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역치하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33초

구강건조증환자의 미각역치에 관한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Taste Threshold of the Patients with Xerostomia)

  • 고명연;권경민;허준영;태일호;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1호
    • /
    • pp.67-73
    • /
    • 2008
  • 구강건조증 환자의 미각기능과 치료에 따른 미각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2006년 9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에 구강검사를 통하여 구강건조증으로 진단된 환자를 실험군으로 선택하고, 2007년 9월부터 12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중에 구강검사와 설문지를 사용하여, 미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신질환, 약물복용, 구강내 연조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은 환자를 대조군으로 선택하여 전기미각역치를 측정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건조증 환자군과 대조군의 미각역치 비교에서 혀의 측면, 혀끝, 유곽유두에서 차이를 보였다. 2. 남성에서 구강건조증 환자군과 대조군의 미각역치 비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여성에서 구강건조증 환자군과 대조군의 미각역치 비교에서는 연구개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환자군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4. 구강건조증 환자군의 치료에 따른 미각역치 비교에서는 초진 시와 1차 치료 후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곽유두에서는 차이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노인 치매 환자의 통증 역치 및 통증 경험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ain Threshold and Pain Experience in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 방현철;박기창;김민혁;이영복;노현진
    • 정신신체의학
    • /
    • 제21권2호
    • /
    • pp.140-146
    • /
    • 201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치매 군과 비치매 군의 통증 역치 및 통증 경험의 특성을 비교 하고자 한다. 방 법 2010년 강원 조기치매 검진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된 것으로, 연구 대상은 지역사회 거주중인 65세 이상 노인 8,302명이었다. 이 중,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MSE-KC) 점수가 저하 된 1259명을 선별했고, 이중 365명이 한국형 치매 진단평가 도구(CERAD-K)를 이용한 정밀검진을 받았다. 검사 결과 및 전문의의 판단 하에 정상, 경도인지장애, 치매 군으로 진단 후, 최종 비치매 군 90명, 치매 군 57명이(경도-중등도 알츠하이머형 치매) 분석되었다. 압통각계(Pressure algometer)를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통증 역치를 측정했고, 자가보고식 검사인 Brief pain inventory(BPI)를 이용하여 통증 경험(통증 심도, 통증 방해도)을 조사했다. 집단 간 차이 분석은 Pearson Chi-Square와, 혼란변인(성별, 나이, 교육수준, GDS, 당뇨)을 보정한 ANCOVA검정을 시행했다. 결 과 인구학적 특성상 치매 환자 군에서 여성이 많고, 연령이 높고, 교육 연수가 낮았다. 통증 역치는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BPI결과에서 비치매 군이 어깨 통증, 전체 통증 개수, '통상적 일'의 통증으로 인한 방해를 의미 있게 더 많이 호소했다(p<0.05). 그러나 두 군에서 통증 유병률 및 치료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치매 군은 비치매 군보다 통증을 더 적게 경험했다. 이는 치매 환자의 통증 역치는 보존되었으나, 내성이 증가한다는 선행 연구를 뒷받침 하는 증거로 여겨진다. 따라서, 치매 환자를 위한 적극적인 통증 사정 및 치료를 제안한다.

  • PDF

청년 한국인의 초역치 미각강도에 대한 성, 미각기호 및 흡연의 영향 (Suprathreshold Taste Intensities for Sucrose, NaCl, Citric Acid, and Quinine HCl in Young Koreans and the Influence of Sex, Taste Preference, and Smoking)

  • 김선희;허윤경;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2호
    • /
    • pp.149-162
    • /
    • 2005
  • 본 연구는 20대의 건강한 한국인을 대상으로 설탕, 소금, 구연산, 염산키니네에 대한 초역치 미각강도를 측정하고 그것이 성, 미각기호, 흡연 등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 구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으로 경북대학교 치과대학에 재학중인 학생들 중에서 남자 61명, 여자 62명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의 평균연령은 25.2$\pm$2.1세이었다. 초역치 미각강도의 측정을 위해서 소리자극의 감지강도에 대한 미각자극의 감지강도를 상대적으로 평가하는 규모짝짓기법(magnitude matching)을 이용하였다. 미각기호는 9점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단맛, 매운맛, 짠맛, 신맛에 대한 선호 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초역치 미각강도의 크기와 변화정도가 미각자극의 종류에 따라 전체적으로 비슷한 수준과 형태를 보였으며 피검자 개인별 차이가 비교적 적었다. 또한 미각기호나 성에 따른 초역치 미각강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흡연에 의한 영향도 인정할 수 없었다.

