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여과수질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33초

기다센쮸 터미널의 중수도 시스템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32호
    • /
    • pp.115-120
    • /
    • 1993
  • 기다센쮸 터미널에는 한외 여과와 활성오니 반응조로 구성된 막형 바이오리액터 방식의 중수도 시스템이 가동중인데, 주방배수를 주체로 한 빌딩배수를 재생하여 이용하고 있다. 막형 바이오리액터를 이용하면 프로세스는 단순화되며 설비도 매우 소형화된다. 또한 부하변동에의 대응성, 양호한 처리수질, 경제성 등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다. 본고에서는 막형 바이오리액터의 특성을 확실히 하고 기다센쮸 터미널에 설치한 중수도 시스템의 실시 예를 소개한다.

  • PDF

저탁도 해수원수 특성에 적합한 응집 - 여과 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Coagulation and Media Filtration Process for Low Turbidity Seawater)

  • 손동민;조명흠;김정숙;강임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1-257
    • /
    • 2014
  • 본 연구는 RO 해수담수화 전처리 공정으로써 응집 및 여과공정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RO 시스템은 충분하고 안정적인 전처리를 통하여 RO 막오염을 완화 할 수 있는 우수한 수질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실험은 RO 막 공정의 전처리로서 다양한 응집제 주입량, 응집 교반 강도 및 시간, 탁도, 여과속도 실험 조건을 사용하여 응집과 여과공정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적합한 RO 공급수로 적절한 SDI 값을 나타내기 위한 최적 전처리 조건은 응집 pH 6.5, 탁도 4 NTU 이상 그리고 여재 충진 높이가 550 mm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응집교반 강도, 응집제 주입농도와 여과속도는 여과효율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반 침하 지역에서 적정 채수량 산정을 위한 현장 시험 방안 제시

  • 석희준;임은상;원이정;김형수;이강복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5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420-424
    • /
    • 2005
  • K시 강변여과수 개발 지역에서 적정 채수량 산정 및 지표수 연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적절한 현장 시험 세부계획 수립과 그 근거를 마련하였다. 일반적으로 단계양수시험을 통하여 적정 채수량 산정 후, 산정된 적정 채수량으로 장기양수 시험을 통하여 주변 수리권에 미치는 지하수위 변화와 강변여과수의 수질변화를 관찰하여 지표수와 연계한 변동특성을 파악하는 일련의 과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K시 강변여과수 개발 지역과 같은 연약 지반에서는 단계 양수시험시의 높은 양수량에 인한 지반 침하의 우려로 인해 이에 대한 공정의 변화가 불가피하였다. 따라서 현장 시험 공정 순서를 바꾸어서 장기 양수 시험 후 단계양수시험을 수행하는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였고 이를 뒷받침 해주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단계양수시험의 단계별 적절한 양수시간을 합리적, 효율적으로 결정하여 경제적이면서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단계양수시험을 완료 가능하게 만들고, 가능한 한 더 오랜 기간동안 장기 양수 시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한된 시간내에 많은 수리지질학 및 화학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여재 종류에 따른 역삼투법 해수담수화 시설 전처리 여과공정의 성능비교 (Comparison of the filtration performance by different media in pretreatment of seawater desalination by reverse osmosis)

  • 김승현;윤종섭;이석헌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5-222
    • /
    • 2009
  • This study compares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s with various media in pretreatment of seawater desalination by reverse osmosis. For this purpose, Masan bay seawater is used as raw water. The filter performance is evaluated by the filtrate quality and the head loss development. Five media is selected in this study: anthracite, $Filtralite^{(R)}$, sand, Pumice, $AFM^{(R)}$. These media are used in combination for dual media filter and alone for mono media filter. The comparison results show that NC0.8-1.6 is the best $Filtralite^{(R)}$. The dual media filter of NC0.8-1.6 and sand outperformed other filters in particle removal. The dual media filter of anthracite and sand showed good performance in organic removal. The mono media filter of Pumice produced the similar filtrate quality as the mono media filter of sand although the effective size of Pumice is considerably greater than that of sand. Due to big size, head loss development is maintained slow in the filtration of Pumice.

강변여과 취수로 인한 배후 지하수위 강하량 저감을 위한 최적의 주입정 위치 및 주입량 (Optimization of injection well position and amount to reduce the influence of groundwater level decrase due to riverside filtration)

  • 장치웅;박남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388-388
    • /
    • 2017
  • 낙동강 하류 일대에는 수질과 수량 두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강변여과수를 새로운 수자원 확보 대안으로 활용하고 있다. 일부 지역의 경우 과도한 취수량으로 인한 지하수 고갈을 우려하여 개발을 반대하거나 이로 인한 피해보상 범위가 명확치 않아 간접편입부지의 주민들이 피해를 우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해당 지역에서의 취수량은 인근 주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는 한도 내에서 이루어 져야한다. 하지만 타 지역으로 원수를 공급하게 되어 필요이상의 지하수를 개발하게 되거나 목표취수량에 부합하지 않아 추가 양수정을 시공하는 경우와 같이 수요량과 적정 취수량사이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배후 지하수위 감소영향과 추가취수량 확보를 위해 주입정을 활용한 인공함양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변여과 취수 시 배후 지역의 지하수가 유입되어 인근 지역의 지하수위 강하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최적 주입 위치 및 주입량을 산정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고려된 최적화 결정변수는 주입정 개수와 위치, 그리고 주입량이며 제약 조건으로는 기 설치된 양수정 위치, 초기 자연 평형상태의 배후 지하수위에 근사하는 주입정 위치에 따른 최소 주입량 그리고 추가 생산 가능량 이다.

