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탄올

Search Result 4,15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New Technology: The Ethanol Stress Response and Ethanol Toleranc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해외 기술: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에탄올 스트레스 반응과 에탄올 내성)

  • Kim, Jae-Ho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23 no.2
    • /
    • pp.214-219
    • /
    • 2010
  • Saccharomyces cerevisiae는 전통적으로 알코올 음료와 bioethanol 생산에 이용되지만,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효모의 에탄올 생성은 에탄올의 축적에 의한 충격으로 세포활성에 손상을 초래한다. 본 연구는 S. cerevisiae의 에탄올 스트레스 반응과 에탄올 내성의 분자적 기초에 관해 수행되었으며, 에탄올 스트레스가 진행되는 동안 효모의 에탄올 생성 향상을 위한 유전 공학 전략의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이전의 연구들은 유전자 발현에 대한 에탄올 스트레스의 충격이 환경적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다양한 균주와 조건들에 관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에탄올 공격에 의해 영향을 받은 gene ontology 범주에서의 일부 공통점은 S. cerevisiae의 에탄올 스트레스 반응이 해당과정 및 미토콘드리아 기능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의 증가와 에너지가 요구되는 성장과정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 감소에 따라 에너지 생산에 제약 받음을 의미한다. Genomewide screens를 이용한 연구는 vacuole function의 유지가 에탄올 내성에 대해 중요함을 암시한다. 아마도 단백질 turnover와 이온 항상성 유지에 이 세포기관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에탄올 스트레스가 일어날 때 핵 내 Asr1과 Rat8의 축적은 비록 이 가설이 논란이 많은 주제로 남아있지만 S. cerevisiae가 에탄올 스트레스에 대한 특별한 반응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 PDF

Effecter of Different Levels of Ethanol Ingestion and Ethanol Withdrawal on Vitamins A and E contents in Rats (에탄올의 섭취수준과 금주 후 회복이 흰쥐의 비타님 A 및 E 함량에 미치는 영향)

  • 서정숙;배민정;김정미;배복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9 no.6
    • /
    • pp.1083-1089
    • /
    • 2000
  • 본 연구는 에탄올의 급여수준과 금주 후 회복이 체내항산화비타민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평균 체중이 200g인 Dprague-dawley 종 숫쥐 50마리를 사용하여 혈장 및 간조직의 비타민 A 및 E 의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실험식이라는 에탄올 액체식이형태로 만들어 공급하였으며, 이때 식이는 mL당 1 kacal의 열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조제하였다. 각 실험군의 식이구성은 에탄올을 첨가하는 대신 dextrin-maltose를 급여한 C군, 전체 칼로리의 10%를 에탄올로 첨가하는 LE 군 , 20%를 첨가하는 ME 군, 30%를 첨가하는 HE군 , 30%의 에탄올을 5주간 공급한 후 다시 2주간 정상식이를 급여한 회복군(HR)으로 설정하여 실험식이를 공급하였다. 혈자에서의 retinol 함량은 에탄올 급여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간조직 중의 retinol 함량은 20% 이상의 에탄올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30% 에탄올군인 HE 군에서는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30% 에탄올 급여후 2주간 정상식이를 회복시킨 군에서도 간조직의 retinol의 함량은 그대로 저하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간조직의 retinyl palmitate 함량은 에탄올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30% 에탄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회복군의 경우에도 이러한 저하현상은 더욱 심화되었다. 혈장의 $\alpha$-tocopherol 함량은 에탄올 급여량에 따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간조직에서 10% 에탄올군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에탄올 급여수준이 증가될수록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그러나 회복군에서는 $\alpha$-tocopherol의 함량이 10% 에탄올군의 수준까지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만성적인 에탄올의 섭취는 대체로 열량의 20% 이상을 에탄올로 급여하였을대 섭취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흰쥐의 간조직에서 비타민 A와 $\alpha$-tocopherol으 lgkafid이 저하되었다. 이는 에탄올의 섭취를 중단하고 정상식이를 일정기간 급여하여도 특히 비타민 A 함량은 회복되지 않는 경향을 보여 만성적인 에탄올 섭취자들에게 비타민 A영양상태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 PDF

