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행 수요

Search Result 67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User Customized Travel Course Recommendation Application (사용자 맞춤형 여행코스 추천 애플리케이션)

  • Kang, JuHui;Kim, EunGyeong;Kim, Seok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74-176
    • /
    • 2017
  • 매년 여행을 즐기는 여행객들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해외여행 뿐 아니라 국내 여행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국내 여행을 즐기는 여행객 수의 증가는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인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국내 여행객들의 절대 다수는 해외여행과는 달리 패키지 형태 보다는 자유여행 형태의 여행을 선호하고 있다. 이는 해외 여행지 대비 국내 여행지가 여행객들이 취득 및 분석할 수 있는 정보의 접근성이 훨씬 높고 정보의 양 역시 풍부하다는 것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 접근의 용이성 및 정보량의 풍요성은 오히려 자유여행을 즐기고자 하는 여행객들이 여행코스 및 숙소를 정하는데 많은 시간을 투자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애플리케이션은 국내 여행객들이 편리하고 손쉽게 국내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여행코스 및 숙소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안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국내 여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각종 포털 사이트와 SNS에서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 정보와의 매칭을 통해 맞춤형 여행 코스 제안 및 숙소 예약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국내 여행을 즐기는 여행객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국내 여행객 수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commendation Sites Based on Web Data using Morphological Analysis (형태소 분석을 활용한 웹 데이터 기반의 여행지 추천 사이트의 설계 및 구현)

  • Yoon, Kyung Seob;Lim, Dong 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311-314
    • /
    • 2018
  • 매 년 여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찾는 사용자들의 수요가 많아지게 되었다. 현재 존재하는 여행 정보 사이트들은 사이트 회원들의 좋아요 수를 활용하여 여행지를 추천해 주기 때문에 사이트의 사용자가 많지 않을 경우 실제로 인기 있는 여행지인지 확인할 수 없어 추천 정보의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웹상에 산재되어 있는 여행 관련 데이터들을 수집한 후 실제로 각 여행지들이 웹 사이트에서 얼마나 언급 되었는지 분석하여 언급 수로 여행지를 추천하는 시스템으로써 사이트의 사용자수에 구애받지 않는 보다 신뢰도 높은 여행지 추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Sketch-based Visual Bookmarking for Trip Planner System (스케치 기반의 비주얼 북마킹을 이용한 여행 플래너 시스템)

  • Lee, Ha-Young;Kim, Hyo-Woo;Jeon, Jae-Woong;Choy, Yoo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442-444
    • /
    • 2012
  • 소셜 미디어 환경의 도래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자신만의 콘텐츠를 생성하고 공유하는 일이 많아졌다. 특히 여행이 대중적 취미로 자리잡으면서 여행에 관련된 콘텐츠도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여행 콘텐츠를 위한 효율적 시스템은 많지 않으며 기능이 미약하거나 복잡한 인터페이스로 인해 사용률이 낮은 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스케치 기반의 비주얼 북마킹을 이용한 여행 플래너 시스템을 제안한다. 사용자가 스케치와 제스처를 사용한 비주얼 북마킹을 이용하여 여행지에 관련한 자료를 간단한 태그를 붙여 북마크를 생성하면 지도 위에 자동으로 북마크가 생성되어 사용자는 북마크의 위치를 보고 루트를 정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여행의 목적을 잘 표현할 수 있는 여행 일정을 쉽고 다양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만의 여행 후기를 정리하여 다른 사람들과 쉽게 공유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wo-Way Communicatable Application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여행 어플의 설계 및 구현)

  • Yoo, Woo-Jong;Lee, Seul-G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422-42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여행지 소개 어플을 개발하여 여행을 좋아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효율적인 여행정보를 알려줌과 동시에, 테마별(연인, 가족, 캠핑, 휴양지 등)로 국내 여행지에 관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해주기 위해 이를 요약 정리해주도록 설계 및 구현하였다. 기존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유사한 어플은 개발자가 서버에 저장해 놓은 내용만 볼 수 있고, 어플 이용자가 저장하고 싶은 내용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어플은 이용자가 여행지 및 여행정보를 추가할 수 있고, 카테고리별로 분류한 후 저장하여 볼 수 있고, 게시판을 통해 이용자 상호간에 정보교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어플을 설치하여 활용한다면 언제 어디서든지 여행관련 정보를 편리하게 습득하여 효율적으로 여행을 즐기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evelopment of FCM service in connection with travel Items for free individual travelers (자유개별여행자를 위한 여행상품과 연계된 FCM서비스 개발)

