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역사적 발달 단계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Historic-Genetic Principle of Mathematics Education(1) - A Historic-Genetic Approach to Teaching the Meaning of Proof (역사발생적 수학교육 원리에 대한 연구(1) - 증명의 의미 지도의 역사발생적 전개)

  • 우정호;박미애;권석일
    • School Mathematics
    • /
    • v.5 no.4
    • /
    • pp.401-420
    • /
    • 2003
  • We have many problem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proof, especially in the demonstrative geometry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introducing the proof for the first time. Above all, it is the serious problem that many students do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proof. In this paper we intend to show that teaching the meaning of proof in terms of historic-genetic approach will be a method to improve the way of teaching proof. We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proof which goes through three stages such as experimental, intuitional, and scientific stage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geometry up to the completion of Euclid's Elements as Bran-ford set out, and analyze the teaching process for the purpose of looking for the way of improving the way of teaching proof through the historic-genetic approach. We conducted lessons about the angle-sum property of triangle in accordance with these three stages to the students of seventh grade. We show that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eaning of proof meaningfully and properly through the historic-genetic approach.

  • PDF

The American Route of the Reconciliation between Work and Family (미국 중산층 여성 일-가정양립 경로의 역사적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Choi, Seong Eun;Yang, Jae-jin
    • 한국사회정책
    • /
    • v.23 no.3
    • /
    • pp.79-108
    • /
    • 2016
  •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historical route in which reconciliation between work and family has been operating in the United States whose welfare standards are low, by using analytic narratives,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he first step saw an increase in the social advancement of unmarried women due to the increase in employment in the occupation of white-collar, as well as the increase of women in the Academy and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second step, the social advancement of married women was increased by the enforcement of the New Deal, consumption capitalism, and World War II. In the third step, the sphere of highly-educated women was expanded to a professional one through active measures aimed at gender equality, and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of the 1960s took place. The United States' path model was completed in the fourth step. This study show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to complete route of the American's Route were individual efforts of women (capacity building through the academic and the powerful women's movement) and the individual employment relationship in labor market. This study shows that individual efforts of women, especially in building capacity through the academic and the powerful women's movement, and the labor market, whose individual employment relationship is well-develope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mpleting the route of the highly educated middle-class women in America.

Cultural Analysis of Welfare State Development (복지국가 발달의 문화적 분석)

  • Park, Byung-Hy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7 no.3
    • /
    • pp.277-304
    • /
    • 2005
  •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shows that analysts tend to follow two approaches in their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welfare state. The first approach focused on the logic of industrialization. In this account, technological and structural changes rather than political choices of ideological preferences and culture create the conditions for the emergence of welfare state. The second approa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growth of unionization for the development of welfare state. However, this study analyses the development of welfare state by using cultural theory developed by Mary Douglas. Culture theory has a specific point of departure : the grid-group typology proposed by Mary Douglas. Group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an individual is incorporated into bounded units. Grid denotes the degree to which an individual's life is circumscribed by externally imposed prescriptions. Hierarchical culture (high grid-high group) favors social conservatism, giving government the right to intervene in matters of social institutions. Germany and Japan belong to this culture. Individualistic culture (low grid-low group) reluctant to develop social insurance programs. Individuals who are bound by neither group incorporation nor prescribed roles inhabit an individualistic social context.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Sates of America belong to this culture. Egalitarian culture (low grid-high group) prefer to develop social insurance program. Strong group boundaries couples with minimal prescriptions produce social relations that are egalitarian. Sweden belong to this culture.