복합운동이 어깨통증을 경험한 여대생들의 압통역치, 통증 및 자세정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lex exercises in pressure-pain threshold, pain and postural alignment of women university students with shoulder pain)

  • 박충현;우재승;이재현;조은정;황수정;우성희;강순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04-70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어깨통증을 경험한 여자대학생들의 압통역치 및 자세정렬에 어깨근육스트레칭, 어깨 안정화운동 및 자세교정운동을 포함한 복합운동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 21명을 대조군 7명(중재 미실시), 실험군 1(온습포, 스트레칭)에 7명, 실험군 2(스트레칭, 안정화운동 및 자세교정)에 7명으로 배정하여 각 중재를 3주간, 주당 4회 실시하였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른쪽 및 왼쪽 위등세모근 압통역치와 시각적 통증척도(VAS) 점수의 중재 전 후 변화량은 대조군보다 실험군 2가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오른쪽 위등세모근 압통역치와 시각적 통증척도는 대조군보다 실험군 1이 유의하게 더 컸다. 반면에 목 각도의 세 집단 간의 중재 전 후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깨통증을 경험한 여대생들에 대하여 스트레칭, 안정화운동 및 자세교정을 포함하는 복합운동은 압통역치 증가 및 통증감소에 효과적임을 제안한다.

  • PDF

지하철 실내 소음 하에서 음향기기 사용에 따른 음향반사역치와 소음 속 어음인지 변화 (Changes of Acoustic Reflex Thresholds and Speech-In-Noise Perception Using Personal Listening Device Under Subway Interior Noise)

  • 한우재;전현지;마선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8-145
    • /
    • 2015
  • 환경 소음의 무절제한 노출이 청력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보고는 익히 알려져 있지만, 지하철 실내 소음과 휴대용 음향기기 음량에 따른 이중 소음 노출에 대한 탑승객들의 청력 손실 여부는 많은 연구들에서 여전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지하철 실내 소음 하에서 탑승객들이 이어폰을 이용하여 개인음향기기 사용 시 음향 반사 역치와 소음속 어음인지도가 어떻게 변화하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20대의 젊은 건청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실험 그룹과 대조그룹으로 각각 20명씩 구분하였다. 실험 전 모든 대상자에게 5개의 주파수에서 음향반사역치검사와 0, -5 dB SNR에서 문장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그룹은 60분간 73.45 dBA의 실제 서울도심지하철의 평균 실내 소음 강도를 들으며 개인별 선호 음량으로 이어폰을 통해 좋아하는 음악을 들었고, 대조그룹은 동일강도의 지하철 소음에만 노출된 채 신문 혹은 잡지를 읽었다. 60분간의 지하철 소음 노출 후 음향반사역치검사와 소음 속 문장검사를 재실시하여 기준선과 비교하였다. 소음 노출 전 후 비교 시, 두 그룹 간 음향반사역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소음 속 문장 검사결과에서는 실험 그룹의 어음인지도가 소음 노출 후 유의하게 하락하였다. 본 결과를 근거로 지하철 탑승객이 일정기간 동안 지하철 실내 소음에 노출된 채 반복적으로 음악을 듣는 습관이 지속될 시 일시적인 어음인지력 저하의 위험이 예상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신체형 장애에서의 Testosterone과 통각 역치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Testosterone and Pain Threshold in the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 박재홍;김명정;박제민;김용기;한귀원;박성화;윤경일;정영인;김성곤
    • 정신신체의학
    • /
    • 제6권1호
    • /
    • pp.22-27
    • /
    • 1998
  • DSM-IV 진단 기준에 의하여 신체화 장애, 미분화 신체형 장애, 그리고 달리 분류되지 않은 신체형 장애여성 환자 13명과 정상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압통에 대한 통각 역치와 혈청 testosterone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변 하중 압통 예민도 측정기 (Variable Weight Pressure Algometer)로 측정한 통각 역치는 환자군이 153.8${\pm}$39.5gm/$0.05mm^2$로서 대조군의 197.5${\pm}$66.7gm/$0.05mm^2$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2) 혈청 testosterone치는 환자군에서는 0.175${\pm}$0.081ng/ml였고, 대조군에서는 0.174${\pm}$0.108ng/ml로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Testosterone과 통각 역치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환자군에서는 혈청 testosterone치와 통각 역치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r=0.632, p<0.05, two tailed, Pearson's correlation test), 대조군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r=-0.4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신체화 장애 환자와 정상인 사이에 통각 예민도 조절 기전이 서로 다를 수 있다고 사료 된다.

