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역사/문화적가치

Search Result 52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가덕도 외양포 연안공간 개발에 관한 연구

  • Byeon, Seon-Hwa;Hong, Sun-Yeon;Sin, Ji-Won;Jeong, 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113-114
    • /
    • 2016
  • 일제강점기 부산의 연안공간은 경제, 사회적 시설이 집중되는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로 인하여 부산의 연안공간에는 역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역사문화자원이 산재해 있다. 하지만 부산 연안에 위치한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발굴과 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역사문화자원이 사장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연안공간에 위치한 역사문화자원 중 아직까지 그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는 가덕도 외양포 지역 역사문화자원을 대상으로 연안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보존활용계획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조사 및 가덕도 외양포의 역사문화적 현황을 면밀하게 조사하여 역사문화자원의 보존활용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지역주민의 의견 수렴을 바탕으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연안공간개발계획을 제사하였다.

  • PDF

A Study on Plan for Utilizing Historical-Cultural Contents in the River Basin (하천유역에서의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방안)

  • Ho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17-417
    • /
    • 2019
  • 하천의 기능은 공학적 관점에서의 이수, 치수, 환경 기능 외에도 사회적 관점에서 역사 문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우효섭, 2009). 1990년대 말부터 하천복원사업이 본격화 되면서 최근에는 하천환경 기능 외에도 친수를 포함한 역사 문화 기능이 하천관리의 주요 축으로 고려되거나 포함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하천의 역사 문화 기능을 주문하는 요구가 증가한 이유로는 하천복원사업의 지역적 획일화, 친수(심미) 요구 증대, 지역 경제성 제고, 환경(생태, 문화 등) 가치 증대 등 사회경제적 정책적 환경 변화가 기인한 부분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하천의 지속가능하고 효과적인 관리와 보전을 위한 방안으로 하천의 역사 문화적 요소를 사회 경제적, 생태 환경적 요소와 연계하는 접근방식은 유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역공동체가 형성해온 물 문화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하천유역의 역사 문화적 소재 및 자원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조사 수집된 다양한 역사 문화적 소재 및 자원은 하천사업 및 관리의 주요 콘텐츠로 활용되기 위한 창출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사회 경제적, 생태 환경적 요소와 연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역을 대상으로 문헌조사 기반의 사전조사와 심도 있는 현장조사(탐문조사 등) 수행결과를 토대로 향후 하천복원사업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역사 문화적 소재와 자원 등에 관한 콘텐츠를 도출하였다. 또한 콘텐츠 활용방안은 하천 역사 문화 자원의 세부적인 콘텐츠를 아우를 수 있는 테마설정을 통하여 대상지 및 지역특성(치수 안전, 지역요구, 물 문화 가치 등) 등을 고려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친수 측면에서 현재 수변공간을 이용하는 방문자수, 목적(산책, 스포츠, 낚시, 물놀이, 레저 등) 등에 대한 패턴과 지역 인구 현황, 접근 인프라(교통, 이동로, 편의시설 등), 주민 요구도 등 잠재적 친수도는 물 문화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주요한 고려사항이라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Method of Activation of Space of Gwangheemun Considering Historical and Cultural Speciality (역사·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한 광희문(光熙門)의 공간 활성화 방안 연구)

  • Kim, Ji Eun;Park, Eun Soo
    • Korea Science and Art Forum
    • /
    • v.19
    • /
    • pp.243-257
    • /
    • 2015
  •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selected Seoul Fortress Wall as the representative heritage of Korea to be applied for being registered as UNESCO World Heritage and announced the plan to restore and organize it, which has increased the interest to the Seoul Fortress Wall, the Historical Site No. 10. The great work to make the heritage value of Walls, 4 Big Gates and 4 Small Gates composing the Seoul Fortress wall with the length of 18.627 km to be recognized worldwide has limits if it is focused only on the physical restoration. It is because the Seoul Fortress Wall represents the long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s the space of life which connects closely the capital city and its vicinity. We need the plan to discover and utiliz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of Seoul Fortress Wall and its vicinity. Especially, Gwangheemun, which is one of the four Small Gates of Seoul Fortress Wall, is a precious cultural heritage which represents the transition of fortification technology of Chosun period as the space representing ordinary people. However, now Gwangheemun and its vicinity does not stand out the charm because of passive accessibility, landscape falling behind and absence of program. This made the lack of domestic and overseas tourists and the convenient space and various contents. This reality is because the value of space has been considered simply as a cultural heritage without considering the traditional, historical and cultural specificity.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find the meaning and value of Gwangheemun by discovering its own latent intangible cultural, historical and artistic resource, and to find the way to connect with Gwangheemun, the existing tangible traditional architectural space and the way of vitalizing Gwangheemun as a new space.

A Study on the Value Criteria and Relative Importance for Conserv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근대 문화유산의 평가 기준과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 Park, Jae-Min;Sung, Jong-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1
    • /
    • pp.12-20
    • /
    • 2013
  • This aim of this study is to support the value criteria that citizen evaluate themselves it when they found modern heritages in their town. To understand the changing of value criteria for the cultural heritage, we have to begin from early 20 century that were, however, diversified after 80's. As a result, early they evaluated with the architectural and aesthetic value mainly, after they evaluated with the social-cultural value and academical value, and nowadays they try to include the economical value and educational value. So this study rearranged and divided that value with the preservation and using value. The preservation value include the historical value, aesthetic value, social-cultural value and academical value, and the using value include the economical value and educational value. The criteria, however, don't have the equal importance, This study try to redefine relative importance score with paired comparison. As a result, Historical value is proved that most important criteria, but aesthetic value got the score lower than social-cultural value, and similar with academical values. And in using values, economical value and educational value got the low score. It means that if some researcher insist about the importance of economical value, it should evaluate lower than preservation values. This study insist that we have to include diversified values and that values have relatives score. Actually, now we mostly evaluate with the architecture and aesthetic values about modern heritage, so we are losing a lot of modern heritage. If we include the diversified values, social-cultural, academical and educational value, we can conserve our important modern heritage and revitalizing town with tourism of historical heritage.

