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역사자료

Search Result 1,01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xpected Probability Weighted Moment Estimator for Censored Flood Data (절단된 홍수 자료에 대한 확률가중적률 추정량)

  • Jeon, Jong-June;Kim, Young-Oh;Kim, Yong-Dai;Park, June-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57-361
    • /
    • 2010
  • 미래의 연별 최대 강수량 예측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역사적 자료가 도움이 된다는 많은 연구 결과가 있었다. 관측의 오차와 자료의 손실로 역사자료를 이용한 강수 예측 방법은 절단자료의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대표적인 역사자료의 이용방법으로 조건부 적률을 이용한 B17B [Interagency Committee in Water Data, 1982], 조건부적률과적률 관계식을 이용한 Expected Moment Algorithm(EMA) [Cohn et al.;1997], 조건부 확률가중적률을 이용한 Partial Probability Weighted Moment (PPWM)[Wang ; 1991]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자료를 반영하는 방법에 있어 B17B와 EMA의 관계를 밝히고 그러한 관계가 PPWM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우리는 B17B와 EMA의 관계를 적률방정식으로 표현하였고 PPWM에서 확률가중 적률 방정식을 정의함으로써 PPWM을 확장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역사 자료를 이용한 강수예측 방법론을 Expected Probability Weighted Momemt (EPWM) 방법이라고 부르고 그 예측 방법의 성능을 다른 예측방법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비교하였다. 역사 자료 방법론의 비교는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분포를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며, 각 방법론은 GEV분포의 형태모수(shape parameter)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난다는 것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여기서 제안한 EPWM 방법은 대부분의 경우에 좋은 추정량을 준다는 것을 보였다.

  • PDF

A Study of Digital Archiving Strategies for Historical Materials (역사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빙 방안 연구)

  • Chang, Yun-Keum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1 no.4
    • /
    • pp.193-203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successful overseas cases and projects of digital archiving of historical materials in order to develop continuous digital archiving strategies in this rapidly changing digital information environment.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information life cycle perspective of collection, preservation, access and use of digital archives as well as the concept of digital curation. Through the analysis, the study proposes nation-wide digital archiving policies, long-term preservation and standardization strategies for continuous services, and collaborative financial support strategies between institutions and countries for successful digital archiving and continuous improvement.

Historical Approach to the Educational Aspirations : The Influence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Kwager' to the Family and Society (한국사회의 교육열에 대한 역사적 고찰 -과학시험이 가족.사회에 미친 영향을 중심 으로-)

  • 박혜인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1
    • /
    • pp.83-92
    • /
    • 1994
  • 이 연구는 한국 전통사회의 교육별이 오늘날이 교육열과 어떻게 연관되는가를 규명 하고자 하는 역사적 고찰로서 특히 과거제도가 가족 사회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 다 자료는 관련된 역사자료와 생활자료인 1차사료와 2차사료로 대별되는데 그중에서 여성의 간찰과 구비전승된 규방가사 서사민요, 무가 등과 현장조사에 기반한 민속자료가 주요자료 로 분석되었다, 그리하여 내용분석법과 역사민속학적인 방법에 의하여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거제도의 장악을 통하여 확립된 중앙집권의 관료제와 학문숭상의 전통 그리 고 과거급제를 해야 가능해지는 관리로서의 등용을 주요가치로 지향하였던 출세주의 또 가 족의 영광은 집안남성의 과거급제라는 점에서 여성들이 내면화할 수밖에 없었던 가족주의가 적극적인 교육열의 역사적인 뿌리임을 밝혔다 이러한 전통은 교육기회가 평등해진 현대사회 에 여전히 한국인의 의식 깊숙이 내재되어 있다 그러나 학문숭상의 전통중에서 '수행'을 겸 함 학문을 추구한 사람파의 전통은 단절되고 출세를 목표로 하는 '학벌' 위주의 왜곡된 전통 만이 지속되어 과열된 교육열로 표출된다.

