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엘니뇨현상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한반도의 기후변화에 따른 벚꽃 개화일의 변화 경향에 관한 연구

  • Park, Su-Jin;Kim, Hae-Dong;Kim, Ha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439-442
    • /
    • 2006
  • 기후변화가 벚꽃과 같은 생물계절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벚꽃의 개화일과 기온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각 월별로 특히, 1월, 2월, 3월의 일평균기온, 일최저기온, 일최고기온의 월별 평균 기온과 벚꽃개화일의 비교에서 어느 것이 더 상관관계가 높은지를 보았다. 또한, 1950년대 이후로 크고 작은 엘니뇨의 발생은 13회 정도로 약 $2{\sim}5$년을 주기로 발생하였다. 엘니뇨현상은 남방진동 ENSO 등의 기상현상과 함께 발생한다. 엘니뇨가 발생한 해의 한반도는 겨울철 온도는 높아지고, 겨울철 강수량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엘니뇨현상이 1, 2, 3월의 기온에 어떤 영향을 준다면, 벚꽃의 개화일도 변화할 것이다. 위의 자료를 모두 비교해보고 이들 상호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낸다면, 앞으로 기온을 통한 벚꽃개화일의 예측이나, 반대로 벚꽃개화일을 통한 기온과 엘니뇨현상 등의 기후변화를 예측해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El Ni$\tilde{n}$o.La Ni$\tilde{n}$a Events and Typhoon (엘니뇨.라니냐 현상과 태풍과의 관계)

  • 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32-233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최근 25년간(1986-2010년)의 우리나라 기상청 및 일본 기상청 자료를 사용하여 엘니뇨 라니냐 현상과 태풍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여기서는 엘니뇨감시해역의 해면수온의 기준치와의 차의 5개월 이동평균치가 6개월 이상 계속하여 $+0.5^{\circ}C$ 이상 이 된 경우를 엘니뇨현상, $-0.5^{\circ}C$ 이하가 된 경우를 라니냐현상이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엘니뇨 발생년은 엘니뇨현상이 시작된 해부터 종료된 해까지를, 라니냐 발생년은 라니냐현상이 시작된 해부터 종료된 해까지로 정의한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 기간에 대한 태풍의 연평균 발생 수는 25.4개이다. 이는 60년간(1951-2010년)의 연평균 태풍 발생 수 26.3개보다 약 1개 적은 결과로 최근 지구온난화와 관련하여 태풍의 발생 수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 엘니뇨 발생년의 연평균 태풍 발생 수는 23.9개이고, 라니냐 발생년의 그것은 24.9개이다. 적도 부근 서부 태평양의 따뜻한 물이 동쪽으로 이동하여 동부 태평양의 해면수온이 평년 이상으로 높아지는 엘니뇨 발생년에 태풍의 발생 수가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태풍의 세기를 나타내는 평균 중심최저기압과 평균 최대풍속은 엘니뇨 발생년에 959.3hPa과 35.8m/s, 라니냐 발생년에 965.5hPa과 33.7m/s 그리고 25년 전 기간에 대하여는 962.3hPa과 35.0m/s이었다. 엘니뇨 발생년의 태풍의 세기가 라니냐 발생년의 태풍의 세기보다 강함을 알 수 있다.

  • PDF

A Statistical Analysis for El Nino Phenomenon (엘니뇨현상에 대한 통계적분석)

  • 김해경
    • 한국해양학회지
    • /
    • v.27 no.1
    • /
    • pp.35-45
    • /
    • 1992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tochastic model for predicting E1 nino phenomenon. For this, first a general criterion for determining E1 nino phenomenon, including period and strength, which is based on partial sum of monthly sea surface temperatures (SST) anomalies, is proposed, Secondly, the annual fluctuations, periodicity and dependence of monthly mean of equatorial Pacific SST during the period 1951-1990 are analyzed. Based on these, time series nonlinear regression model for the prediction of SST have been derived. A statistical procedure for using the model to predict the SST have been derived. A statistical procedure for using the model to predict the SST level is also proposed.