  • PDF

정상 성인남자에 있어서 기도청력역치와 혈액점도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ssociation between air conduction hearing threshold and blood viscosity in normal adult males)

  • 김상우;이종영;박완섭;우극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3호
    • /
    • pp.623-629
    • /
    • 1997
  • 본 연구는 이질환과 소음에 폭로되지 않은 정상 성인 남자들을 대상으로 연령과 적혈구 일반검사 즉 혈구용적치, 적혈구수, 혈색소 및 기도청력역치의 산술평균과의 관계를 살펴본 단면조사연구이다. 적혈구 일반검사중 혈구용적치의 경우 혈액의 점도와 관계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연령과 적혈구 일반검사 결과와의 관계에서 혈구용 적치, 적혈구수, 혈색소가 연령이 증가할수록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연령과 청력역치 검사에서는 500Hz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 및 산술평균값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청력역치가 높음을 볼 수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청력역치를 산술평균한 3분법에 기초하여 10, 10dB 미만, $10.0\sim19.9dB$, 20.0dB 이상으로 임의로 3등급한 분류에서 연령대 별로 보여준 적혈구 일반검사의 결과와는 반대로 혈구용적치와 적혈구수가 청력저하가 클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일반 분산분석시 혈구용적치(p<0.01)의 경우 적혈구수(p<0.05)보다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결과를 보았으며, 연령을 보정한 공분산분석에서 혈구용적치 및 적혈구수 모두 통계적으로도 더욱 유의하였다(p<0.01). 앞으로의 과제는 이를 토대로 산업장의 소음성난청과 혈액의 점도와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혈구용적치 외 서론에서 언급한 혈액의 점도와 관련된 다른 요인들과 혈압, 고지혈증, 흡연과 같은 심혈관 위험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나아가 이런 연구들이 진행되어 산업장에서 소음부서 근로자들에 대한 건강관리에서 기도 청력역치검사와 혈액검사에서 혈구용적치 및 기타 혈액검사의 활용여부 등이 잘 검토되어 소음성난청에 대한 건강관리에 적용되어져야 하겠다고 본다.

  • PDF

지실혈에서 지압의 방향에 따른 압통 역치의 변화 (Changes in the Pressure Pain Threshold by the Direction of Acupressure on Jisil(BL52))

  • 김재홍;홍금나;최민주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6-32
    • /
    • 2021
  • 목적: 경혈 지압에서 모든 혈의 가압 방향은 통상적으로 수직 방향이다. 그러나 지실혈(BL52)에서는 수직 방향이 배꼽 부위를 향하는지 몸통의 중심을 향하는지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30명의 대상자의 BL52에 대한 지압의 방향에 따른 압통 역치를 측정하여 효과적인 지압 방향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방법: 대상자의 명문혈(GV4)을 중심으로 좌우 지실혈까지의 거리와 GV4와 배꼽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명문혈 좌우 지실혈이 배꼽을 지나는 타원을 이용하여 좌우 지실혈에서 배꼽 방향 및 몸통 중심 방향의 각도를 계산했다. BL52에 두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대상자들이 통증을 느끼는 시점의 압력을 통증 역치로 하였다. 압통역치는 대상자의 좌우 BL52에서 3분 간격으로 3번씩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자들의 좌우 BL52에서 측정된 압통 역치는 몸통 중심부를 향하여 가압할 때 상대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5). BL52에서는가압방향이몸통의중심부를향할때압력에대해더예민한것으로나타났다. 결론: 주변보다 외부 자극에 더 예민한 경혈의 지압 요법에서, BL52에서는 몸통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지압하는 것이 배꼽 방향으로 지압하는 것보다 효율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