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역류소견점수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8초

역류증상지수와 역류소견점수의 타당성과 신뢰도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Reflux Symptom(RSI) Index and Reflux Finding Score(RFS))

  • 이병주;왕수건;이진춘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6-101
    • /
    • 2007
  • Laryngopharyngeal reflux (LPR) is the retrograde movement of gastric contents into the larynx, pharynx, and upper aero-digestive tract. LPR differs from gastroesophageal reflux in that it is often not associated with heartburn and regurgitation symptoms. Otolaryngological manifestations of acid reflux include a wide range of pharyngeal and laryngeal symptoms. Belafsky et al. developed a useful self-administered tool, the reflux symptom index (RSI), for assessing the degree of LPR symptoms. Patients are asked to use a 0 to 5 point scale to grade the following symptoms: 1) hoarseness or voice problems; 2) throat clearing; 3) excess throat mucus or postnasal drip ; 4) difficulty swallowing; 5) coughing after eating or lying down; 6) breathing difficulties ; 7) troublesome or annoying cough; 8) sensation of something sticking or a lump in the throat; 9) heartburn, chest pain, indigestion or stomach acid coming up. A RSI score greater than 13 is considered abnormal. As there is no validated instrument to document the physical findings and severity of LPR, Belafsky et al. developed an eight-item clinical severity scale for judging laryngoscopic finding, the reflux finding score (RFS). They rated eight LPR-associated findings on a scale from 0 to 4 : subglottic edema, ventricular obliteration, erythema/hyperemia, vocal-fold edema, diffuse laryngeal edema, posterior commissure hypertrophy, granuloma/granulation tissue, and thick endolaryngeal mucus. A RFS score of greater than 7 was found to suggest LPR-associated laryngitis. Although both indices (RSI and RFS) are widely used, there is some controversy about their validit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nd reliability (intra-rater and inter-rater) in LPR diagnosis and treatment. We discus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RSI and RFS with literature review.

  • PDF

인후두 역류환자에서 이동성 24시간 이중 탐침 산도 검사와 인후두 역류 소견 점수와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Ambulatory 24-hour Double Probe pH Monitoring and Reflux Finding Score in Patients with LPR)

  • 박영대;강대운;이진춘;이병주;왕수건;김광하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6-141
    • /
    • 2008
  • Background and Objectives: Laryngopharyngeal reflux (LPR) is a very common disease among outpatients of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Although there are several diagnostic tools for LPR disease and ambulatory 24-hour double-probe pH monitoring is gold standard method, empirical diagnosis by reflux symptom index and reflux finding score (RFS) are mainly used. So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ambulatory 24-hour double-probe pH monitoring and RFS in patients with LPR. Subjective and Method: Fifty patients with LPR symptoms and abnormal RFS and ambulatory 24-hour double probe monitoring were enrolled. Each items and sum of laryngeal reflux score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ambulatory 24-hour double-probe pH monitoring in upper (UES) and lower (LES) esophageal sphincter.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ambulatory 24-hour double-probe pH monitoring in UES (pH<4 and pH<5) and each item and sum of RFS. However, supine time and reflux number of UES (pH<5) were showed the partial correlations with diffuse laryngeal edema and thick endolaryngeal mucus (p=0.03, p=0.01). Although there were no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s of ambulatory 24-hour double-probe pH monitoring in LES and sum of RFS,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presented between granuloma and total time (p=0.008), upright time (p=0.008, reflux number (p=0.049) of LES. Conclusion: Although granuloma among items of RFS showed significantly correlation with the results of ambulatory 24-hour double-probe pH monitoring in 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ambulatory 24-hour double-probe pH monitoring in UES and LES and items and sum of RFS.

