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역학강도

Search Result 1,34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피로와 파괴력학(I)

  • 최용식
    • Journal of the KSME
    • /
    • v.16 no.4
    • /
    • pp.41-48
    • /
    • 1976
  • 재료의 피로문제에 대해서는 꽤 오래 전부터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고, 피로의 현상파악에서부 터 피로이론의 구명, 나아가서는 실제문제로서의 피로설계, 피로수명예측 등에 기여한 업적은 아 주 크다 하겠다. 그러나 종래의 피로문제연구의 방향이, S-N 곡선에서 얻어지는 피로한계강도 (더 정확한 표현으론 피로파괴한계강동)에 바탕을 두고, 정력확적인 설계관례인 안전계수의 도입 을 빌려, 피로강도를 실용화할려는 선에서 이루어져 왔다고 보겠다. 재료의 피로한계강도란, 그 정의로 미루어, 다분히 정적으로는 극한강도 또는 피로강도의 개념에 견주어 질 수 있는 공칭응 력으로써 탄성학적으로 해석될 수도 없고, 다만 탄역성이론의 개념을 바탕으로 근사해석례만이 허용되고 있을 뿐이다. 재료에는 소위 평활재이건 절결재이건 간에 또 검출여부에 관계없이, 내외 부에 대소각종의 결함이나 역학적 불연속부가 잠재해있음은 이미 공지의 사실이며, 이들 결합, 불 연속부등이 외하중하에서 응분의 응력집중원이 되어 재료를 전반적인 파괴로 몰고 갈 수 있다 함 도, 또한 이러한 역학적거동이 피로파괴에 까지 확장해석될 수 있을 것이란 것도 이미 잘 알려져 있는 터이라 하겠다. 재료내외부의 제결합을 응력집중이 극대인 crack로 대체해서 외하중하에서 의 응력장거동을 해석한 선형탄성파괴역학(LEFM)은, 바로 이러한 실제재료의 강도설계에 보다 큰 정확성을 부여한 방법론적 학문이라 하겠고, 나아가서는 재료의 파괴기구를 파헤치는데 진일 보적인 역학적인 수법이라 하겠다. 취성파괴, 연성파괴에 바탕을 둔 파괴역학(LEFM)을 피로파괴 에 적용시키는 데는 상당한 문제점들을 수반할 것임은 충분히 인지되나, 제한된 경계조건하에서 의 적용 예는 종래의 어떤 방법에 의한 것 보다도 피로강도설계, 안전사용 피로수명예측 등에 획기적인 진전을 보여주고 있다. 파괴역학은 crack 재의 강도학이고, 더 구체적으로 음력학대계수 (stress intensity factor) K 또는 이와 연연되는 parameter 인 strain energy release rate(G), crack-tip plactic zone size r$_{p}$,.rho., crack-tip opening displacement .phi., strain intensity 등을 쓰는 재료강도학이기 때문에, 이 수법을 피로파괴에 적용시킴은, 종래의 공칭응력으로 피로 문제를 다루던 방법과는 판이하다 하겠다. 본고에선 파괴역학의 관점에서 피로구열의 안정성장을 논하고, 과거 10여년간의 피로 crack문제에 대한 연구방법, 실험방법 등을 소개하는 방향으로 고 를 진행시켜 나가겠다.

  • PDF

A Study on the Mechanical and Flowing Properties of High-strength Mortar Binding Admixture (고강도 모르타르용 결합재의 유동특성 및 역학특성에 관한 연구)

  • Lee, Sang-Soo;Lee, Yun-Seong;Lee, Kang-Pil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4 no.4
    • /
    • pp.105-110
    • /
    • 2009
  • It's important to study about suitable substitutional material of expensive silica fume because it used widely for silica fume as a high-strength mortar binding age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ich is the most efficient binder for the expensive silica fume's alternative material. And this study also present basic data about to make high-strength mortar when we use alternative material instead of silica fume through research outcome. Also writers analzed flow properties respectively, so it was founded out the substitutional goods fare like meta-kaolin, HMBA which are less expensive than silica fume because they are in domestic enough.

  • PDF

Effect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on Compressive Strength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순환굵은골재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Yang, In-Hwan;Jeong, Joon-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8 no.1
    • /
    • pp.105-113
    • /
    • 2016
  • Most studie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with recycled aggregate was focused on the concrete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less than 40 MPa. Therefore, this paper concerns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greater than 40 MPa containing recycled coarse aggregate (RCA). The experimental parameters were compressive strength level and replacement ratio of RCA. Compressive strength level was 45 and 60 MPa, and replacement ratio of RCA was 30, 50, 70 and 100%. The results of the test were discussed: compressive strength, elastic modulus, split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of rupture. Test results of elastic modulus were compared to the design code predictions. The design code predictions for elastic modulus overestimated the experimental results. However, the design code predictions for modulus of rupture were generally in agreement with the measured values.