  • PDF

A Didactical Analysi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Negative Numbers (음수 개념의 이해에 관한 교수학적 분석)

  • Woo, Jeong-Ho;Choi, Byung-Chul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7 no.1
    • /
    • pp.1-31
    • /
    • 2007
  • Negative numbers have been one of the most difficult mathematical concepts, and it was only 200 years ago that they were recognized as a real object of mathematics by mathematicians. It was because it took more than 1500 years for human beings to overcome the quantitative notion of numbers and recognize the formality in negative numbers. Understanding negative numbers as formal ones resulted from the Copernican conversion in mathematical way of thinking. we first investigated the historic and the genetic process of the concept of negative numbers. Second, we analyzed the conceptual fields of negative numbers in the aspect of the additive and multiplicative structure. Third, we inquired into the levels of thinking on the concept of negative numbers on the basis of the historical and the psychological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 the formal concept of negative numbers. Fourth, we analyzed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on the basis of the thinking levels of the concept of negative numbers. Fifth, we investigated and analysed the levels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negative numbers. Sixth, we analyzed the symbolizing process i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oncept. Futhermore, we tried to show a concrete way to teach the formality of the negative numbers concepts on the basis of such theoretical analyses.

  • PDF

Historic Development of Navajo Textiles - Focus on the Classic Period - (Navajo 직물의 역사적 발달에 대한 연구 - 고전시대를 중심으로 -)

  • 정미실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45
    • /
    • pp.5-16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Navajo 직물의 역사적 발달을 고전시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특히 외부영향에 따른 직물의 변화를 고찰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1) 고전시대의 전통적인 직물은 어떻게 발달하였는가\ulcorner 2) 고전시대 직물의 전통적 요소와 외부영향요인은 어떤 점이 다른가\ulcorner 예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방법은 아메리카 인디언의 이동,문화 Navajo 직조 및 직물에 대한 문헌을 바탕을 조사하였고 아리조나 주립박물과 아리조나 역사 박물관을 방문하였으며 박물관 안에 있는 전문가들의 조언을 듣고 연구의 자료를 보완하였다. 또 비교 미학적 차원에서 고전시대 navajo 직물의 전통적 요소와 외부영향 요인을 분석하였고 외부영향을 받은 직물의 예를 시각적자료로 제시하였다. 이연구는 인디언직물에 대한 이해, 고전시대. Navajo 직물의 문헌고찰을 통한 민족의복의 문화적측면에 기여할수 이고 현대적 감각을 지닌 Navajo 직물을 한국직물에 접목 응용하는데 도움을 줄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avajo 직물을 고전, 전환, 양탄자 시대로 구분되었고. 이중에서 고전시대가 navajo 직물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었으며 발달된 직조기술을 보였다. Navajo인들의 직조기술은 1863년경 최고조에 달했다. Navajo 직물의 디자인 주제로 주로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서 얻어졌고 이것들은 직선의 기하학적 형태로 구체화되었다. 또한 직물에 표현된 색도 자연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있었다. 2. Navajo 직물의 주용한 용도는 여성용 드레스, 남성용 셔츠는 어깨에 걸치는 두르개였다. 여성용 드레스는 동일한 크기의 직물의 두장을 직조한 후에 꿰매었고 남성용 셔츠는 머리가 들어갈수 있는 구멍이 있는 장방형 판쵸 스타일이었다. 어깨에 걸치는 두르개는 여성의 경우 가운데가 검은색이고 가장자리가 푸른색인형태오 흰색과 붉은 색이 교대로 나타나는 형태의 2가지가 있었고 남성용은 고전시대의 대표라고 일컬어지는 족장 두르개였다. 3. Navajo 직물은 외부의 영향을 받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즉 스페인 사람들로 인하여 면 섬유대신 양모섬유를 사용하게 되었고 전통적 모양과 다른직물이 출현하게 되었다. 또한 인디고 염류, 색소니 실, 바에타 직물의 도입으로 다양한 색상의 표현이 가능해졌고 이와 관련하여 다이아몬드 십자형 톱니형 무늬드이 나타나게 되었다. 4, 고전시대를 대표하는 직물로 족장 두르개, 쇼올, 안장덮개를 들수 있으며 이 직물들에서 뚜렷하게 외부영향 요인을볼수 있다. 즉 족장 두르개의 가장 정교한 단계에서 다이아몬드 무늬가 가장가리 가운데 모서리에 위치하여 9지점 배치를 이룬 것 쇼올의 경우 폭보다 길이가 긴 형태의 비전통적 모습을 나타낸 것 안장덮개에서 보여지는 여덟포인트 별 무늬도 외부의 영향을 받은예이다. 뛰어난 직조기술로 유명한 navajo인들은 변화에 잘 적응하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외부의 영향을 그들은 긍정적으로 받아들였고 자기 자신들의 필요에 맞도록 수정하여 정체감을 잃지 않으면서도 문화를 발전시켰다. 따라서 고전시대의 Navajo 직물은 고유적 요인과 외래적 요인의 조화를잘 나타내고 있으며 디자인의 탁월함이 세련됨 천연염료와 인조염료의 배\ulcorner에 의한 색상의 우월성 등으로 오늘까지 높이 평가되고있다.