  • PDF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위식도 역류에 관한 연구 (Gastro-esophageal Reflux in Asthmatic Patients)

  • 서정경;인광호;이소라;이상엽;조재연;심재정;강경호;유세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836-843
    • /
    • 1997
  • 연구배경 : 기관지 천식과 위식도 역류는 성인에서 호발하는 질병으로, 위식도 역류가 기관지 천식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알려지면서 최근 두질환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나 아직 정확한 동반 빈도와 발병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서양에서는 천식환자의 약 50~60%에서 위식도 역류가 동반되고, 위식도 역류의 치료시 천식증상이 개선되었다는 보고가 있으나 국내에서는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위식도역류의 유병률과 위식도 역류 치료와 천식증상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미약한 실정이다. 방 법 : ATS(American Thoracic Society) 기준에 따라 진단된 기관지 천식환자 42명과 기관지 천식의 기왕력이 20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24시간 보행 식도 pH 검사를 실시하여 DeMeester scoring system을 기준으로 하여, 7개의 지표중 1개라도 pH 4 이하의 % time이 정상 95 percentile 보다 증가된 경우 비정상적인 위식도 역류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고, 위식도 역류가 동반된 천식환자에게 위장관 운동 촉진제인 cisapride를 8주간 투여하여 그 효과를 연구하였다. 결 과 : 기관지 천식 환자군중 11명(26.2%)에서 위식도 역류가 관찰되었고, 정상 대조군에 비해 앙와위 및 전체 시간 %가 의미있게 증가되었다. 위식도 관찰되는 11명중 4명에게 cisapride를 8주간 투여후 실시한 검사상 천식증상 지수의 감소, $FEV_1$과 PEFR 증가, 24시간 보행 식도 pH검사상 혼합점수의 감소등 천식증상 및 위식도 역류가 개선되었다. 결 론 :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위식도 역류의 유병률은 26.2%로 정상 대조군보다 높았고 특히 앙와위시 역류가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으며, 위장관 운동촉진제를 복용시 천식 증상 및 폐기능이 약간 호전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인후두역류질환 환자에서 8주 간의 양성자 펌프 억제제 사용에 따른 역류성 인후두염의 증상지수 및 소견점수의 변화양상에 대한 연구 (Change of Reflux Symptom Index(RSI) and Reflux Finding Score(RFS) after 8 Weeks Medication with Proton Pump Inhibitors(PPIs) in Laryngopharyngeal Reflux patients)

  • 김윤호;조일권;이상준;정필상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1-49
    • /
    • 2009
  • Background and Objectives : Proton pump inhibitors(PPIs) improve the symptoms of laryngopharyngeal reflux(LPR). But there is little reports about the changes of each items in reflux symptom index (RSI) and reflux finding score (RFS) after PPIs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of pre- and post-treatment score in each RSI and RFS items after 8 weeks medication with proton pump inhibitors in laryngopharyngeal reflux patients. Methods : Prospective study. Among the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08, 91 patients who had shown scores greater than 13 on the RSI and/or 7 on the RFS were studied. All patients received PPIs once daily before breakfast for 8 weeks. RSI and RFS were assessed at initial, four weeks and eight weeks after medication. Result: All RSI items were improved (p < 0.05). The globus sense followed by throat clearing, heartburns and hoarseness showed high initial RSI score than other items. And globus sense, throat clearing, hoarseness and heartburn were improved significantly more than others items. But only posterior commissure hypertrophy of RFS was improved significantly more than others items. Conclusion: Empiric PPIs therapy reduced the RSI scores and more effective for symptoms such as globus sense, throat clearing, hoarseness and heartburn among suspected LPR patients. In RFS, only posterior commissure hypertrophy has improved significantly. However, the changes of each categories of RFS were minimal (average: 0.16), therefore clinical significance is restricted in RFS.

