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여과압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8초

3D 프린팅 재료를 이용한 X-선 부가 여과 시 광자 스펙트럼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Photon Spectrum for the use of Added Filters using 3D Printing Materials)

  • 조용인;이상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5-23
    • /
    • 2022
  • 3D 프린팅 기술은 의료,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소재 개발을 통해 금속 분말이 함유된 물질 등이 상용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의실험을 통해 진단 X-선 검사 시 3D 프린팅 재료를 이용한 부가 여과 시 광자 스펙트럼을 분석하고자 한다. 몬테카를로 기법 중 MCNPX(ver. 2.5.0)를 이용하였으며, 첫 번째, 진단 분야에서의 X-선 스펙트럼 생성 프로그램인 SRS-78, SpekCalc를 통해 모의실험 내 발생된 광자 스펙트럼에 대한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두 번째, 금속분말이 함유된 3D 프린팅 재료에 대한 특성 평가를 위해 기존 Al, Cu 필터와 동일한 두께 내 광자 스펙트럼을 획득하였으며, 관전압 변화에 따른 광자 플루언스 및 평균 에너지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여과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PLA-Al는 기존 Al 필터 대비 약 1.2 ~ 1.4배, PLA-Cu는 Cu 필터 대비 1.4 ~ 1.7배 정도의 두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의료분야 내 3D 프린팅 부가 필터 제작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진단방사선 영역에서 피폭선량 감소를 위한 기술적 연구 - 관전압과 부가여과판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Reduction of Radiation Dose in the Field of Diagnostic Radiology - A Point of Tube Voltage and Filtration -)

  • 하호영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15권1호
    • /
    • pp.89-97
    • /
    • 1992
  • X-ray quality is identified numerically by half value layer(H.V.L) and the HVL is affected by the kVp and the amount of filtration in the useful beam. X-ray quality evaluated by H.L.D is influenced by kVp and filtration. Author had several experiments with phantom in diameter of 8 cm normal adult chest, for reduction of radiation dose of the patients in diagnostic radiology and got some results. 1. H.V.L is increased the thicker the filter and the higher the kVp. 2. If the kVp is increased from 60 to 120, the skin dose can be reduced as 34%(Skin dose of 60 kVp with 4 mmAl filter : 100%). 3. If the 4 mmAl filter with 60 kVp is added to x-ray tube, skin dose can be reduced as 23% than no filter. 4. Therefore high kVp and filtration can increase output to input dose ratio and 120 kVp and 4 mmAl filter were most effective for reduction of patient dose in chest radiography.

  • PDF

EGTA를 첨가한 한외여과 탈지유의 물성에 미치는 초고압의 영향 (Hydrostatic Pressure Effects on Physical Properties of Ultrafiltrated Skim Milk in the Presence of EGTA)

  • 김영주;;;이창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2-37
    • /
    • 2001
  •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otein concentration, EGTA and strength of hydrostatic pressure on pH, viscosity and turbidity for ultra filtrated skim milk retentates. The results showed that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s up to 600 MPa did not affect the viscosity of skim milk, while the turbidity of skim milk increased at higher than 200 MPa. Addition of EGTA caused reduction in turbidity of skim milk, two times (2SR) and three times (3SR) concentrated skim milk retentates. Viscosity for 2SR and 3SR in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amount of EGTA, but viscosity of skim milk was not influenced by EGTA. High pressure treatment also did not cause any difference in viscosity and turbidity of skim milk. However, this treatment decreased viscosity and turbidity for 2SR and 3SR. In particular, 200 MPa treatment showed to induce a higher decrease in turbidity compared with 400 MPa.

