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틸렌옥사이드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초

이산화탄소/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을 통한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폴리(에틸렌 글리콜)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Synthesis of Low Molecular-weight Poly (Propylene Carbonate)-Poly (Ethylene Glycol) Block Copolymers through $CO_2$/Propylene Oxide Copolymerization)

  • 이상환;;전종엽;이분열
    • 청정기술
    • /
    • 제17권3호
    • /
    • pp.244-249
    • /
    • 2011
  • 이산화탄소/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을 통하여 고분자 사슬 내에 친수성기와 소수성기가 공존하는 저분자량의 블록 공중 합체를 합성하였다. 고활성의 촉매를 사용한 이산화탄소/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 반응에 단말기로 -OH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을 분자량 조절제로 투입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단말기 한쪽 끝에만 -OH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투입하였을 때는 PEG-block-PPC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다이블록 공중합체가 얻어지고, 단말기 양쪽 끝 모두 -OH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투입하였을 때는 PPC-block-PEG-block-PPC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얻어진다.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는 $^1H$-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구조 분석을 하였고 GPC를 통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순차적 음이온 및 개환중합반응을 통한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티드 블록공증합체의 합성 (Synthesis of Polystyrene-b-Poly(ethylene oxide)-b-Polylactide Copolymers via Sequential Anionic and Ring-Opening Polymerizations)

  • 송걸;조병기
    • 폴리머
    • /
    • 제33권5호
    • /
    • pp.458-46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순차적 음이온 및 개환중합반응을 통해 ABC 형태의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티드 블록공중합체를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우선, 첫번째 블록인 폴리스티렌을 합성하기 위해서, 사이클로헥산 용매에서 스티렌/이차-부틸리튬을 각각 단량체/개시제로 사용하여 음이온중합(anionic polymerization)을 수행하였고, 이후 고분자 말단을 수산기로 전환시키기 위해, 에틸렌옥사이드를 첨가하였다. 다음 단계로 포타슘 나프탈레나이드(potassium naphthalenide)를 이용하여 폴리스티렌 말단 수산기의 수소를 제거하여, 거대개시제인 PS-$O^-K^+$를 제조하였다. 준비된 거대 개시제에 정량된 에틸렌옥사이드를 첨가하여, 음이온중합을 수행하였다. 폴리락티드 블록을 도입시키는 개환중합의 경우, THF 용매에서 트리에틸알루미늄(triethylaluminum)/피리딘(pyridine)시스템을 이용하여 PS-b-PEO-$AlEt_2$ 형태의 거대개시제를 형성한 후, $90^{\circ}C$에서 중합을 수행하였다. 합성된 블록공중합체를 수소핵자기공명법 및 겔침투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통해 조사한 결과, 잘 정의된 분자량 및 낮은 분자량 분포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폴리우레탄 폼용 옥시에틸렌 변성 폴리실록산계 계면활성제의 합성 및 미세 셀 발포 특성 (Synthesis of Oxyethlyene Modified Silixoane Surfactants for Polyurethane Foam and the Characteristics of Fine Cell Formation)

  • 김대흠;박승우;여승병
    • 공업화학
    • /
    • 제17권3호
    • /
    • pp.260-266
    • /
    • 2006
  • 메모리 기능의 미세 셀 폴리우레탄 폼용 옥시에틸렌변성실록산 계면활성제의 합성을 위해 폴리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D = 75, D' = 15)의 수소작용기에 수소규소화반응을 이용하여 다양한 폴리알킬렌옥사이드를 치환하여 합성하였다.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는 에틸렌옥사이드(EO) 또는 EO와 프로필렌옥사이드(PO)의 혼합성분이 반복되는 구조에 말단기는 메틸 또는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물질들을 이용하였다. NMR과 GPC 분석을 이용하여 분자 구조와 분자량 변화를 통하여 합성반응의 진행 여부 및 생성물 수율(98%)을 파악하였다. EO 12 반복단위로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을 0.6~2.0 part per hundred polyol (pphp)까지 증가시켜 메모리 기능의 우레탄 폼 발포에 적용하여 폼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셀 사이즈(최소 $0.868{\mu}m$), 공기유량(air flow, -78 KPa), 복원시간(recovery time, 8 sec) 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병원 종사자를 위한 에틸렌옥사이드에 관한 고찰