  • PDF

Consultation - Liaison Psychiatry and Psychodynamics (자문조정 정신의학과 정신 역동)

  • Kim, Hyun-Woo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10 no.1
    • /
    • pp.3-7
    • /
    • 2002
  • The author review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development of consultation-liaison psychiatry along with the psychosomatic medicine. Historically consultation-liaison psychiatry has developed over the past 70 years as an outgrowth of general hospital psychiatric units, and the psychodynamic approach including psychoanalysis has influenc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onsultation-liaison psychiatry. Through the review, the author suggested psychodynamic understandings as a basic tool for the practicing of medical psychotherapy.

  • PDF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Evolution Concepts based on the History of Evolutionary Ideas (진화개념의 역사에 근거한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진화개념 수준 비교)

  • Ha, Mins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7 no.4
    • /
    • pp.659-668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evolution concept depending on the major and the country. For this study, college students (both biology major and non-biology major)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swered evolution concept assessment developed by Ha (2007).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method of developed by Ha (2016). As a result of this study, Cronbach alpha for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MNSQ indices for item response fitness of the ordered multiple choice method providing 0 to 4 point scores to creationism, teleology, intentionality, use/disuse, and natural selection respectively, satisfied the benchmark. The level of Korean college students' evolution concepts was located in use/disuse and the level of USA college students' evolution concepts was located in teleology. No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the difference of conceptual progressions of evolution concept by major and country and evolution contexts (human, animal, and plan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stages of evolution concept and their religios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volutionary concepts.

저음부의 출력을 위한 voice coil의 질량

  • 이계호
    • 전기의세계
    • /
    • v.14 no.4
    • /
    • pp.22-27
    • /
    • 1965
  • 우리나라의 speaker제작의 역사는 얼마되지 않을 뿐더러 자급자족의 영역을 못 벗어나고 있다. Weston speaker, 자사내에서 자급자족하고 있는 금성사제 speaker등 완전히 질량의 단계에 못들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성능면에서도 뒤떨어짐을 면할 수 없는 실정이다 .부속품 예컨데 자철 coil접착제등 거이 매매회사에서 직수입하고 있는 형편인것 같다. 물론 종합공업이 발달해야만 되겠기에 단편적 발달은 기하기 어려울 줄 안다. 그러나 speak의 조립 공정에서 끝마치고 있는 형편이고 보면 한심할 지경이다. 물론 speaker제작이라고 하는 것은 극히 delicacy한 면을 가지고 있다. 즉 효율은 $B^{2}$에 비례하는것은 당연하지만 효율을 높이고저 공기부하의 저항을 크게 할려면 corn의 입경이 크게 되므로 자연적으로 진동계의 질량이 크게되며 또 voice coil의 저항을 적게하자니 coil가 필연적으로 굵게되어 길이가 짧게 될 뿐만아니라 air gap 이 크게되어 자속밀도 B가 적게 되는 상반관계가 있다. Cabinet, baffle, corn, corrugation, speaker system등을 가장 합리적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 실험결과를 보고함으로서 speaker연구에 대한 욕구를 갖고 의욕적인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Voice coil 의 turn수를 바뀌었을때 impedance을 측정하였으며 turn수와 음압level 및 주파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리하여 중형 speaker의 주파수특성을 알아 설계에 기여하고저 한다.