The Value of Culture Contents on Historical Landscape of Apgujung Pavilion (압구정의 역사경관의 문화 콘텐츠적 가치)

  • Kim, Sun-Hwa;Lee, Jae-K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6
    • /
    • pp.428-441
    • /
    • 2014
  • The Han river flowing the southern boundary of Hangyang city wall was known for scenic remote villa spot. This research is about a study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value of Apgujung built on hills of the Han river by Han Myeong Hoe in the mid-15th centu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an river has been a cultural poetical place. Second, the pavilion of west river was built as thatched roof at 1454-1456, while that of east river was erected as grand villa at 1469-1473. Third, there are characteristics of periodical landscape and origin was includ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therefore, Apgujuing-dong has been recognized with the story. Han river where Apgujung was built has beautiful water landscape in spite of the landscape of modem downtown. Fourth, there are placeness and Han river of main landscape text streams nearby Apgujung sit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f Apgujung should be changed, but, the landscape value could be progressed with the application as cultural contents while the Han river flows. It could be cultivated on the application of various culture contents and story of Apgujung when the historical landscape of water system be restored in Han river.

Modern Cultural Heritage Value and Utilization of Archiving Data in Daejeon (대전지역 아카이빙 자료의 근대문화유산적 가치와 활용)

  • Choi, Jang-Nak;Lee, Sang-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7
    • /
    • pp.1-7
    • /
    • 2013
  • The reality which cannot protect existing tangible intangible modern cultural heritage in Daejeon is makes historical value and identity of a city weakened and then, this leads to absence of the foundation of urban regeneration based on the history. References as recording inheritance indicates characteristics or identity of the area and they represent the physical mental symbol of the area; images of diverse structures or sceneries with historical or cultural characteristics are contents of urban regeneration based on history and culture, which can be utilized as historical sources to verify realness of disappearing modern cultural heritage. Therefor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through this study on regional archiving can be deemed to be the first stage to bring community spirit, affection and pride to local residents. In this connection,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 policy direction not only to maintain realness of modern cultural heritage through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but also to expect formation of settling and fellowship as well as cultural economical effect from the viewpoint of urban regeneration.

Estimation for the Reduction of Atmospheric Deposition of Air Acid Pollutions in Silla Culture Region (신라문화권 지역에서 산성대기오염물질 침적량 추정)

  • 이승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79-80
    • /
    • 2002
  • 경주시는 신라 천년의 고도로서 신라의 역사와 문화가 아직도 곳곳에 남아 있는 국내 최대의 역사도시이자 유적도시로 잘 알려져 있으며, 세계적으로 역사적인 문화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불국사, 석굴암, 남산 및 고분군 등의 문화재가 분포하고 있다. 특히, 경주시 지역에는 다보탑, 석가탑, 석굴암 및 불상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석조문화재가 고 밀도로 분포되어 있다. (중략)

  • PDF

가덕도(구)등대의 문화재적 가치향상을 위한 보존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Jong-Yun;Ahn, Wo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192-194
    • /
    • 2014
  • 한일합방 직전인 1909년 12월에 초점등된 가덕도(구)등대는 가덕도의 끝단 동두말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위치는 부산 남해는 물론 거제도가 한눈에 들어오는 광범위한 시계를 가지고 있어 예로부터 군사적 지리적 요충지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가덕도는 2010년 거가대교 개통으로 교통의 요충지가 되었다. 가덕도(구)등대는 역사적 보존가치가 높아 해양수산부에 의해 등대문화유산 제8호로 지정되었고, 가덕도(구)등대의 등탑과 결합된 등대 숙사의 문화재적 가치가 높아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되었다. 등탑과 숙사가 일체화된 경우도 드물어 건축적 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숙사의 건축형태와 현관장식 등의 미관이 수려하다. 이렇게 지리적, 역사적, 건축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가덕도(구)등대는 100주년을 맞이하여 100주년 기념관, 체험숙소 등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여러 가지 유해한 요인들 때문에 문화재적 가치가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가덕도(구)등대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유해 요인 제거 및 이전 방안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문화재적 가치 향상과 환경개선, 보존관리를 목적으로 한다.

  • PDF

영혼이 쉬어가는 곳, 정원

  • 이승민
    • 주택과사람들
    • /
    • s.221
    • /
    • pp.92-95
    • /
    • 2008
  •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세계 여러 나라의 아름다운 정원을 보면 그 속에서 건축과 문화 예술적 가치의 정수를 만날 수 있다. 특히 중국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이화원, 졸정원, 유원의 세 정원을 보면 중국의 역사와 예술혼이 고스란히 숨어 있음을 느끼게 된다. 삶의 여유와 진정한 안식을 꿈꾸던 중국인들의 지혜를 탄생시킨 비밀의 정원으로 가보자.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