  • PDF

위마비증과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 환자에서 Aprepitant의 효과 (Effect of Aprepitant in Patient with Gastroparesis and Related Disorders)

  • 정경원;박무인
    • 대한소화기학회지
    • /
    • 제72권6호
    • /
    • pp.325-328
    • /
    • 2018
  • 위마비증(gastroparesis)이나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chronic unexplained nausea and vomiting)으로 인한 구역과 구토에 대한 치료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위장관 촉진제에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고, 여러 부작용으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워 보다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된 본 연구는 위마비증이나 연관 증후군 환자에서 구역과 구토 증상을 줄이기 위한 aprepitant(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t) 치료의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향후 일반적인 치료에 불응성 위마비증 환자에서 새로운 약제 사용을 시도해볼 수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본 Aprepitant for the Relief of Nausea (APRON) 연구는 기질적 질환을 배제하기 위하여 최근 2년 이내 위내시경이 정상이며, 적어도 6개월 이상 조기 포만감(early satiety), 식후 만복감(postprandial fullness), 팽만감(bloating) 그리고 명치부 통증(epigastric pain)을 유발하는 증상과 함께 만성적인 구역이 있는 18세 이상의 성인 중 4시간의 위배출 검사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객관적인 지표로 0점에서 45점까지 보이는 9-증상 Gastroparesis Cardinal Symptom Index(GCSI)가 2주 이상 총 21점 이상이며, 0-100 mm의 visual analog scale (VAS)의 7일간의 구역 증상 평균 25 mm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주일에 3일 이상 narcotics를 사용하였거나 와파린이나 pimozide, terfenadien, astemizole, cisapride를 복용하였던 환자, 2배 이상으로 간 효소 수치상승을 보이거나 Child-Pugh score 10점 이상, aprepitant에 알레르기를 보이는 환자는 제외되었다. 그렇지만 metoclopramide나 erythromycin을 안정적으로 사용 중인 환자는 제외되지 않았다. 위배출 검사는 2시간에서 60% 이상 남아 있거나 4시간에서 10% 이상 남아 있는 경우에 지연된 것으로 정의되었으며, 지연된 위배출 검사 결과 자체는 환자의 등록 기준에 포함되진 않았다. 등록 기준에 포함된 환자는 1:1로 무작위 배정되어 하루 한 번 125 mg의 aprepitant 복용군과 위약군으로 나누어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약제 복용 4주간 2주 간격으로, 그리고 복용 후 2주 뒤까지 구역 증상의 호전 정도와 약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환자가 방문하는 동안 GCSI를 포함한 Patient Assessment of Upper GI Symptoms (PAGI-SYM),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daily VAS,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 그리고 정신 측정 도구와 삶의 질 도구인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15와 Short Form 36 version이 측정되었다. 구역에 대한 aprepitant와 위약의 치료 효과의 일차적 판정은 이전 항암 요법에 대한 aprepitant 연구와 같이 28일 평균 VAS 25 mm 미만이거나 치료 전 7일간의 VAS와 비교하여 28일 치료 기간 동안 25 mm 이상 감소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이차 결과는 구역의 매일 시간, 치료 중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PAGI-SYM score의 개선 등으로 확인하였다. 2013년 4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총 126명의 환자가 등록되어 aprepitant군 63명, 위약군 63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전체의 57%인 72명에서 위배출 지연이 보였으며, 나머지 43%에서는 정상 또는 빠른 위배출 소견을 보여 만성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구역과 구토에 포함된 환자군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9%에서 당뇨를 가지고 있었으며, 8%에서 수면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aprepitant군은 59명, 위약군은 63명이 연구를 끝까지 종료하였다. 일차 결과에서 aprepitant 군 46%, 위약군 40%의 구역 호전을 보여 두 치료군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상대 위험도 1.2, 95% CI: 0.8-1.7; p=0.43). 그러나 일차 분석의 두 가지 척도(28일 평균 VAS 25 mm 미만과 기저 VAS보다 평균 28일 VAS의 25 mm 이상 감소)를 모두 함께 고려한 민감도 분석에서는 aprepitant군이 37% (22/59)로 위약군의 17%(11/63)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구역의 호전을 보였다(상대 위험도 2.1, 95% CI: 1.1-4.1; p=0.01). 또한 이차 분석을 살펴보면 aprepitant군에서 PAGI-SYM 중증도 지수로 확인하였을 때, 구역(1.8 vs. 1.0; p=0.005)과 구토(1.6 vs. 0.5; p=0.001)의 중증도 및 매일 구역 시간의 감소를 보였고, 28일 동안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증가 소견을 보였다. 다른 이차 결과 분석에서 aprepitant군이 PAGI-SYM 중증도 지수의 GCSI 종합 점수(1.3 vs. 0.7; p=0.001), 상당한 증상호전, 구역 구토의 세부 점수, 팽만감 세부 점수 그리고 위식도 역류 증상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고, 매일 일기로 표현한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에 상복부 통증 중증도, 전체 증상 그리고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의 종합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다. 연구 중 발생한 부작용은 주로 경증과 중등도 정도의 부작용이 주로 발생하였지만, aprepitant군(35% vs. 17% 위약군, p=0.04)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위마비증 또는 위마비증 유사 증후군으로 인한 만성 구역 및 구토 환자의 무작위 시험에서 aprepitant는 VAS 점수를 통한 주요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는 구역의 중증도를 호전시키지 못하였지만 다른 이차적 결과에 대해서는 위약군에 대하여 호전 소견을 보였다. 따라서 aprepitant에 효과적인 반응을 보이는 위마비증 환자를 감별하는 추가 임상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인후두역류증의 진단에 있어서 후두내시경검사 소견 점수화의 유용성에 대한 재검증 (Revaluation of Reflux Finding Score(RFS) in Laryngopharyngeal Reflux(LPR))