  • PDF

축산 폐수의 전처리 방법과 역삼투압 처리 (Reverse Osmosis Treatment of Swine Wastewater with Various Pretreatment Systems)

  • 박순주;김문일;김도윤;장호남;장승택
    • 청정기술
    • /
    • 제9권2호
    • /
    • pp.49-55
    • /
    • 2003
  • 우리나라엣 발생되는 축산 폐수는 $130,00m^3/day$로 전체 폐수의 0.43%에 불과하지만 총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의 8.6%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생활폐수나 산업폐수와 달라 높은 질소, 인을 함유하고 있어 강이나 호수의 부영양화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 축산폐수는 각 농가 당 폐수 발생량이 $2.5m^3/day$에 불과해 소규모이어서 경제적인 처리 방법이 필요하다. 부유물질 제거를 위해 미세여과 공정대신 충전탑을 이용한 전처리 방법을 통해 90% 이상의 부유물질을 제거하고 이어 역삼투압 방법을 적용하면 전질소와 전인의 제거율은 95%이상이나 되어 방류수는 전질소는 200 mg/이하, 전인 1 mg/L이하로 환경부의 축산폐수 배출수 수질 허용기준인 전질소 260 mg/L, 전인 50 mg/L이하를 충분히 만족 시킬 수 있다. $2m^3/day$의 축산폐수를 처리하는데 $0.4m^2$의 역삼투압 막 면적만 필요해 효과적인 소규모 처리시설이 가능함을 밝혔다. 처리에 소모되는 전력량도 월 30 Kwh로 에너지 절약적인 공정이 가능함을 예측하였다.

  • PDF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정액의 특성과 정자의 운동성 (Properties of Semen and Sperm Motility in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 장영진;임한규;고강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9-157
    • /
    • 1995
  • 양식어류의 정자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순환여과 사육시스템에서 사육한 전장 $21.8\pm2.8cm$, 체중 $173.8\pm67.5g$의 감성돔, Acanthopagus schlegeli을 재료로 하여, 정액의 물리$\cdot$화학적 특성과 $Na^+,\;K^+,\;Mg^{++},\;Ca^{++}$ 농도별 삼투압에 따른 정자의 운동성을 평가하였다. 개체당 1회 착출시 정액량은 평균 1.97ml였으며, 정자의 농도는 $2.33\pm1.30\times10^{10}$ sperm/ml, spermatocrit는 $90.6\pm5.0$이었다. 정액의 pH는 $8.3\pm0.1$이었으며, 사육해수와 정장 및 혈장의 삼투압은 각각 $939\times24,\;382\pm70,\;342\pm77$ mOsm/l, 정장의 $Na^+,\;K^+,\;Cl^-$ 농도는 각각 $169.5\pm4.5,\;4.9\pm2.2,\;156\pm2.0$ mM/l였다. $Na^+,\;K^+,\; Mg^{++}$$Ca^{++}$결여 인공해수에 정액을 희석시켰을 경우, $Na^+$ 결여 인공해수에서만 정자의 운동이 개시되지 않았다. $Na^+$결여 인공해수에 1M NaCl을 서서히 첨가하여 삼투압을 상승시켰을 때, 삼투압 $1398\~1736$mOsm/l에서는 정자의 운동성이 낮았으나, $457\~l128$ mOsm/l에서는 높은 운동성을 보였다. NaCl 첨가시와 같은 방법으로 $K^+,\;Mg^{++}$$Ca^{++}$ 결여 인공해수에 1M의 KCl, $MgCl_2$$CaCl_2$ 처리를 한 경우, 각각의 삼투압 범위 $904\~1434,\;818\~l175$$956\~1343$ mOsm/l에서 정자의 운동성이 높았다.

  • PDF

GATE 시뮬레이션을 사용한 알루미늄 부가필터 두께에 따른 Digital Radiography의 영상 화질 비교 평가 (Comparison Evaluation of Image Quality with Different Thickness of Aluminum added Filter using GATE Simulation in Digital Radiography)

