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역할 기반 접근제어

Search Result 22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Policy Description Language for Ubiquitous Environment based on Context-aware Role-based Access Control (상황 인식 역할 기반 접근 제어에 기반한 유비쿼터스 환경 정책 기술 언어)

  • Shin, Jae-Ho;Kang, Kyoung-Koo;Ahn, Joon-Seon;Chang, Byeong-Mo;Doh, Kyoun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521-52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상황 인식 역할 기반 접근 제어에 기반한 유비쿼터스 환경 정책 기술 언어를 제시한다. 역할 기반 접근 제어는 권한을 사용자에게 부여하지 않고 역할에 부여함으로써 접근 제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빈번하게 변화하는 사용자들의 일치 정보와 같은 동적인 상황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동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을 고려하는 역할 기반 접근 제어 모델을 고안하고 이에 기반하여 정책 기술 언어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언어는 역할 기반 접근 제어의 장점을 활용하며, 동적인 상황 조건에 따라 사용자에게 역할을 할당하고 정적인 상황 조건을 이용하여 역할에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을 기술함으로써 역할 기반 접근 제어에 기반한 상황 인식 유비쿼터스 환경의 특징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 PDF

A Role-Based Access Control Model ensuring Confidentiality and Integrity (비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는 역할기반 접근제어모델)

  • Byun Chang-Woo;Park Seo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5 no.3
    • /
    • pp.13-29
    • /
    • 2005
  •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role-based access control model(RBAC) is that by itself it is policy neutral. This means RBAC articulates security policy without embodying particular security policy. Because of this reason, there are several researches to configure RBAC to enforce traditional mandatory access control(MAC) policy and discretionary access control(DAC) policy. Specifically, to simulate MAC using RBAC several researches configure a few RBAC components(user, role, role-hierarchy, user-role assignment and session) for keeping no-read-up rule and no-write-down rule ensuring one-direction information flow from low security level to high security level. We show these researches does not ensure confidentiality. In addition, we show the fact that these researches overlook violation of integrity due to some constraints of keeping confidentia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RBAC model satisfying both confidentiality and integrity. We reexamine a few RBAC components and constructs additional constraints.

Role Delegation Protocal for Role-Based Access Control (역할-기반 접근 제어 모델에서 역할 위임을 위한 프로토콜 설계)

  • 나상엽;전서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99-101
    • /
    • 1999
  •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기업이나 조직내의 사용자들은 다른 사용자와 자원을 공유하며 상호작용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자원이나 정보의 불법적인 사용을 막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인증과정이 필요하며, 또한 사용자의 작업에 대한 접근 제어(Access Control)의 필요성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현재 널리 알려진 임의의 접근 제어(DAC)는 객체의 소유자에게 모든 위임의 권한이 주어지고 강제적 접근제어(MAC)의 경우에는 주체와 객체단위의 정책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역할-기반 접근 제어를 이용하여 조직의 보안 정책을 보다 효율적이고 일관성 있게 관리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역할-기반 접근 제어의 경우 각 역할의 계층에 의하여 권한의 상속이 결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역할-기반 접근 제어에서 역할이 가지는 역할의 위임을 위한 위임 서버와 역할 위임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 PDF

역할기반 접근 제어에서 사용자수준의 위임과 상속을 위한 역할 계층의 구조

  • 조기천;신문선;류근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1.05a
    • /
    • pp.107-110
    • /
    • 2001
  • 역할기반 접근제어는 지금까지 사용되었던 기존의 임의적 접근제어나 강제적 접근제어를 개선해서 여러 분야에 적용시키기 위해서 많은 연구의 대학이 되어왔다. 이 접근제어 방법은 역할과 사용자, 그리고 권한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고, 역할계층을 통해서 역할에 따른 사용자의 권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역할계층을 현실세계에서의 조직체계에 적용시키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역할계층에서 위임과 상속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새로운 접근방식의 위임과 상속을 제안한다.

  • PDF

Design of RBAC Applying Efficient Separation of Duty (효과적인 의무 분리를 적용한 역할 기반 접근 제어 모델의 설계)

  • Kim, Won-Il;Lee, Ch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d
    • /
    • pp.44-49
    • /
    • 2007
  • 역할 기반 접근 제어는 유연하면서도 각 사용자의 업무에 적합한 역할을 통해 유연한 접근 제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속을 통해 역할을 유연하게 확장하고 할당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갖는 다양한 역할을 지원하기 위해 다대다 관계를 지원한다. 여기에 역할에 포함될 수 있는 연산의 한계를 지정하여, 지정된 연산 이외의 연산을 수행할 수 없도록 정교한 접근 제어를 지원한다. 상속과 다대다의 관계를 통한 유연한 접근 제어를 제공하는 반면, 역할의 복수 할당을 통해 허용되지 않아야 하는 역할이 사용자에게 할당 되는 문제점을 갖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역할이 갖는 연산의 한계와 역할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으로 의무 분리가 추가되었다. 의무 분리는 사용자에게 역할이 할당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각각 정적, 동적 의무 분리를 적용해야 하므로, 전체적인 접근 제어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역할의 의무 분리에서 발생하는 성능 저하 문제를 역할 할당의 과정에서 해결하여, 실제 사용시에 의무 분리를 적용하는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역할 기반 접근 제어 시스템 모델을 제안한다.

