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가장소

Search Result 8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lay and leisure status of children in Korea (초, 중, 고등학교 학생의 놀이·여가 실태에 대한 연구 -연령별, 지역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Hwang, Ock-Kyeung;Han, You-Me;Kim, Jeong-Wha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5
    • /
    • pp.296-30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play and leisure status of children in Kore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64 childre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lasses in four districts of Seoul and one rural district in Gyeonggi Province.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objects, time, place and cost of both play and leisure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region and sex.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play and leisure subjects were more likely to be friends than family members, and the proportion of fathers among the parents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Second, the children spent most of their play and leisure time on media related activities. Third, unlike in the past, the children's places of play and leisure were very diverse and included many adult or commercial places, such as cafes and karaoke studios. Fourt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st of play and leisure, depending on the age or sex of the children, but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Improvement plan of elderly leisure activity program (노인여가활동 프로그램 개선방안)

  • Son, Myoung-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97-98
    • /
    • 2017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노인여가활동 프로그램의 중심인 경로당은 노인여가복지시설로 노인복지법 제36조에 의거 만65세 이상인 지역노인이 자율적으로 친목을 도모하고 취미활동과 공동작업장을 운영한다. 또한 각종 정보교환과 기타 여가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이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가장 가까이에 있는 시설이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여가활동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들의 결과를 토대로 현황을 분석하고, 노인여가활동 프로그램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PDF

Reading Landscape for Quality of Life (삶의 질을 위한 경관 독해 -문화지리학 연구주제로서 유교의 ‘자연합일’전통 -)

  • 김덕현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2
    • /
    • pp.281-294
    • /
    • 2000
  • 지난 몇 십 년간 한국사회는 급격한 도시화와 시-공간 압축을 겪었다. 이러한 변화는 한편으로는 정체성 혼란을 심화시켰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여가시간의 증대를 초래하고 있다. 이 정체성 혼돈과 여가의 증대 경향이 대중들로 하여금 ‘삶의 질’요구를 제기하게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삶의 질’향상이 자연과 장소에 대한 문화적 감수성 회복을 통하여 이루어질수 있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문화적 감수성이란 자연과 장소에 대한 심미를 의미한다. 16세기의 위대한 유학자 퇴계 이황의 경관독해처럼, 유교적 자연미는 숭고미가 아니라 자연합일 감성이다. 유학자들은 이러한 자연에 자신을 합일(정체화)하는 감성을 가지는 것을 최선의 일상적 실천으로 삼았다. 생생불식하는 자연의 모습을 ‘천지의 마음’으로 보고, 그것을 체득하는 것에 자기수양의 궁극적 목적을 두었기 때문이다. 퇴계는 자연합일이 아니라 거주 과정에서 형성된 인간-자연 간이 감성적 연계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추구는 인간과 자연생태계 간의 심각한 단절을 극복하기 위한 참된 거주경험에 대한 욕구이다. 우리는 유학자의 ‘자연합일’감성으로부터 진정한 거주경험을 배울 수 있다.

  • PDF

Safety Survey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city planning area (용도구역별 아동·청소년의 안전실태와 대응방안)

  • Kim, You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43-245
    • /
    • 2015
  • 본 논문은 사고의 발생은 안전하지 못한 장소나 상황으로부터 발생하며, 그러한 장소는 안전수준이 높은 지역이나 사회적 계층 및 가정보다는 그렇지 못한 취약지역이나 취약계층 또는 취약가정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사고 발생율과 위험에 직면한 상황이 많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지역의 특성에 맞는 집중적인 안전관리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국가적 차원의 안전사고 발생율을 낮추고, 효과적인 사고 예방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시계획구역에 따라 청소년 1,200명을 표본조사 하였으며, 자료처리 방법은 window spss pc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주요 사고 유형은 '추락/넘어짐/미끄러져 다친 사고'가 49.2%로 가장 많으며, 사고 장소는 학교주변, 집주변, 여가놀이시설주변이었다. 이것은 본 연구에서 아동청소년들의 주요 활동공간으로 제시한 곳과 일치한다. 용도지역에 따른 아동 청소년의 안전도 차이를 보면 도시 내 상업지역이 사고경험이 가장 많으며, 사고유형은 도시 내 상업지역은 화재, 이물질 섭취, 폭발, 부패 변질, 물체 접촉 등이 많고, 도시내 주거지역과 공업지역, 농어촌지역은 충돌이나 충격사고, 추락/넘어짐/ 미끄러져 다친 사고나 날카로운 물체에 베이거나 찔린 사고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afe Route-Recommendation App. for Safe Women 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 Space Syntax (Space Syntax기반 여성의 안전한 여가활동 경로 추천앱)