  • PDF

El Niño-Southern Oscillation, Indian Ocean Dipole Mode, a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henomena, and Their Impact on the Climate over the Korean Peninsula (엘니뇨-남방진동, 인도양 쌍극자 모드, 두 현상의 관련성, 그리고 한반도 기후에 대한 영향)

  • Cha, Eun-Je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8 no.1
    • /
    • pp.35-44
    • /
    • 2007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l $Ni\widetilde{n}o-Southern$ Oscillation (ENSO) and Indian Ocean Dipole (IOD) mode events and the impacts of these two phenomena on the climat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Data gathered from 1954 to 2004 were used for analysis, which included NINO 3 index, IOD index, and monthly mean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at eleven locations in Korea.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at the IOD and ENSO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in Spring and Fall. It was clearly shown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Indian Ocean has seen the Southern and Northern Oscillation in El $Ni\widetilde{n}o$ year, and Eastern and Western in IOD year. On the other hand, in El $Ni\widetilde{n}o$ you, the mean temperature of the Korea Peninsula was lower than normal in Summer and higher in Winter and its precipitation was more than normal in both Summer and Winter. However, significant correlation was not found in IOD year. In addition, the global atmospheric circulations during the major IOD years are less influential, unlike those of El $Ni\widetilde{n}o$ events.

동중국해 해양생태계에서 1997~1998년 엘니뇨와 관련하여 나타나는 징후

  • 오현주;강영실;이용화;김학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77-378
    • /
    • 2000
  • 엘니뇨는 대규모 기후의 경년변화를 대표하는 현상으로 2∼8년 주기로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적도지방뿐만 아니라 중위도의 기후에도 영향을 미친다(Ropelewski and Halpert, 1987, 1989). 또한, 북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엘니뇨는 대기기후시스템(atmospheric climate system)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북서태평양에서 엘니뇨 징후는 동북태평양에서처럼 분명하지는 않지만 국부적인 징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엘니뇨의 중심지인 캘리포니아 연안의 반대편에 위치한 동중국해에서 1997∼1998 발생한 엘니뇨와 관련하여 나타나는 징후를 밝히는데 있다. (중략)

  • PDF

Relationship between El Ni$\tilde{n}$o.La Ni$\tilde{n}$a Events and Typhoon - Focused on Typhoon Intensity - (엘니뇨.라니냐 현상과 태풍과의 관계 - 태풍 세기를 중심으로 -)

  • 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50-151
    • /
    • 2011
  • 최근 25년간(1986-2010년)의 우리나라 기상청 및 일본 기상청 자료를 사용하여 엘니뇨 라니냐 현상과 태풍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태풍의 세기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태풍의 세기를 나타내는 평균 중심최저기압과 평균 최대풍속은 엘니뇨 발생년에 959.3hPa과 35.8m/s, 라니냐 발생년에 965.5hPa과 33.7m/s 그리고 25년 전 기간에 대하여는 962.3hPa과 35.0m/s이었다. 즉, 엘니뇨 발생년의 태풍의 세기가 라니냐 발생년의 태풍의 세기보다 강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균 중심최저기압은 약 6hPa 낮고, 평균 최대풍속은 2.1m/s 강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태풍의 발생 해역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즉, 엘니뇨 발생년에 태풍은 동경 150도 이동 해역과 북위 10도 이남 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생하고, 라니냐 발생년의 태풍은 동경 150도 이서 해역과 북위 20도 이북 해역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동경 150도 이동 해역과 북위 10도 이남 해역에서 발생한 태풍은 북태평양의 광범위한 고수온역을 보다 장시간 이동하게 되므로 더 강하게 발달할 수 있다.

