡, 정체)를 구분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단기적 관점에서 실제 AIS가 수신된 후에도 유사한 항적을 검사해가며 혼잡도를 예측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장단기적 혼잡도 예측을 통해 미래 자율운항선입출항 지원 서비스의 안전과 그 적절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The Definition of Connecting Flight and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Regulation (EC) No 261/2004: A Case Comment on Claudia Wegener v. Royal Air Maroc SA [2018] Case C-537/17 (EC 261/2004 규칙의 역외적용과 연결운항의 의미 - 2018년 EU사법재판소 Claudia Wegener v. Royal Air Maroc SA 판결의 평석 -)

  • Sur, Ji-Min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35 no.1
    • /
    • pp.103-125
    • /
    • 2020
  • This paper reviews the EU Case, Claudia Wegener v. Royal Air Maroc SA [2018] ECLI:EU:C:2018:361, Case C-537/17. It analyzes some issues as to Wegener case by examining EU Regulations and practical point of views. Article 3(1)(a) of Regulation (EC) No 261/2004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1 February 2004 establishing common rules on compensation and assistance to passengers in the event of denied boarding and of cancellation or long delay of flights, entitled scope, provides: "this Regulation shall apply: (a) to passengers departing from an airport located in the territory of a Member State to which the Treaty applies; (b) to passengers departing from an airport located in a third country to an airport situated in the territory of a Member State to which the Treaty applies, unless they received benefits or compensation and were given assistance in that third country, if the operating air carrier of the flight concerned is a Community carrier." ECJ held tha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that Regulation (EC) No 261/2004 applies to a passenger transport effected under a single booking and comprising, between its departure from an airport situated in the territory of a Member State and its arrival at an airport situated in the territory of a third State, a scheduled stopover outside the European Union with a change of aircraft. According to the Court, it is apparent from the regulation and case-law that when, as in the present case, two (or more) flights are booked as a single unit, those flights constitute a whole for the purposes of the right to compensation for passengers. Those flights must therefore be considered as one and the same connecting fl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