파괴역학 연구의 고찰

  • 구인회
    • Journal of the KSME
    • /
    • v.23 no.3
    • /
    • pp.186-190
    • /
    • 1983
  • 파괴역학 연구를 대상재료에 의해 구분하면 선형파괴와 탄소성재료의 파괴로 나눌 수 있다. 취 성파괴(brittle fracture)를 다루는 선형타성 파괴역학연구는 주로 여러가지 크랙의 모양, 시편모양, 부하형태에 따른 탄성응력분포 혹은 은력확대계수를 구하거나 에너지방법에 의해 안정비안정 크랙전파를 연구한다. 대개의 경우 취성파괴는 전체 구조물에 치명적이 되기 쉽다. 따라서 구조물 설계시에 취성파괴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재료의 적절한 선택과 같은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구조물 재료는 강도와 연성의 상황에 따른 적절한 조합을 필요로 한다. 오늘날 특수합금과 같은 고강도 금속에서의 취성화 경향이 증가하나 합금설계시 강도와 아울러 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여러 대책이 파괴역학 연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PDF

Linear Fracture Mechanics and Linear Notch Mechanics (선형파괴역학과 선형노치역학)

  • 김윤해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3
    • /
    • pp.242-251
    • /
    • 1995
  • 균열(crack)을 갖는 부재의 강도를 평가할 때에 있어서 응력확대계수를 이용하는 데에 대한 합 리성은 현재까지 의심할 여지없는 사실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 근거는 소규모 항복의 조건이 만족되고 있을 때에는 균열의 치수가 틀리더라도 균열선단부근의 역학적 상태는 응력확대계수 만에 의해 지배된다는 사실에 있다. 한편, 노치(notch)를 갖는 부재의 강도를 평가할 때에 최대 응력만을 고려하는 것은 불충분하다. 예를 들면, 그것은 노치반경 .rho.가 10 mm 정도의 노치와 .rho.가 0에 상당하는 균열과는 최대응력 .sigma.$_{max}$를 같게 하더라도 역학적 상태의 가 혹함(severity)이 동일하게 되지 않는다는 사실로부터도 명백하다. 그렇다면, .rho.가 0과 10 mm의 중간값, 예를 들면 1 mm 혹은 0.1 mm일 때와 같은 역학적 상태의 가혹함이 생기기 위해서는 .sigma.$_{max}$가 얼마이면 될까\ulcorner 또는, 만약 .rho.가 틀릴 때, 동일한 현상(same phenomenon)이 생기지 않는다고 한다면 그것은 어떠한 물리적 배경에 근거한 것일까\ulcorner 이글에 서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과 함께 선형파괴역학과 선형노치역학이 생겨나게 된 간략한 역사적 배경과 선형노치역학의 개념에 대해 언급하기로 한다.

  • PDF

Analysis o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ock Mass in Korea (국내에 분포하는 암반의 물리·역학적 특성 분석)

  • Seo, Yong-Seok;Yun, Hyun-Seok;Kim, Dong-Gyou;Kwon, O-Il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6 no.4
    • /
    • pp.593-600
    • /
    • 2016
  • To underst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rock masses and intact rock in Korea, data from 4,280 in situ and laboratory tests from 107 tunnels on general national roads were analyzed. The mechanical properties (unit weight, cohesion, friction angle, modulus of deformation, Young's modulus, Poisson's ratio,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tensile strength,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nd specific gravity) were analyzed by rock types and strength of rock in each rock type. The results of analysis, the mean specific gravity was highest in gneiss.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nd Poisson's ratio show the highest mean values in granite and metamorphic rock,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unit weight, cohesion and friction angle in sedimentary rock, modulus of deformation, Young's modulus,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in volcanic rock have the highest mean values. The values for each mechanical property showed wide ranges by the heterogeneity and anisotropy of rock masses in spite of detailed analysis by rock type and classification of rocks according to the strength.

A Study o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reathable Waterproof Fabrics Manufactured with PTFE Membrane-fabric Composite (PTFE막-직물 복합체로 제조된 투습방수직물의 물성 및 역학특성에 관한 연구)