  • Park, JiHoon;Jeong, Hogyoun;Ru, HongR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1a
    • /
    • pp.69-72
    • /
    • 2018
  • 최근 증가하고 있는 자유개별여행자들의 경우 항공권, 숙박 등의 여행상품을 개별로 구매하고 여행지에서 지역 여행정보를 통해 여행상품을 구매한다. 일반적인 여행 앱에서는 여행자에게 일괄적으로 관광 상품 메시지를 전송한다. 하지만 해당 여행지에 대한 정보 메시지를 여행 시간대별로 받는다면 여행자는 그 정보를 토대로 좀 더 다양한 여행을 즐길 수 있으며, 해당 지역의 여행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경우 효과적인 홍보 마케팅이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 여행지를 여행하고 있는 여행자에게 스케줄링된 여행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FCM기반의 푸시서비스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 PDF

Travel note system based travel schedule (여행 일정기반의 여행노트시스템)

  • Park, JiHoon;Jeong, Hogyoun;Ru, HongR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257-259
    • /
    • 2017
  • 본 논문은 여행상품 일정의 POI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여행 스케줄러에 따라 실제 여행이 이루어지고 여행 중에 촬영된 사진과 여행자가 작성한 여행상품 리뷰 및 여행기 등의 정보를 매시업하여 여행노트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무엇보다 여행자가 일일이 자신의 여행 스케줄을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이 여행중에 편리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 PDF

Study on Algorithm to Generate Trip Plans with Prior Experience Based on Users' Ratings (사용자 평점 기반의 사전 체험형 여행계획 자동생성 알고리즘)

  • Jung, Hyun Ki;Lim, Sang Min;Hong, Seong Mo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3 no.12
    • /
    • pp.537-54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n algorithm which generates trip plans based on rating points of travel app users and travel experts to help potential travellers experience their desired destinations in advance. This algorithm uses the above rating points and the gradually created hierarchy to generate the most preferred and efficient trip courses. Users can go through video clips or panoramic VR videos of the actual destinations from their trip plans generated by the algorithm which may add excitement to their actual trips. With our heuristic methods, the more users input their ratings, the better trip plans can be generated. This algorithm has been tested on android OS and proven efficient in generating trip plans. This research introduces a way to experience travel destinations with panoramic VR video and proposes the algorithm which generates trip plans based on users' ratings. It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travellers' trip planning and to contribute growth in the travel market.

A study on 2015 travel trend through 'Kim Kwang-Seok Road in Daegu' ('대구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을 통해 본 2015년 여행트렌드)

  • Lee, hye-eun;Choi, he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49-250
    • /
    • 2015
  • 대구에 소재한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의 인기요인을 분석해보면 2015년 여행 트렌드는 일상과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해 위안을 주고, 시간과 비용 문제로 인해 근교에 위치한 여행지를 선호하고 있다. 그리고 현지인들의 문화를 엿볼 수 있고 일상을 교류할 수 있는 곳임과 동시에 혼자서도 쉽게 할 수 있는 여행을 선호하고 있다. 일상에서 오는 소박함으로부터 사람들은 여행의 만족을 느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User customized travel information service (사용자 맞춤 여행정보 서비스)

  • Lee, Min-Bo;Lee, Go-Uk;Koh, Jeong-g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05a
    • /
    • pp.808-810
    • /
    • 2016
  • 주 5일 근무 형태의 확산에 따라 여가 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휴일이나 주말에 여행을 떠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국 내외 여행을 위해서는 여행정보 수집 및 일정편성의 번거로움 때문에 여행사의 상품을 많이 활용하지만 개인적으로 원하는 일정의 여행을 할 수 없어서 최근에는 여행 일정을 사용자가 직접 계획하는 개별 여행도 확산 추세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여행자의 취향과 선호도 등을 반영한 여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 여행정보 서비스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motional Travel Planning App Using Data Mining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감성적 여행 계획 앱 연구)

  • Hyun-woo Seo;Am-Suk O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549-55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감성적 여행계획 제공 앱으로 각 개인에게 알맞은 맞춤형 여행계획 추천 어플을 연구하고자 한다. 여행 계획에서 여행자들이 더 좋은 경험을 하도록 돕고 앱을 통하여 여행을 최대로 즐길 수 있으며 앱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숙소, 관광명소, 음식점 등의 자료제공으로 최상, 최적의 숙소 체험, 훌륭한 음식점 예약, 주변의 좋은 여행지를 검색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아울러, 어떤 여행을 계획하든 제공하는 앱으로 간편하게 감성적으로 여행을 계획하고 그 체험과 정보들을 다른 사람들에게도 여행 가이드로 추천,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