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역량평가 체크리스트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Competency Evaluation Checklist of Design Phase VE Team (설계VE팀의 역량평가 체크리스트에 관한 연구)

  • Seo, Ha-Na;Lee, Hak-Ki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9 no.4
    • /
    • pp.154-162
    • /
    • 2008
  •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has been enforcing extensionally design phase VE(Value Engineering) to the construction costing more than 10 billion won, an importance of design phase VE accordingly is raising to get rid of a waste of cost and noneffective factors previously in construction projects. Although there are legal supports and technical effects, an effect about an introduction of design phase VE can not be applied properly because of several problems at the process. So, in this study, present competency factors of design phase VE to highly raise the output through organizing an effective team at the beginning stage of design phase VE. Find out 29 competency factors through characteristics of design VE team for the check list, classify by team knowledge, team work skill, and team attitude. Get an efficiency regarding importance and find out Competency Evaluation items of design VE team, present a Competency Evaluation plan for indicating an objective standard to Competency Evaluation by measuring relative importance as to each Competency Evaluation item.

A Study on Competency Evaluation Item of Design Phase VE Team (설계VE팀의 역량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 Seo, Ha-Na;Lee, Hak-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797-800
    • /
    • 2007
  • Value Engineering(VE) is being applied as an useful tool to eliminate the waste of cost and noneffective factors previously in construction projects.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has been accordingly enforcing extensionally design phase VE to the construction costing more than 10 billion won, an importance of design phase VE. Although there are legal supports and technical effects, an effect about an introduction of design phase VE can not be applied properly because of several problems at the process. So, in this study, try to find out competency factors of design phase VE to enforce a competency of VE team as a basic database for developing a check list, and estimate weight. For the result, find out a competency evaluation item and organize as a team knowledge, a team work skill and a team attitude. Perform a first survey to verify a reliability and propriety regarding the found competency evaluation, perform the second survey competency as to evaluation item of the found 1, 2, 3 class and then estimate the weight by AHP.

  • PDF

Development of a Demolition Construction Risk Assessment Manual (해체공사 위험성평가 매뉴얼 개발 연구)

  • Hyung, Sung-Han;Jang, Won-Jun;Lee, Moon-Bae;Moon, Y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93-94
    • /
    • 2023
  • 해체공사는 작업의 특성상 단기간에 이루어지며, 해체공사 현장에 투입되는 근로자는 일용직 근로자가 대부분으로 안전사고의 비율이 높다. 사업장 위험성 평가에 관한 지침에는 위험성 평가시 근로자를 참여토록 하고 있으나 해체현장의 특성상 근로자가 참여한다고 하여도 위험요소를 파악할 역량이 부족할 따름이다. 또한 기존의 해체공사 안전관리 매뉴얼은 구조안전성 확보를 위한 매뉴얼로 해체 근로자의 안전을 위한 매뉴얼은 없는 실정으로,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위험성 평가 매뉴얼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의 해체 및 철거공사의 사고사례를 분석하였으며, 해체 및 철거 사고시 발생한 주요 위험요소를 도출하여 작업 공종별로 유해·위험요인의 파악을 손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해체 현장 규모에 따라 대규모 현장은 빈도·강도법, 중·소규모 현장은 체크리스트법을 활용하여 위험성을 결정하고 감소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구성하였다. 잔여 위험에 대해서는 관리카드를 만들어 해체공사 완료시까지 관리하도록 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for Student Development (학생성장을 위한 초등수학 수행평가모델의 개발 및 적용)

  • Choi-Koh, Sang Sook;Park, Mangoo;Kang, Kyung Eun;Kim, Hye You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9 no.4
    • /
    • pp.625-64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feedback-enhanced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through a variety of assessment strategie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the achievements of the sixth grade curriculum standards and set the central achievement standards in core competencies. We then established an evaluation plan to take advantage of a variety of methods and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process-based evaluation during lessons. We applied this assessment model to 6th grade students while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the classroom. The result of apply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showed the improvement of students' reflective thinking ability. Also, some students who was not achieved at the level of 'N' could develop to the level of 'N + 1'. A long term research using various assessment strategies should be continued for effective help of students' mathematical development.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se Management Program for Arthralgia in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의 관절통증 사례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

  • Lee, Moo-Si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474-478
    • /
    • 2009
  • 본 연구는 2008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에 사용되고 있는 관절통증을 중심으로 한 사례관리를 수정 보안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관절통증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제안하며, 맞춤형 방문건강 관리사업의 활성화와 완성도를 높이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2007년 전국 12주 관절통증 사례관리 결과자료 분석하고, 전국 253개 보건소의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인력에 대한 자료 분석과 전국 보건소 전문가 자문회의와 토론 결과를 통해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2008년도 충청남도 관절통증 12주 사례관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value가 0.05 미만과 0.01미만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으며, 전국자료는 빈도분석, wilcoxon 부호순위 검정과 McNemar's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12주의 관절통증 사례관리의 연구기간동안 수집된 자료를 1주와 8주간, 1주와 12주간, 8주와 12주간을 paired t-test 검정과 McNemar's 검정을 실시하여 유의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2주 기간 동안 사전 사례관리 방문간호사의 교육을 통한 사례관리 서비스의 강도의 조절 및 매주로 서비스의 횟수를 조절하여 사례관리를 실시한 결과 총 109개 항목에서 1주와 8주간에 유의한 항목은 TG(mg/dl)를 비롯한 51개 항목, 1주와 12주간에는 콜레스테롤(mg/dl)을 비롯한 53개 항목, 8주와 12주간에는 지난 48시간동안 관절통증 점수를 비롯한 3개 항목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으며, 1주와 8주간은 유의하나 1주와 12주간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는 항목은 TG(mg/dl)를 비롯한 3개 항목, 1주와 8주간은 유의하지 않다가 1주와 12주간은 유의하게 나타나는 항목은 콜레스테롤(mg/dl)를 비롯한 6개 항목, 1주, 8주, 12주간의 모든 기간에서 유의한 항목은 지난 48 시간동안 관절통증 점수를 비롯한 3개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추진되고 있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사업지침에 대한 보완을 위해 관절통증사례관리 프로그램에 있어 중재 서비스 또는 프로그램의 기간은 12주간에서 8주간으로 조정 되어야 하며, 추가가 필요한 항목으로는 교육, 자기역량 강화, 운동처방, 물리치료, 약물치료, 대체요법, 식이, 영양, 생활지도 등이며, 어골도 분석을 위한 기본 틀 및 주요 구성요소를 제시 및 기여 요인 및 결정요인을 위한 논리적 모형 제시가 필요하며, 개선목표를 위한 유지증진 및 관리능력, 지기 관리 수행도 개선과 대상자별 맞춤형 사례관리를 위한 표준화된 행동 체크리스트 제작 보급 및 사례별 운동, 물리치료 지도 방법 계획 수립에 대한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