  • 류은신;김미영;최호춘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178호
    • /
    • pp.39-48
    • /
    • 2003
  • 본 분석기법은 유해인자별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건강진단 시료를 분석할 때 간편하게 활용할수 있는 방법으로 산업보건관련 유관기관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이 분석기법들 중에는 공식적으로 검증, 채택되지 아니한 기법이 있음을 알립니다.

  • PDF

일부 주사기 제조업과 병원 종사자의 에틸렌옥사이드 노출수준 비교

  • 안선희;신정아;김강윤;최호춘;이가인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186호
    • /
    • pp.27-35
    • /
    • 2003
  • 본 분석기법은 유해인자별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건강진단 시료를 분석할 때 간편하게 활용할수 있는 방법으로 산업보건관련 유관기관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이 분석기법들 중에는 공식적으로 검증, 채택되지 아니한 기법이 있음을 알립니다.

  • PDF

입사 충격파관을 이용한 에틸렌 옥사이드 혼합물의 데토네이션 특성연구 (The Investigation of Detonation Characteristics of Ethylene Oxide Mixture by Using Incident Shock Tube Technique)

  • 문종화;정진도;강준길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권5호
    • /
    • pp.121-134
    • /
    • 1994
  • Shock tube investigation of ethylene oxide-$0_{2}-N_{2}$ mixture have been performed to reveal deton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 in terms of detonation pressure and speed. Theoretical calculation of thermodynamic parameters at the Chapmann-Jouguet detonation of the mixture has been also performed. A comparision of the observed results with the calculated ones can lead us to predict the detonation parameters of ethylene oxide in an artificial air. In addition, we have observed ignition delay times of ethylene oxide mixtures. The best fit of the observed delay times to Arrhenius gas kinetic relation gives : ${\tau}=10^{-144}{e{xp}}(E_a/RT)[C_{2}H_{4}O]^{-4.8}[O_{2}]^{-12.4}[N_{2}]^{-14.1}$ $E_a=3.67kcal/mole$ The observed activation energy is markedly reduced, compared with the case of ethylene oxide diluted in Ar. It could be due to the factor that $N_2$ play a role as detonation promoter yielding very reactive NOx radicals.

  • PDF

리튬 p-[메톡시 올리고(에틸렌옥시)]벤젠설폰산염으로 제조된 젤형 고분자 전해질의 리튬 이온 운반 특성 (Lithium ion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Gel-Type Polymer Electrolytes Containing Lithium p-[Methoxyoligo(ethyleneoxy)] benzenesulfonates)

  • 허윤정;강영구;한규승;이창진
    • 폴리머
    • /
    • 제27권4호
    • /
    • pp.385-39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복 단위 길이 (n=3, 7.3, 11.8, 그리고 16.3)가 다른 리튬 p-[메톡시 올리고(에틸렌옥시)]벤젠설폰산염 (LiEOnBS)을 합성하였다. 이 전해질 염을 이용하여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으며,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복 단위 길이 및 농도에 따른 이온 전도도 그리고 리튬 이온의 운반율에 대해 조사하였다.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는 3$0^{\circ}C$에서 4.89$\times$$10^{-4}$ S/cm (LiEO7.3BS, 0.5 M)로 최고 이온 전도도를 보였다. Dc분극과 ac 임피던스를 혼합하여 측정한 고분자 전해질의 리튬 이온의 운반율은 0.75~0.92 이였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리튬 이온 운반율은 감소하였다. LiEO7.3BS의 전해질 염을 0.1 M로 사용한 고분자 전해질인 경우 0.92로 최고의 리튬 이온 운반율을 보였다. 이로부터 벤젠설포네이트에 치환된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복 단위가 3이상만 되어도 높은 리튬 이온 운반율을 가지는 단일 이온 전해질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Ethylene oxide계 훈증 약제에 의한 문화재 재질의 안정성 연구 (Stability Assessment on Materials of Cultural Property by Fumigants Containing Ethylene Oxide)