  • PDF

Permission-Based Separation of Duty Model on Role-Based Access Control (역할기반 접근제어 환경에서 접근권한 기반의 임무분리 모델)

  • Oh Se-J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1C no.6 s.95
    • /
    • pp.725-730
    • /
    • 2004
  • Separation of Duty(SOD), with delegation, is one of important security principles in access control area. The role-based access control model adopts SOD principle, but it has some problems; SOD concept is inconsistent with role hierarchy, permissions that have no relation with SOD may be restricted, and delegation may violate SOD. We propose permission-based SOD model on role-based access control. We establishes SOD as a set of permissions instead of role level SOD. Furthermore we propose a principle of role activation. It solves SOD problems of RBAC and supports easy implementation of SOD policy.

An Integrated Management Model of OS-RBAC and Separation Of Duty Policy (OS-RBAC과 임무분리 정책의 통합 관리 모델)

  • Byun, Chang-W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1
    • /
    • pp.167-175
    • /
    • 2010
  • Like most large organizations, there are business rules such as 'separation of duty' and 'delegation'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access control. From a SOD point of view, previous SOD models built on the (Administrative) Role-Based Access Control model cannot present the best solution to security problems such as information integrity by the limited constituent units such as role hierarchy and role inheritance. Thus, we propose a new integrated management model of administration role-based access control model and SOD policy, which is called the OS-SoDAM. The OS-SoDAM defines the authority range in an organizational structure that is separated from role hierarchy and supports a decentralized security officer-level SOD policy in which a local security officer can freely perform SOD policies within a security officer's authority range without the security officer's intervention.

A Role-Based Access Control Mechanism using Z language in Distributed System (분산시스템에서 Z언어를 이용한 역할기반 접근제어 메커니즘)

  • Choe, Eun-Bok;No, Bong-Nam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8C no.2
    • /
    • pp.113-121
    • /
    • 2001
  • 접근제어의 목적은 컴퓨팅 자원 및 통신 정보자원 등을 부당한 사용자로부터 사용되거나, 수정, 노출, 파괴와 같은 비합법적인 행위로부터 보호하는데 있다. 대표적인 보안 정책 중에서 Biba 모델은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하지만 상업적인 환경에 적용되기는 다소 미흡하며, 역할기반 접근제어 정책은 상업적인 측면의 보안정책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접근되는 객체의 중요도에 따른 보안등급이 고려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Biba 모델의 보안등급을 역할기반접근제어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주체가 해당 객체를 부당하게 변경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많은 접근권한을 관리하는데 융통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안한 접근제어 모델의 제약조건들을 정형 명세 언어인 Z언어를 통해 명확히 표현함으로써 정책 입안자나 프로그래머가 접근제어정책을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할 때 프로그램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안한 모델을 망관리 객체의 연산과 등급을 갖는 역할과 제약조건을 사용하여 실제 운영되는 통신망 관리에 적용하여 봄으로써 정보의 무결성이 보장됨을 보였다.

  • PDF

Object-extended Role-Based Access Control model for Secure Operating Systems (안전한 운영체제를 위한 객체확장 역할기반 접근제어 모델)

  • Kang, Hyun-Su;Heu,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634-636
    • /
    • 2003
  • 역할기반 접근제어모델은 기업이나 정부 등의 조직체계를 반영하는데 적합한 접근제어 모델로 컴퓨터의 자원을 접근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임의접근제어나 강제접근제어 방식의 단점을 대안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역할기반 접근제어 방식에서 사용자에게만 할당하던 역할을 객체에게도 할당하여 객체의 관리와 보안성을 향상시켰다. 객체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비슷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하여 객체를 역할의 단위로 관리할 경우 보다 효율적인 객체 관리를 할 수 있고, 동일한 보안 등급을 갖는 객체들이 하나의 역할로 그룹지어지기 때문에 보안 관리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다 할 수 있다.

  • PDF

Hybrid Acess Control Model in CSCW Environment (CSCW 환경에서의 혼합형 접근제어 모델)

  • 김상진;고희창;김남용;왕창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237-239
    • /
    • 1998
  • CSCW 지원 도구에서 접근제어 정보의 효과적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이는 접근제어가 관리 비용이 많이 들고, 에러가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접근 제어 모델 중 ACL 은 다양한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기에 이를 개선한 RBAC 모델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공동 작업 환경의 경우, 역할에 속한 사용자들의 집합이 아니라 특별한 개별 사용자 집합에 의한 작업이 요구될 수도 있다. 따라서 CSCW 환경에서는 사용자 그룹기반의 접근제어 모델과 역할기반의 접근제어 모델을 혼합한 형태의 새로운 접근제어 모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역할기반 접근제어 모델과 사용자 기반 접근제어 모델을 혼합한 형태의 접근제어 모델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