  • Lim, Won-Jun;Park, Su-A;Park, Min-Joo;Lee, K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75-76
    • /
    • 2013
  • 본본 논문에서는 Space Syntax 이론에 기반하여 여성의 안전한 여가활동 경로를 추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접근성, 지역 간 상호관계 등을 바탕으로 한 계산을 통해 추천경로를 만든다. 이는 일반적인 네비게이션이 가지는 최단시간, 최단거리 탐색과는 차별성을 가지며,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경로를 탐색한다. 오늘날 늘어난 여가시간에 따라 사람들의 레저 활동이 많아지며, 따라서 여성의 경우도 참여율에 높아진다. 이 때 여성의 경우 안전적 문제에 있어 레저 활동 장소까지의 경로를 추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레저활동과 여성안전에 관련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위험요소를 염두에 두어 계산을 통해 안전한 경로를 제공하는 알고리듬으로 주관적 선택사항을 적용하여, 자기맞춤형 경로를 선택 가능하게 한다.

  • PDF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Place Marketing in Railway (철도 부분의 장소 마케팅 도입 가능성 검토)

  • Lee, Won-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2 no.6
    • /
    • pp.915-920
    • /
    • 2009
  • Place Marketing is a new strategy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using the regional image, facility and hist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the possibility of place marketing in the area of railway. Already there were some cases to vitalize the close line and out-of-business station. In this context, some ideas to connect the railway with trip, leisure and regional festival are recommended. For the market place, the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 is essential.

A Study on the Nature amd Tourist - region of Mongor and Russia (몽골.러시아의 자연과 관광지대)

  • 강승삼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49
    • /
    • pp.73-82
    • /
    • 1997
  •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여가 선용으로 인하여 관광지역이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관광이 갖는 의미도 단순한 일상 생활에서 벗어나 다른 나라의 풍경을 견학하는 차원을 떠나, 경제적 활동ㆍ사회적 활동ㆍ문화적 활동 등을 통하여 인간성 회복의 장소로서 혹은 환경보전 재생의 장소로서 그 의미가 확대 해석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에야 개발되기 시작한 몽골, 동부러시아 이르꾸스크시, 바이칼호 관광지대를 찾아 그 실태를 대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Leisure Activities for Middle-aged (중년층의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Lee Joon-Min;Shin Hwa-Kyoung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23 no.1 s.73
    • /
    • pp.161-17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actual status and needs of leisure of middle age. The questionnaire survey is used, the subjects are middle age from 40$\~$50's living in seoul.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leisure conscious, leisure actual condi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need. Frequency, percent, average, $x^2_test$ and ANOVA a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leisure is necessary to elevate quality of life in terms of spiritual,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hysical health. Second, the subjects are not satisfied with current leisure for unsufficiency of leisure time, cost, facility and program. Third, present leisure behavior characteristics are restrictive and passive. In the near future, however, they showed desire to engage in fivers forms of leisure including active and participant leisure. Fourth, even though current main areas for leisure activity are in their house, they are more likely to change from in the house to around and near there house.

Middle Aged People's Preference for Leisure Activities in Their Future Elderly Stage (예비노년층이 선호하는 노후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 Shin Hwa-Kyoung;Lee Joon-Min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23 no.6 s.78
    • /
    • pp.15-23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leisure activities and needs for future activities among middle-aged men and wome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participants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of age, who were residing in a large city.'rho survey consisted of questions on current leisure activities, leisure satisfaction, and needs for future activitie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consisted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leisure activities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in terms of spiritu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hysical health. Second, the participants are generally not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leisure situations, because of insufficient leisure time, high cost, and shortage of facilities and programs. Third, current leisure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are restrictive and passive. However, they show a desire to engage in diverse forms of leisure including active and participant leisure activities in the future. Fourth, they wish to perform active and participant leisure activities (for example, indoor sports, continuing education, and taking walks) at places that are close to their residence in the future.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Leisure Facilities of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Complex for Developing Leisure Facilities in Residential Environment (지역사회 여가시설 개발을 위한 공동주택거주자들의 여가활동 장소 및 여가시설에 대한 선호 연구)

  • Shin, Hwa-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7 no.6
    • /
    • pp.159-16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ference and needs of leisure facilities of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 complex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elected apartment complexes, and 676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data analysis included frequencies, percentage, mean, $X^2$-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Subjects needed the diverse leisure facilities such as sports center and resident's self government facilities. And they needed diverse facilities for sports. 2) In terms of location, they needed leisure facilities which was closer to their house. 3)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leisure facilities was lower than neutral. The satisfaction of leisure facilities related with diversity of leisure facilities and program, and poor environment. 4)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preferred safe and various leisure facilities, and the leisure facilities were exclusively used for the residents only, and the use by non-residents should be charged at the expense. Also, respondents were willing to pay additional fee for the better quality of leisure facilities, and sports leisure facilities congregated in one building were highly desir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