  • 권기환;반재호;이경철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1-86
    • /
    • 2004
  • Background and Objectives : In general, ambulatory 24-hour pH monitoring is considered the current gold standard for larynogopharyngeal reflux(LPR). There is no validated instrument whose purpose is to document the physical finding and severity of laryngopharyngeal reflux.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flux finding score(RFS) and to quantify laryngoscopic findings using reflux finding score. Material and Methods : Thirty-three LPR patients confirmed by dual-probe pH monitoring and thirty patients of control were selected. The RFS was documented for each patient with telescopic laryngoscopy before treatment. For test-retest intraobserver reliability assessment, a blinded laryngologists determined the RFS on two separate occasions. To evaluate interobserver reliability assessment, the RFS was determined by t재 different blinded laryngologists.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cohort with pH-documented LPR was 45.8 years and the mean RFS was 11.4. The mean age of cotrol subjects was 52 years and the mean RFS was 5.4. The mean RFS for laryngologist no. 1 was 10.8 at the initial screening and 10.9 at the repeat evaluation. The mean FRS for laryngologist no.2 was 11.1 at the intial test and 10.9 at the repeat evalu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interobserver variability was 0.93 and intraobserver variability was 0.94. Conclusion : The RFS demonstrates excellent inter-and introaobserver reproducibility and is helpful for quantifying laryngeal finding in LPR. We can be 95% certain that an individual with a RFS greater than 7 has LPR.

  • PDF

Postnatal Management of Antenatally Diagnosed Patent Urachus with Bladder Prolapse