  • 오민주;홍주완;이영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81-86
    • /
    • 2019
  • X-선 영상에서 필터를 통한 여과의 역할은 영상 형성에 유용한 광자를 이용해 환자의 피폭량을 낮춤과 동시에 영상의 대조도를 높이는 것이다. 영상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저에너지 X-선은 환자 조직의 최초 몇 cm 부위에서 흡수되고 고에너지 부분만을 통과하여 형성되므로, 방사선 여과는 여과물질을 삽입하여 저에너지 X-선을 여과물질로 하여금 흡수시켜 환자의 피폭량을 낮추고 영상의 질을 높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상적인 환경에서 부가 필터가 방사선 영상 촬영 시 영상의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실제 방사선 영상을 촬영할 경우와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Geant4 Application for Tomographic Emission (GATE)를 이용해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hantom의 실제 크기, 모양과 재질을 모사하고 부가 필터의 사용유무 및 필터의 두께에 따른 촬영 조건을 설정하여 시뮬레이션 결과 영상을 얻어냈다. 또한, Digital Radiography (DR)장비로 실제 PMMA Phantom을 필터가 없는 경우와 필터가 있을 때 그 두께를 변화시키며 촬영했다. 시뮬레이션의 결과 영상과 실제 실험을 통해 얻은 영상을 각각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해 Contrast-to-noise ratio (CNR) 평가를 실행한 뒤, 시뮬레이션 결과 영상과 최종적으로 도출된 두 영상의 변화 추이를 비교 측정했다. 실험 결과 DR장비와 시뮬레이션 영상 모두 CNR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는 결국 영상에서의 대조도 감소로 인해 나타난 결과였다. 이론적으로 관전압 (kVp)이 증가하면 대조도가 감소하고, 이를 통해보았을 때 필터는 저에너지부의 X-선을 흡수하면서 전체적인 선량을 감소시키지만, X-선의 평균에너지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볼 수 있었다.

서식적합도와 생태지표를 이용한 거제한산만 굴양식장의 입식밀도 산정 (Estimation of Stocking Density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and Ecological Indicator for Oyster Farms in Geoje-Hansan Bay)

  • 조윤식;이원찬;홍석진;김형철;김정배;박정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5-191
    • /
    • 2012
  • 대부분의 국내 어장들은 반폐쇄성 내만에 집중되어 있으며, 장기 양식과 높은 입식밀도에 의한 연안오염에 매우 취약한 위치를 점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양식을 위하여 어장관리가 매우 중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적지선정과 생태학적 환경수용력을 함께 고려한 최적 입식밀도 산정이 될 수 있다. 거제한산만 굴양식장의 입식밀도 산정을 위하여 0.0이 비적지, 1.0이 적지임을 나타내는 서식적합도(Habitat suitability index)와 생태지표인 여과압 지표(Filtration pressure indicator)가 이용되었다. 거제만의 서식적합도는 0.75로서 한산만 0.53보다 높았으며, 이는 거제만이 굴양식에 좀 더 적합함을 의미한다. 생태지표는 연안특성에 따라 다른 입식밀도를 나타내었으며, 결과적으로 거제만의 굴양식장에 대하여 현 입식밀도와 비교하여 평균 40%, 한산만은 평균 60% 저감 입식하여야 생태학적 환경수용력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식밀도의 산정은 현재 국내 양식업이 직면한 연안오염, 환경악화, 생산성 감소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연구는 어장관리 정책 설립에 대한 과학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비료 유도용액의 정삼투를 이용한 하수의 재이용 및 농축 (Reuse and Concentration of Sewage by Forward Osmosis Using Fertilizer as Draw Solution)

  • 김승건;이호원
    • 공업화학
    • /
    • 제30권1호
    • /
    • pp.122-13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하수의 재이용과 농축에 비료를 유도용액으로 하는 정삼투 기술을 적용하였다. 1차 침전지 유입수를 30 min간 정치한 상등액(Sewage-1), 1차 침전지 유출수를 30 min간 정치한 상등액(Sewage-2), 1차 침전지 유출수를 $1{\mu}m$ 카트리지 필터에 의해 여과한 여과액(Sewage-3)의 3종류의 하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도용액은 삼투압, 용해도 및 pH를 고려하여 $NH_4H_2PO_4$, KCl, $KNO_3$, $NH_4Cl$, $(NH_4)_2HPO_4$, $NH_4NO_3$, $NH_4HCO_3$$KHCO_3$의 8종류의 유도용액을 사용하였다. Sewage-3를 대상으로 한 경우의 수투과선속은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수투과선속과 거의 유사하였으며, Sewage-1와 Sewage-2의 수투과선속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비역용질선속은 $NH_4H_2PO_4$가 가장 작았으며, 반대로 $NH_4NO_3$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 사용된 유도용액 중에서 $NH_4H_2PO_4$는 비료의 주요 성분인 질소와 인을 포함하고 있을 뿐 아니라 낮은 비역용질선속을 갖고 있어서 하수의 재이용과 농축에서 가장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NH_4H_2PO_4$를 유도용액으로 사용한 경우, Sewage-3에 대한 24 h 후의 농축인자는 1.72이었다.

