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성건축가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Men's Jewelry using Mario Botta's Architectural Images (마리오 보타의 건축이미지를 이용한 남성장신구)

  • Park, Seung-Chul;Ryu, Ki-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8
    • /
    • pp.231-236
    • /
    • 2009
  • Men's jewelry are thought to have a limited role as assisting women's jewelry or wedding gifts. The variety of designs are limited, and most of them are just copies of Japanese designs. In order to bring out a new kinds of variety in men's jewelry design, I have chosen architectural structures as a motif. Architectural structures have strong symbolical meanings that express man. They are powerful and challenging, and symbolize wealth and authority. Mario Botta, the wolrd famous architect is an architect with this kind of spirit. His architectural style does not lose his own color in a chaotic situation, but keeps the feeling of shape and space on the basis of locality. In this study I have started with a motif that may express specific and modem feelings by compressing the shape and spatial images of Mario Botta's structures minimally into men's jewelry in order to grope the possibilities in all aspects. I have done these in order to rediscover the beauty of the architectural structures by using the shape and spatial images that are found in Botta's structures, so that I may propose a new kind of men's jewelry with stresses on their shapes.

A Study on the early modernist woman architect, Margarete Schutte-Lihotzky - A Revolution of woman's space or an assignment to the new industrialization? - (초창기 모더니즘 여성 건축가 마가레테 쉬테-리호츠키에 관한 연구 - 여성 공간의 혁명인가 아니면 새로운 기계화로의 편입인가? -)

  • Lee Ran-Pyo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4 no.3 s.50
    • /
    • pp.20-27
    • /
    • 2005
  • The built-in kitchen that is seen in every household is one of the achievements of the modernism architecture in early 20th century. Developed on the basis of two axis, one of which is the high industrialization and the other the sceptical assessment on the traditional value-system, the 20th century was launched in the form of the twofold entanglement, through the unfolding of which the cultural code of the modernism could be operated. The Quantification of the psychic that was attempted by H. v. Helmholtz and E. Mach in the pursuit of the reunification of sensation to the normal science was the first thread of that, while the second the break-down of the authoritative ideology and the emancipation of woman labour, which were initiated by the leftist movements. In this situation Margarete Schutte-Lihotzky was the woman architect who has tried to overcome the patriarchism in the household through architectural work by dwelling on that the emancipation of the housewives from the inefficient household labour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accomplishment of human freedom. She applied the modernist functionalism to the designing the kitchen for that purpose and outlined the effective range and operational realm of the rationalization. After all this the future preoccupying endeavor became the decisive moment that gave birth to a a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good deliberated design of the kitchen in the present. This study is purposed to actualize the architectural ideas of Lihotzky into the present context through the consideration on the Frankfurt Kitchen of her and to grop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feminism on the common horizon of the functionalist architecture and the women's liberation.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 of German modernist woman architect Lilly Reich - Focused on the Exhibition and Interior design activities between 1920-1931 - (독일 모더니즘 여성 건축가 릴리 라이히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1920-1931년 사이의 전시디자인 및 인테리어 디자인 활동을 중심으로 -)

  • Lee Ran-Pyo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5 no.1 s.54
    • /
    • pp.12-19
    • /
    • 2006
  • As an exhibition designer, clothing and furniture designer, and woman architect in Germany during the 1920s and'1930s Lilly Reich was an important pioneer of modern design and one of the most respected practitioners. In spite of that she has been until recently known primarily for the work she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the architect Ludwig Mies van der Rohe, because his fame has overshadowed her own contribution. For the first time only after her own works have been presented by MoMA in 1996, her artistic world could begin to be illuminated. This study discusses not only her collaboration with Mies van der Rohe, but also her own work as an individual artist. The aim of this study is concentrated on two aspects, which have been unexplored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One of them is related to her effort, the essential elements and principles of the exhibition design disciplinarily to stand and through this the methodological basis of exhibition design to found. Another aspect is the contribution to the functionalist architecture by keeping in harmony the standardization and the individualism. This study is purposed to re-actualize the interior-architectural ideas of Lilly Reich into the present context through the consideration on the collaborations with Mies van der Rohe and her own works and to illuminate her complementary efforts to the functionalist architecture.