  • Jeong, Won-Young;An, Seung-K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6 no.12
    • /
    • pp.1685-1693
    • /
    • 2002
  •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라미네 이 팅 직물은 주로 별도로 제조된 고분자 필름 또는 막을 접착제, 열, 압력 등을 이용하여 기포(基布)와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되어 진다. 이축연신시킨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sheet는 매우 우수한 높은 투과성을 지니는 다공성 물질이 며, 본 연구에서는 이 막을 나일론 직물에 라미네이팅시킨 투습방수직물을 시료로 사용하여 라미네이팅 후의 역학특성 변화를 분석 하였다. 라미네이팅에 따른 투습방수직물의 물성과 역학특성의 변화에 관하여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3-layer 라미네이팅 직물(base fabric-PTFE membrane-knitted lining)의 인열강도는 2-layer라미네이팅 직물 (base fabric-PTFE membrane)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가공 전 직물과 비교하여 코팅직물에서 나타난 것과 같은 인열강도의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다. 직물-PTFE 막 복합체 의 경우, 라미네 이 팅 이 파단강도 및 파단신도 의 증가에 기여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3-layer 라미네이팅 직물의 경우, 신장률이 20%를 넘어서면서 강도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의복을 착용하였을 때 가해질 수 있을 정도의 소변형(small deformation) 하에서의 역학특성 에 있어서는 라미네이팅에 의해 전단특성이 가장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전단강성(G)과 전단 히스테리시스 (2HG,2HG5)모두 증가하였고, primary hand value 중에서는 stiffness 가장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Mechanical Behavior and Optimum Mix Design of High Strength Concrete with Condensed Silica Fume Admixtures (실리카 흄을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과 최적배합연구)

  • 오병환;엄주용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 no.1
    • /
    • pp.75-86
    • /
    • 1989
  • 본 본문에서는 실리카 흄을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제조와 역학적 특성 및 최적 배합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본문에서는 주요 실험변수를 물-시멘트비와 혼화재인 실리카 흄의 혼입량으로 정하였으며, 압축강도 및 휨강도와 합렬인장강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리카흄의 혼입으로 강도가 증가함을 발견하였으나 어느 범위이상의 과도한 혼입은 오히려 강도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시멘트비 0.28에서는 실리카 흄 혼입량이 5%일 때 최대의 강도가 나타났고, 물-시멘트비 0.40에서는 15%, 물-시멘트비 0.55에서는 20%혼입에서 가장 큰 강도가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압축강도와 물-시멘트비 및 실리카 흄량 사이의 관계를 도출하여 그 관게식을 제시하였으며, 이 식으로부터 소요강도를 위한 본 배합변수를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 물-시멘트비 효과와 실리카 흄의 효과가 상쇄되는 구간이 존재하며, 따라서 이들 효과를 함께 고려한 최적배합을 도출하여 제시하고 있다.

Fracture Simulation of UHPFRC Girder with the Interface Type Model (경계형 모델을 사용한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거더의 파괴역학적 해석)

  • Guo, Yi-Hong;Han, Sang-Mook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3 no.1
    • /
    • pp.81-94
    • /
    • 2010
  • This paper deals with the fracture simulation of UHPFRC girder with the interface type model. Based on the existing numerical simulation of quasi-brittle fracture in normal strength concrete, constitutive modeling for UHPFRC I-girder has been improved by including a tensile hardening at the failure surface. The finite element formulation is based on a triangular unit, constructed from constant strain triangles, with nodes along its sides and neither at the vertex nor the center of the unit. Fracture is simulated through a hardening/softening fracture constitutive law in tension, a softening fracture constitutive law in shear as well as in compression at the boundary nodes, with the material within the triangular unit remaining linear elastic. LCP is used to formulate the path-dependent hardening-softening behavior in non-holonomic rate form and a mathematical programming algorithm is employed to solve the LCP. The piece-wise linear inelastic yielding-failure/failure surface is modeled with two compressive caps, two Mohr-Coulomb failure surfaces, a tensile yielding surface and a tensile failure surface. The comparison between test results and numerical results indicates this method effectively simulates the deformation and failure of specimen.

複合材料의 破壞에 對한 破壞力學的 Approach(I) -응력 및 응력도대계수 해석-

  • 최용식
    • Journal of the KSME
    • /
    • v.22 no.1
    • /
    • pp.40-52
    • /
    • 1982
  • 복합재료의 개발.실용과 더불어 야기되는 문제중에서, 특히 복합재료가 기계나 구조물에 사용될 경우에는 가장 긴요한 문제는 역시 강도, 특히 파괴와 관련된 강도문제가 되겠다. 균질재료의 파괴거동(취성파괴, 피로파괴, 환경파괴등)을 탄성학적으로 파헤치고, 또한, 나아가서는 파괴를 미연에 예방하는 탄성설계에의 적용에 이르기까지 체계화된 파괴역학을 복합재료의 파괴거동해 석이나 강도설계에 적용시켜 보자는 시도는 일찍부터 이루어져 왔었으나, 탄성적인 이질재료가 결합하는 데서 오는 수학적인 해석사이 난점으로 말미암아 파괴역학적 해석의 기초가 되는 능 력확대계수 K의 해석에서 아직까지는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여기에서는 복합 재료의 파괴에 파괴역학을 적용시킴에 있어서의 기초적인 사항들을 논하고, 지금까지의 이러한 방향의 연구예들을 정리해 보면서 파괴역학적인 복합재료파괴문제연구에 참고로 삼을가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