  • PDF

호소수질 개선을 위한 원통형 여과장치의 설계요소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Factors of the Cylinder-Shaped Filter for Improving Reservoir Water Quality)

  • 이선호;김승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655-662
    • /
    • 2009
  • 원통형 여과장치의 실규모 설계 및 운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산출유량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파일럿 실험을 수행하면서 수질지표들과 폐색도 진행을 조사하였다. 유량을 0.8 L/min에서 2.4 L/min로 증가시키는 경우 BOD, SS, 그리고 탁도의 제거율은 각각 약 80%, 95% 이상, 그리고 90% 이상으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나 COD 제거율은 44%에서 29%로 감소하였다. 산출유량이 증가할수록 오염물 단위농도를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체류시간은 감소하였으며, 1 mg-COD/L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체류시간은 산출유량 0.8 L/min인 경우 83분이었고 2.4 L/min에서는 45분이어서 양수율이 낮은 것보다는 높은 것이 호소의 오염제거에 더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여과장치의 폐색은 표층에서 집수관쪽으로 진행하며, 산출유량이 증가하면 폐색도도 증가하지만 2년 이상의 운전에도 폐색이 문제되지는 않아 본 장치가 호소의 수질개선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스마트 상수관망 수질관리 운영플랫폼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mart pipe network operating platform focused on water quality management)

  • 박대희;김주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53-453
    • /
    • 2023
  • 상수관망의 수질사고와 이상상황 발생시 대응을 위해서는 급수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수질측정기, 정밀여과장치, 재염소주입설비, 자동드레인 등의 계측·제어설비들 간의 유기적인 정보공유를 통한 제어를 필요로 한다. 스마트 상수관망 운영플랫폼은 이러한 인프라 시설의 운영방안을 고려하여 분산되어 있는 계측데이터를 통합감시 및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상수관망 운영플랫폼은 능동형 분석 제어기술을 도입하여, 스마트 상수관망 인프라 설비를 최적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통합운영 플랫폼은 PostgreSQL, PostGIS, GeoServer, OpenLayer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플랫폼은 계측감시, 시설관리, 운영제어 등의 기능으로 구성되며, 상수도 업무지원을 위한 관망해석 및 네트워크 분석 기능을 지원한다. 본 시스템은 스마트 상수도 구축사업을 통해 구축한 유량·수질모니터링 장비와 수질관리를 위해 도입된 재염소, 자동드레인 설비의 운영상태를 실시간 조회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과, 관망해석 프로그램 그리고 대상설비의 최적제어를 위한 운영관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현장에서 측정되고 있는 유량, 수압, 수질, 펌프운전 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관망해석 프로그램은 EPA_Net모형과 연계되어 관망수리·수질해석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재염소설비의 염소 추가주입이나 자동드레인을 통한 배제시 나타나게되는 관의 수리·수질변화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분석하고 결과를 가시화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운영관리 프로그램은 재염소 주입이 필요할 경우 주입량의 산정하는 부분과 관망 파손이나 수질사고 발생시 최적 단수예상지역을 도출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향후 스마트 상수관망의 능동형 수질관리를 추진하는 지자체에 도입하여 인프라운영관리 기술 확보 및 수질관리 능력 개선과 실시간 감시 및 위기 대응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순환여과수조수의 대장균군 (NUMERICAL CHANGES OF THE COLIFORM BACTERIA IN A RECIRCULATING AQUARIUM)

  • 박수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8
    • /
    • 1978
  • 순환여과수조에 있어 수질 오염의 지표로서 대장균군의 수적인 변동을 측정하였다. 세균의 오염은 주로 어류의 먹이와 배설물 그리고 새로 교환되는 사육수의 기오염도에 원인이 있었다. 수조내의 세균량은 수질의 물리화학적인 요인에 의해서 조절되었으며, 이러한 요인들 중에서는 pH가 주된 것이었다. 수온 $20^{\circ}C$에 pH가 $5\~6$ 이하로 낮아질 경우에는 세균의 급격한 번식은 없었다. 수온이 $30^{\circ}C$ 이상 일 때 세균의 성장은 pH에 관계없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세균군은 그 이하의 온도에서 활발히 성장하는 것처럼 보였다.

  • PDF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저감효율 검토 (Review of Pollutant Removal Effectiveness of Treatment Control BMPs for the Korean TMDL Management)

  • 강민지;이성준;문선정;최재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00-204
    • /
    • 2011
  •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 하에서 토지계 개별배출부하량 삭감을 위해 설치되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저감효율은 삭감부하량 산정에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 및 환경부 모니터링 사업결과로부터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저감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모니터링 결과 중여과형 시설의 저감부하량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선행토양함수량보다 시설의 운영 및 유지관리 및 유역 특성을 포함하는 개별 시설의 특성에서 기인하는 영향이 컸다. 또한 BOD에 대한 회귀식의 결정계수는 높았으나 TN과 TP에 대한 결정계수는 낮았다.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저감효율을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시설의 적절한 운영 및 유지관리가 중요하며, 향후 이를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