  • PDF

제주지방 매장문화재의 발굴과 보존

  • 강창화
    • KOMUNHWA
    • /
    • no.56
    • /
    • pp.215-245
    • /
    • 2000
  •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제주도 고고학 발달사를 크게 4기로 구분하여 보았다. 제1기는 1945년 이전 일제강점기에 유적과 유물을 단순하게 보고하는 수준에 머물렀던 시기이고 제2기는 1945년에서 1983년 기간으로 향토사가와 한국 본토의 고고$\cdot$역사학자들의 부분적인 학술조사가 있었던 시기이다. 따라서 1$\~$2기는 제주 고고학의 기본적인 틀을 잡지 못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제3기는 1984년부터 1995년까지로 제주고고학에 있어 본격적인 발굴이 진행되지만 대부분이 긴급 발굴에 해당하고 소규모적인 발굴이었다. 하지만 이 시기에 와서 그 동안 발굴했던 자료와 그 이전의 발굴자료를 모아 나름대로 제주고고학의 시대 편년, 문화 변천 등의 기본적인 틀과 방향을 설정한 시기이기도 하다. 제4기는 1996년 이후 현재까지로 제주고고학의 기본적인 틀 속에서 이를 보완하고 새로운 선사문화의 단계를 설정하는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이를 뒷받침하는 계기는 제주 고산리유적, 삼양동유적 등이 연차적, 계획적, 대대적으로 발굴되면서 많은 자료가 나왔기 때문이다. 또한 고고학의 범위가 선사시대에 국한되지 않고 제주목관아지, 성읍객사지, 법화사지, 존자암지, 수정사지, 고내현청터 등 역사유적의 출토자료에 대한 관심이 더욱 집중되기에 이르렀다. 제주도내 매장문화재는 발굴된 유적 대부분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제주목관아지(사적 390호), 항파두리성(사적 396호), 고산리유적(사적 412호), 삼양동유적(사적 416호)로 지정되었다. 제주도 지석묘는 총 24기가 지방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발굴했던 선사유적 중 곽지패총, 북촌리바위그늘집자리, 용담동무덤유적이 지정되어 있다. 역사유적 중 법화사지, 존자암지가 지정되었고 일부 유적지는 복원 중이다. 제주도 문화재를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강화된 새로운 문화재법의 적절한 활용, 매장문화재 발굴 전문기관 설립, 발굴된 문화재의 원상보존, 문화재 주소록 작성, 문화재 행정 전문인력의 확보, 제주문화재의 상징물 선정과 활용, 지역문화재홍보위원의 위촉과 다양한 문화유산 프로그램의 개발을 들었다.

  • PDF

A Study on the De Morgan's Didactical Approaches for Negative Numbers (드모르간의 음수 지도 방법 연구)

  • Kwon, Seok-Il;Kim, Jae-Hong;Choi, Ji-Sun;Park, Sun-Yong;Park, Kyo-Sik
    • School Mathematics
    • /
    • v.10 no.4
    • /
    • pp.557-571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tudy De Morgan's thoughts on teaching and learning negative numbers. We studied De Morgan's point of view on negative numbers, and analyzed his didactical approaches for negative numbers. De Morgan make students explore impossible subtractions, investigate the rule of the impossible subtractions, and construct the signification of the impossible subtractions in succession. In De Morgan' approach, teaching and learning negative numbers are connected with that of linear equations, the signs of impossible subtractions are used, and the concept of negative numbers is developed gradually following the historic genesis of negative numbers. Also, we analyz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De Morgan's approaches compared with the mathematics curricul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