A Study of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Depicted on Andre Courrs Fashion Design (앙드레 꾸레쥬의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건축양식 특성연구)

  • Kyoung-Hee C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23
    • /
    • pp.25-43
    • /
    • 1994
  • 앙드레 꾸레쥬는 자신의 디자인에 건축적 조형미를 표현한 대표적인 디자이너이다. 그의 디자인들은 라인 뿐 아니라 색채, 소재, 액세서리에 이르기까지 건물을 짓듯이 설계, 구성되어 있다. 최근 복식미의 건축적 조형성이 강조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60년대 이미 선구자적인 역할을 하면서 자신의 건축가적인 기호를 유감없이 발휘해온 꾸레쥬를 연구한다는 것은 21세기를 향한 패션의 발전 측면에서 조금이라도 의미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앙드레 꾸fp쥬가 가장 활발히 활동했던 1974년에서 1970년까지 그의 디자인들을 집중 연구하였는데, 그의 패션디자인에 건축양식의 특징들이 어떻게 나타났는지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사용된 실제의 옷 샘플들은 뉴욕 메트로폴리탄 예술박물관내의 Costume Institute Storage 에 있는 의복과 액세서리들을 직접, 관찰 , 분석한것이고 그 박의 사진들은 패션과 건축에 관한 서적과 잡지, 박물관내의 Slide Library , 그리고 Costume Institute Library Collection에서 발췌 , 비교 연구한 것이다. 일찍이 엔지니어링과 건축을 공부했던 앙드레 꾸레쥬는 50년대의 패션 디자이너의 거장 발렌시아가 밑에서 10년 넘게 일하다가 독립하였는데 그의 디자인 세계는 줄곧 여성들이 입고 편히 활동 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강조하면서 단순하고 편안한 의복 구성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자신의 패션 철학과 의복제작 과정들은 현대건물이 갖는 단순성, 기능성의 특징과 일치한다고 믿었다. A. 라인(Line) 앙드레 꾸레쥬는 패션 디자인에서의 비레는 건축에서구조를 쌓아가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고 옷에서의 기본 구성을 기하학적인 라인에 두었다. 그래서 그의 옷들은 A-라인, 사각형, 사다리꼴,,, 등의 분명한 실루엣을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기본라인을 뒷받침이라도 하듯 소매가 아주 짧거나 없는 것이 특징이다. 황금분할이 아닌 1 : 1 구성은 그가 독특하게 사용한 비례방법의 하나인데 그것은 자켓과 스커트의 길이비례, 요크와 몸판간의 면적비례 등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그는 , 의복구성의 비례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한 강한 색상의 대비를 현대건물의 인테리어에 빛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설명한다. B.색상(Color) 흰색은 그러한 그의 비례강조 의복에 가장 적절한 색으로 사용되었다. 그는 빨강, 오렌지, 녹색, 분홍등 강렬한 원색을 사용하였는데도 불구하고 흰색은 그의 건축양식 발상의 Ideo를 완성시키는 완전한 색이었다. 뜨거운 날씨에 흰색이 가장 기능적인 색인 것처럼 강한 원색 대비를 통해 비례강조를 하면서 동시에 그것을 뒷받침하는 가장 합리적이고 기능적인 색은 흰색이라고 믿었다. C. 소재 (Material) 앙드레 꾸레쥬는 건물을 짓듯이 사람위에 옷을 건축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자연히 둔탁하고 딱딱한 소재가 많이 사용되었다. 비닐, 금속류, 시퀸스처럼 광택나고 투명한 재료 선호는 그 당시 현대 건축에서 선풍적으로 많이 사용되었던 유리, 금속류, 크리스탈 등 비치고 광택나는 건축재료와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그러한 선국적인 내료 사용결과로 보여진 괴상하고 선정적인 그러면서도 아주 단순한 패션은 미래 지향적인 건축양식 구조의 " Simple", "Plain" 느낌과 정확하게 같은 것이다. 이상과 같이 앙드레 꾸레쥬는 옷을 디자인 했다기 보다는 건축했다. 주목할만한 점은 60년대 말 당시 발표되었던 그의 건축 구조적인 디자인의 특징들이 21세기를 앞둔 90년대에 다시 크게 유행하고있다는 점이다. 꾸레쥬 역시, 최근 자신의 디자인을 통해 건축적 조형미와 미래지향적 이미지를 더욱 강조하고 있는 것을 볼 수있다. 단순하면서 우주공간을 선회하는 듯한 입체적인 라인, 흰색을 비롯한 자연에 가까운 색을 중심으로 하되, 밝은 색조의 하이라이트, 플라스틱, 금속류와 같이 딱딱하고 광택나며 비치는 재료 사용,, 등등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그에 미래 지향적이고 조형적인 디자인들은 앞으로 어떻게 더 모험적인 모습으로 선보일지 우리 모두가 주목할만한 일인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