  • 정소영;김영희;이정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3호
    • /
    • pp.46-59
    • /
    • 2015
  • 본 연구는 문화재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훈증방법 중에서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e oxide)를 포함하는 훈증 약제가 문화재 재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지류, 섬유, 금속, 안료 등 4종류의 시험편을 제작하고 훈증처리 전 후의 색상, 무게, 표면 변화, 그리고 지류와 섬유 시험편에 대한 적외선 분광분석을 실시하였다. 훈증처리는 약제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에틸렌 옥사이드 + $HFC_{134a}$, 에틸렌 옥사이드 + $CO_2$ 등 2종류의 훈증제 처리군을 실험군으로 하였다. 색차 측정 결과, 소다회를 이용하여 증해한 한지, 은, 면, 견, 모시, 황색 안료 등에서 색상 변화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은 시험편에서 평균 6.0 이상의 높은 색차 변화가 측정되었다. 그러나 은 시험편의 경우 훈증제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시험편의 색차가 약제를 처리한 것보다 오히려 높게 나타나 훈증제 처리가 시험편의 색상 변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나 훈증처리 시 주의가 요구된다. 무게 측정에서는 전체적으로 0~2% 정도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금속 시험편의 변화가 가장 적었고 지류 시험편의 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편의 표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일부 시험편 표면에서 색상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은 시험편에서 가장 큰 변화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지류와 섬유 시험편을 대상으로 한 적외선 분광분석 결과에서 성분상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병원 종사자를 위한 에틸렌 옥사이드에 관한 고찰

  • 류은신;김강윤;최호춘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180호
    • /
    • pp.29-38
    • /
    • 2003
  • 본 분석기법은 유해인자별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건강진단 시료를 분석할 때 간편하게 활용할수 있는 방법으로 산업보건관련 유관기관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이 분석기법들 중에는 공식적으로 검증, 채택되지 아니한 기법이 있음을 알립니다.

  • PDF

제미니형 비이온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수성접착제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Water-based Adhesive Using Gemini Type Nonionic Reactive Surfactants)

  • 신혜린;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30권5호
    • /
    • pp.597-605
    • /
    • 2019
  • 수용성 접착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미니형 비이온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합성하여 수계 접착제에 적용하였다. 제미니형 비이온 반응성 계면활성제는 말레산 및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몰수가 다른 폴리 옥시 에틸렌 세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계면활성제는 FT-IR 및 $^1H-NMR$에 의해 확인되었다. 합성된 화합물은 밝은 노란색 왁스의 형상이었고, 화합물의 운점은 $78^{\circ}C$ 이상이었다. 측정된 임계 미셀 농도(c.m.c)는 $1.0{\times}10^{-4}{\sim}7.0{\times}10^{-4}mol/L$이었고 표면장력은 25.9~32.0 mN/m이었다.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몰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화력이 향상되었다. Ross-Miles 법에 의한 화합물의 발포 높이는 1.4~4.5 cm이었다. 본 연구에서 합성된 계면활성제는 수성 접착제의 유화 중합에서 유화제로 사용되었으며 그 물성을 평가하였다. 준비된 접착제의 고체 함량은 59%이었다. 접착제의 평균입자크기는 164~297 nm이었다. 접착제의 초기 점착성의 볼 번호는 20~32이었으며, 박리 강도는 $1.8{\sim}2.1kg_f/mm$이었다. 점도 유지율은 30 days 동안 99%로 확인되었다. 합성된 제미니형 비이온 반응성 계면활성제는 점착력을 위한 유화제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