  • PDF

Incorporation of Historical Data into GEV Distribution with EMA (GEV 분포와 역사 자료 이용 알고리즘 EMA의 접목)

  • Sung, Jang-Hyun;Ki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9-213
    • /
    • 2008
  • 재현기간이 수백년 이상인 이상홍수의 초과확률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재현기간 이상의 홍수자료를 이용해 내삽(interpolation)을 해야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체계적(systematic) 관측자료 기간은 이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역사 자료(historical data)를 이용해 자료 길이를 확장하는 방법, 홍수자료에 비해 비교적긴 강우자료와 유출 모형에 의한 합성자료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 자료와 체계적 관측자료를 효율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EMA(Expected Moment Algorithm) 기법을 연구하였다. EMA는 Cohn 등(1997)에 의해 제안된 방법으로 미국의 공식 분포인 LP3(Log-Pearson type 3) 분포를 대상으로 반복 계산을 통해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기법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LP3 분포 대신에 최근 국내 홍수빈도해석 시 많이 쓰이고 있는 GEV(Generalized Extreme Value) 분포를 대상으로 EMA 절차를 이론적으로 유도하였다.

  • PDF

Estimating Station Transfer Trips of Seoul Metropolitan Urban Railway Stations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 (수도권 도시철도 역사환승량 추정방안 -교통카드자료를 활용하여 -)

  • Lee, Mee-Yo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8 no.5
    • /
    • pp.693-701
    • /
    • 2018
  • Transfer types at the Seoul Metropolitan Urban Railway Stations can be classified into transfer between lines and station transfer. Station transfer is defined as occurring when either 1) the operating line that operates the tag-in card-reader and that operating the first train boarded by the passenger are different; or 2) the line operating the final alighted train and that operating the tag-out card-reader are different. In existing research, transportation card data is used to estimate transfer volume between lines, but excludes station transfer volume which leads to underestimation of volume through transfer passages. This research applies transportation card data to a method for station transfer volume estimation. To achieve this, the passenger path choice model is made appropriate for station transfer estimation using a modified big-node based network construction and data structure method. Case study analysis is performed using about 8 million daily data inputs from the metropolitan urban railway.

인쇄역사문화관에는 - 3

  • Korean Printers Association
    • 프린팅코리아
    • /
    • s.23
    • /
    • pp.89-89
    • /
    • 2004
  • 대한인쇄문화협회가 조성한 인쇄역사문화관에는 고대부터 미래인쇄까지를 총망라한 인쇄역사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지난 1쳔년 동안 개발되었던 다양한 활자들이 복원돼 전시되어 있다. 본보에서는 시리즈로 인쇄역사문화관에 전시되어 있는 전시품을 소개한다.

  • PDF

인쇄역사문화관에는 - 2

  • Korean Printers Association
    • 프린팅코리아
    • /
    • s.22
    • /
    • pp.117-117
    • /
    • 2004
  • 대한인쇄문화협회가 조성한 인쇄역사문화관에는 고대부터 미래인쇄까지를 총망라한 인쇄역사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지난 1쳔년 동안 개발되었던 다양한 활자들이 복원돼 전시되어 있다. 본보에서는 시리즈로 인쇄역사문화관에 전시되어 있는 전시품을 소개한다.

  • PDF

도활자1

  • Korean Printers Association
    • 프린팅코리아
    • /
    • s.21
    • /
    • pp.67-67
    • /
    • 2004
  • 인쇄역사문화관에는 대한인쇄문화협회가 조성한 인쇄역사문화관에는 고대부터 미래인쇄까지를 총 망라한 인쇄역사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지난 1천년 동안 개발되었던 다양한 활자들이 복원돼 전시되어 있다. 본보에서는 시리즈로 인쇄역사문화관에 전시되어 있는 전시품을 소개한다.

  • PDF

한국의 건축가(10) - 배기형(3)

  • Won, Je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12 s.344
    • /
    • pp.44-48
    • /
    • 1997
  • 고 배기형 선생에 관한 역사자료를 정리하는 작업에 있어 본론의 내용이 부실한 듯해 안타까움을 느끼곤 한다. 고인에 관한 자료가 말소되다시피해 기록이 전무한 상태여서 건축가의 인생이 허무함을 느끼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구조사를 중심으로 고인의 업적이 보존되어 한국건축역사를 보다 투명하게 평가할 수 있는 풍토가 정착되지 못한 것이 아쉬울 따름이다. 구조사를 이어가는 윤홍갑 소장에게서 배기형 선생에 관한 증언을 기대하던 중 윤소장이 갑작스런 건강악화로 서울대 병원에 입원하게 돼 필자가 기대하던 보다 알찬 자료지원을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윤소장의 빠른 쾌유를 기원하면서 배기형 선생의 전기를 짜맞추어 원고를 이어가는데 전화, 메모 등으로 협력하여 주신 증인(특히 공장설계에 관한 증언은 김창서 소장, 최영규 교수, 주경재 교수 협조 내용임) 여러분에게 지면을 빌어 감사드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