  • Choi, Hyun-Shin;Kim, Hae-Eun;Kim, Eun-Sun;Oh, Soo-Young;Chang, Yun-Sil;Seo, Jeong-Meen;Park, Won-Soon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2호
    • /
    • pp.262-264
    • /
    • 2010
  • 요막관은 총 배설관에서 유래된 구조물로서, 태생기에 방광의 첨부와 제대 사이를 연결해주는 관이며, 임신 8-9개월에 완전히 막히게 되어 출생시에는 정중제인대로 남게된다. 드물게 요막관이 출생 후에도 요막관 게실, 요막관 낭종, 개방성 요막관 등으로 남아 있는 경우가 있는데, 그중 가장 심한 형태가 개방성 요막관으로 이를 통해 방광이 탈출되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아는 재태연령 41주, 출생체중 3,110 g, 아프가점수 1분 1점, 5분 7점, 정상 질식 분만되었으며, 산모는 35세로 임신 기간 중 약물 복용이나 다른 병력은 없었다. 재태연령 20주 2일에 시행한 산전 초음파상 낭성의 요막관 잔여물이 발견되었으며, 태아 자기공명영상에서 방광과 연결되는 낭종이 관찰되었다. 재태연령 40주 4일에는 고형종물 양상으로 관찰되어 초기의 낭종 형태에서 변화된 양상을 보였다. 출생 후 진찰 소견상, 제대 하방에 점막으로 둘러싸인 $3{\times}4cm$의 종물이 있었으며 요도로 삽입한 도관이 종물의 개구부를 통해 나오는 것이 확인되어 종물이 요도와 연결된 천공된 상태의 방광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생후 1일에 시행한 복부 초음파상 수신증이나 다른 요로기형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생후 2일째 방광 복원술 및 요막관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생후 9일째 시행한 배설성 방광 요로 조영술에서 방광 요로 역류는 없었고, 방광 기능은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후 10일째, 정상적인 배뇨를 보여 퇴원하였고 이후 특별한 문제없이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저자들은 재태연령 20주 2일에 산전 초음파에서 요막관 잔여물로 추정되었던 낭종이 출생 후 요막관을 통한 방광 탈줄증으로 확진된 후 합병증 없이 수술적으로 완치되어 국내 최초로 보고하는 바이다.

배뇨요도방광조영술 검사 전후 부모의 불안감에 대한 비교 (Difference of Anxiety of Parents: before & after the VCUG)

  • 이나라;오정민;임형은;양재원;유기환;홍영숙;이주원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4권1호
    • /
    • pp.62-70
    • /
    • 2010
  • 목 적 : 방광 요관 역류가 있는 경우, 고혈압, 신부전, 말기 신 질환 등이 합병될 수 있다. 소아의 요로감염 시 방광 요관 역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배뇨요도방광조영술이나, 이는 요관 삽입을 요하는 침습적인 검사로서, 보호자들은 아이가 받게 될 스트레스나 통증에 대한 불안감과 걱정에, 일부 검사 자체를 거부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배뇨요도방광조영술 전후로 보호자의 불안 상태를 비교해 보고, 검사에 대한 보호자의 불안감을 낮추기 위한 사전 설명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배뇨요도방광조영술을 시행하기 전, 그림을 통해 본 검사에 대한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자세한 설명을 들은 그룹(그룹 1) 및 단순히 구두로 설명한 그룹(그룹 2)으로 나누어서, 우선 모든 보호자의 기저 양육 스트레스를 조사하였다. 또한 검사 전후로 걱정(worry), 불안(anxiety), 혼돈(confusion), 고통(pain)에 대한 지각 정도 및 불안 상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태 불안 척도(STAI-X-1) 및 visual analog scale을 이용한 동일 내용의 설문지를 검사 전 후 2회 작성하게 하였다. 결 과 : 배뇨요도방광조영술 시행 전에는 두 그룹 간 양육 스트레스나 상태 불안 척도, 걱정, 불안, 혼돈에 대한 지각 정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단지 통증에 대한 지각 정도만이 <그룹 1>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검사 시행 후에는 <그룹 2>이 <그룹 1>보다 불안과 혼돈에 대한 지각 정도가 의미있게 높은 소견 보였다(P<0.05). <그룹 1>은 검사 후가 전에 비해 상태 불안 척도 점수 및 걱정, 불안에 대한 지각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0.05), 통증은 검사 전후 간에 변화 없었다. <그룹 2>에서는 검사 후의 혼돈 및 통증의 지각 정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양상 보였다(P<0.05). 결 론 : 통증에 대한 지각 정도의 경우 그림을 보여주며 자세히 설명한 <그룹 1>이 더 높게 나타나, 배뇨요도방광조영술에 대한 의사의 사전 설명이 보호자의 검사 전 통증에 대한 지각 정도를 높여 검사를 주저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 그러나 <그룹 1>의 검사 시행 후의 상태 불안 척도가 감소하고 걱정, 불안이 의미있게 해소된 반면, 사전 설명이 없었던 <그룹 2>에서 검사 후 혼돈, 통증이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배뇨방광요도조영술 같이 침습적인 검사를 요하는 환아의 보호자에게 의사의 자세한 사전 설명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바이다.