  • PDF

엘니뇨와 문제 병해충 - 여름 잦은비 예상돼 도열병 $\cdot$ 벼멸구 걱정 - 관련정보 수집$\cdot$분석 및 방제$\cdot$영농대책에 적극 참여해야

  • 한국농약공업협회
    • Agrochemical news magazine
    • /
    • v.19 no.1 s.142
    • /
    • pp.26-28
    • /
    • 1998
  • 남미의 페루연안에서 적도에 이르는 태평양상의 수온이 2$\~$6년 주기로 올라가 세계 각지에 홍수, 가뭄, 폭설 등을 몰고 다닌다는 기상이변의 주범인 엘니뇨 현상은 과연 우리나라는 안전지대인가? 그렇다면 지난한해동안 논란이 계속돼온 엘니뇨 현상이 과연 올해에는 우리나라 농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것인가는 모든이의 궁금 사하이 아닐 수 없다. 물론 기사이변을 예측하는데는 고도의 과학적 자료와 분석능력이 뒷따라야 하기 때문에 쉽게 접근할 수 없다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농림부는 그동안 각종 자료를 꾸준히 분석하여 엘니뇨 발생에 따른 병 해충 발생양상을 예견해 보고 이에 대비한 영농대책을 마련, 시행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농림부는 어떤 예측을 하고있으며 그에 따른 대책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본다.

  • PDF

A Study of Relation of Winter Climate between El-Nino.La-Nina and Sea Surface Temperature in Korea (한국의 겨울 기후 및 해수 온도에 미치는 엘리뇨와 라니냐의 영향)

  • Bak, Byeong-Su;Min, Woo-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5 no.2
    • /
    • pp.143-153
    • /
    • 1999
  • This study is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l-Nino and La-Nina and Korea's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summer and winter, an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extraction of the occurrences of El-Nino reveals are 5, but La-Nina reveals 6 years. (2) The tendency of change of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NINO.3 and that of or country are about the same, but the anomaly of Janggi and Pusan was much greater than that of Inchon. (3) The anomaly of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NINO.3 and that of the temperature showed the similar changing tendency, the temperature of Korea has something to do with that of NINO.3sea surface temperature as the correlation of ground temperature with the temperature of sea surface showed 0.06. Anomaly warm winter has something to do with El-Nino because the temperature of our country was high when El-Nino phenomena appeared. But the precipitation over our country is not significant for La-Nina. (4) Temperature in El-Nino year is lower than normal in summer and higher than normal in winter. But precipitation is more in summer and winter of El-Nino year, but it is not significant of La-Nina year.

  • PDF

Long-term Variations of Troposphere-Stratosphere Mean Meridional Circulation (대류권-성층권 평균자오면순환의 장기변동)

  • Seol, Dong-Il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2 no.5
    • /
    • pp.415-422
    • /
    • 2001
  • Studies of atmospheric general circulation in the troposphere and stratosphere are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human activities on the global climate and its change. Recently, the existence of an annual cycle in the circulation has been reported by a number of studies. In this study, the residual mean meridional circulation is calculated by the TEM momentum and continuity equations for the period from December 1985 to November 1995 (10 years), and the long-term variations of the circulation and mass fluxes across the 100hPa surface are examined. The multiple regression statistical model is used to obtain quantitatively the long-term variations. This study is focused especially on mean meridional circulation in the troposphere and stratosphere associated with ENSO (El Ni${\tilde{n}}$o-Southern Oscillation) which is known as a cause of the unusual weather, global climate, and its change. The results show that the global scale troposphere-stratosphere mean meridional circulation is intensified during El Ni${\tilde{n}}$o event and QBO (quasi-biennal oscillation) easterly phase and weakened during La Ni${\tilde{n}}$o event and QBO westerly phase. The signal of Mount Pinatubo volcanic eruption in June 1991 is obtained. Due to the volcanic eruption the global scale troposphere-stratosphere mean meridional circulation is abruptly intensifi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