나노여과 기반 용량성 탈이온화의 진전 (Progress in Nanofiltration-Based Capacitive Deionization)

  • 심정환;라즈쿠마 파텔
    • 멤브레인
    • /
    • 제34권2호
    • /
    • pp.87-95
    • /
    • 2024
  • 최근 연구는 역삼투압(RO), 나노여과(NF) 및 전기투석(ED)과 같은 막 공정에서 고급 용량성 탈이온화(CDI) 및 막 변형(MCDI)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담수화 및 수처리 방법을 탐구합니다. 비교 분석은 저염도 시나리오에서 ED의 비용 효율성을 보여주는 반면 하이브리드 시스템(NF-MCDI, RO-NF-MCDI)은 향상된 염 제거 및 에너지 효율성을 보여줍니다. 새로운 이온 분리 방법(NF-CDI, NF-FCDI)은 향상된 효율성과 에너지 절감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또한 다양한 산업에 특정한 복잡한 폐수를 처리하는 데 있어 이러한 방법의 효율성을 강조합니다. 환경 영향 평가는 시스템 선택의 지속 가능성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마이크로 제작된 센서를 멤브레인에 통합하면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기술 개발이 진전됩니다. 이러한 연구는 새로운 담수화 및 수처리 기술의 다양성과 가능성을 강조합니다. 이는 효율성 향상, 에너지 사용 최소화, 산업별 문제 해결 및 기존 방법 한계를 능가하는 혁신을 위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효율성 향상, 환경 영향 최소화 및 적응성 보장에 초점을 맞춘 지속적인 발전으로 지속 가능한 수처리의 미래는 밝습니다.

NF/RO 멤브레인 공정을 적용한 고체추진제에서 추출된 암모늄 퍼클로레이트 (AP) 처리 연구 (Treatment of AP Solutions Extracted from Solid Propellant by NF/RO Membrane Process)

  • 공충식;허지용;윤여민;한종훈;허남국
    • 멤브레인
    • /
    • 제22권4호
    • /
    • pp.235-242
    • /
    • 2012
  • 로켓 추진기관의 해체 시 발생하는 고농도 암모늄 퍼클로레이트(AP)를 액상소각 처리 후 추가로 발생하는 저농도의 AP처리를 위해 NF/RO 멤브레인 공정을 적용하였고, 이때 AP제거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도출하기 위해 다양한 수리화학적 조건에서 전량여과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고체 추진제에서 추출된 용액을 GC/MS와 FTIR분석을 통해 규산염 계열의 실록산 등을 검출하였으나, 이는 극미량이 포함되어 NF/RO 멤브레인 공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의 운용조건에서는 높은 압력조건과 비교하여, 회수율 증가에 따라 농축된 AP의 삼투압 기작이 투과플럭스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13~17% 가량 플럭스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AP의 제거율은 수리화학적 운영조건의 변화(압력 및 교반 속도 등)에 따라 크게 좌우됨을 알 수 있었고, 이 경우 NF와 RO 멤브레인 제거율은 각각 10~70%와 26~87% 가량 크게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NF/RO 멤브레인 공정을 적용한 AP 제거 기작에서 수리화학적 운영조건의 변화에 따른 농도분극, 멤브레인 선택성 및 삼투압 영향이 중요 지배 기작이었으며, 이는 'NF/RO 멤브레인의 물질이동과 선택성'의 기존 이론적 모델과 부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