Prader-Willi 증후군의 임상 양상 및 유전학적 진단에 관한 고찰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Analysis of Prader-Willi Syndrome)

  • 이지은;문광빈;황종희;권은경;김선희;김종원;진동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9호
    • /
    • pp.1126-1133
    • /
    • 2002
  • 목 적 : Prader-Willi 증후군(PWS)은 특징적 임상 증상을 보이는 복합적인 다기관 질환이며 유전적으로 는 부친으로부터 유래한 15번 염색체 15q11.2-13의 결함이 원인으로 밝혀진 바 있다. 과거 심한 비만에 이르기 전에는 진단이 불가능하였으나 최근 분자 유전학과 세포 유전학의 발달로 많은 환자들이 조기 진단되는 추세다. 이에 저자들은 Prader-Willi 증후군 환자들의 임상 양상 및 유전학적 원인을 분석하여 향후 조기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7년 9월부터 2001년 9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유전 대사 클리닉에서 Prader-Willi 증후군으로 진단된 24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임상 양상에 대한 조사는 병원 기록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출생력, 진단시 연령 및 성별, 병원 첫 방문시의 주소, 연령별 분포도, 진단 기준에 따른 임상적 특징, 동반된 질환 등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유전자적 진단으로는 고해상도 염색체 분염법과 형광결합보체법를 이용하여 유전자 결손을 확인하였고 SNRPN의 CpG island에 대한 methylation- specific PCR을 시행하여 모친으로부터 유래한 174 염기쌍만이 존재하는 경우에 Prader-Willi 증후군으로 진단하였다. 결 과 : 1) 평균 출생 체중은 $2.67{\pm}0.47kg$이었고 진단시 중앙연령은 1.3세로서 24례 중 17례(70.8%)가 최근 2년간 진단되었다. 2) 진단시 연령이 1세 미만의 경우 체중과 키가 평균 3-10 백분위수를 보였고 2-6세 사이에는 신장에 비해 체중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비만이 나타났다. 3) 부모가 환자에게 이상을 느껴 내원한 원인으로는 수유곤란을 동반한 저 긴장증, 불명열, 정신지체를 동반한 비만, 발달 지연 순이었다. 4) 진단 기준에 따른 임상적 특징으로 수유곤란 및 성장 장애, 영아기의 근 긴장도 저하가 가장 많은 빈도 (95.8%)를 나타냈으며 산전 태동의 미약함, 작은 손과 발 등이 그 다음 빈도를 나타내었다. 진단 기준의 점수는 진단시 3세 미만의 환자군 17례에서 평균 $7.1{\pm}1.5$점, 3세 이상의 환자군 7례는 평균 $9.6{\pm}1.5$점이었다. 5) 진단 기준의 임상적 특징 항목 외에 동반되는 질환으로 잦은 호흡기 감염(33.3%)이 가장 많았고 그외 선천성 심질환, 위식도역류 등이 있었다. 6) 대상 환아 24례의 염색체 분석 결과 15번 염색체 장완의 부분 결손이 75%(18례)이며 이중 5%(1례)가 14번 염색체와 15번 염색체의 로버트슨 전위를 보였다. 세포유전학적으로 이상이 없었던 16.7%(4례)는 모친으로부터의 이체성(maternal UPD)이 원인으로 보이며 나머지 8%(2례)는 기타 소견을 보였다. 결 론 : 영아기나 신생아기에 발생한 근 긴장도 저하와 수유곤란이 있는 경우 PWS을 감별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며 질환의 특성상 특징적 임상 소견들이 연령의 증가에 따라 현저해지기 때문에 의심되는 환아에서 유전학적인 검사가 조기에 필요하다. 또한 15번 염색체 장완 일부의 결손이 75%로 유전적인 원인 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복잡하고 다양한 유전적 원인을 가진 질환으로 향후 지속적인 유전학적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