Effects of Extract of Pueraria radix on Lipid Peroxidation in Ethanol-Administered Rats (갈근추출물이 에탄올을 투여한 흰쥐의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 이정숙;김은실;김석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8 no.4
    • /
    • pp.901-906
    • /
    • 199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ueraria radix extract on lipid peroxidation in ethanol administered rats. 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given 25% ethanol(2.5g per Kg body weight; E), 10% pueraria radix extract(CP), 25% ethanol and 10% pueraria radix extract(EP). The activity of hepatic superoxide dismutase was increased by ethanol and was lower in the EP group than in the E group. Hepatic catalase activity was increased by ethanol, but decreased by Pueraria radix extract. E group rats had significantly higher liver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Activity of hepatic glutathione S transferase was higher in the CP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No significant dif ferences was found in liver glutathione and lipid peroxide contents between control and EP group.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peroxidative damage associated with chronic ethanol consumption might be decreased by Pueraria radix extract.

  • PDF

Use of Selective Ethanol Adsorption for Ethanol Concentration (선택적 에탄올 흡착을 활용한 에탄올 농축공정개발)

  • Jin, Li-Hua;Lee, Jung-Heon
    • KSBB Journal
    • /
    • v.25 no.5
    • /
    • pp.466-470
    • /
    • 2010
  • In this study, we developed simple process for ethanol concentration. We developed magnetically separable polyanilline nanofiber (PAMP) for selective ethanol adsorption. PAMP can adsorbed 80% of ethanol in the solution. After adsorption, the ethanol was recovered with simple magnetic separation and centrifugation process. After 10 times recycle of PAMP, the ethanol adsorption maintained 92% of its initial adsorption capacity. Using ethanol concentration process, the ethanol concentration increased up to 197.6 g/L from 46 g/L which was 4.3 folds increase.

Promotion of Aldehyde Oxidase Activities by Ethanol in Maize (Zea mays) Roots (옥수수 (Zea mays) 뿌리에서 에탄올에 의한 알데히드 산화효소의 활성 증가)

  • Oh, Young-Joo;Park, Woong-Jun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7 no.8 s.88
    • /
    • pp.1172-1175
    • /
    • 2007
  • We observed that exogenously applied ethanol changed the activities of aldehyde oxidases (AO) in the primary roots of maize (Zea mays). The stimulatory effect of ethanol on the aldehyde oxidase activities was concentration dependent; the AO activities were slightly weaker with 0.2 - 0.4% ethanol and stronger with 0.8 - 1.0% ethanol than the level of control. The promotion of AO activities was not explained by the increased transcription of two AO genes in maize. In contrast, ethanol strongly increased the amount of AO proteins, indicating that ethanol enhanced AO activities by promoting the translation. Among three alcohols including ethanol, methanol and isopropanol, only ethanol promoted AO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nhancement of AO activities was specific to ethanol, whose level could be naturally increased when the plant roots drove fermentation to overcome low oxygen stresses.

Impact of Various Feedstock Attributes on the Social Acceptance on Bioethanol Promotion in South Korea (바이오에탄올 보급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분석: 바이오에탄올 원료 속성을 중심으로)

  • Li, Dmitriy D.;Bae, Jeong Hwa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30 no.1
    • /
    • pp.49-77
    • /
    • 2021
  • This study uses a choice experiment approach to examine whether different types of feedstocks as well as other attributes such as the cost of bioethanol, bioethanol blending ratio, and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ffect consumers' biofuel preferences. We apply a standard conditional logit model, a mixed logit model (MLM), and individual coefficient estimation model (ICM) to estimate the parameters of the investigated attributes. The results show that people prefer domestic and non-food feedstock, along with tax exemption as a support policy. All the attributes show unobservable preference heterogeneity in the MLM and ICM. In particular, willingness to pay for attributes are higher in the genetically modified (GM) feedstock-unknown group than in the known one. We show the importance of using domestic and non-food feedstocks and managing GM feedstocks carefully to avoid consumer resistance when producing bioethanol in South Korea.

Effects of Dietary Zinc on the Ethan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y and Ethanol Elimination Rate in Rat (식이성 아연이 에탄을 대사 호소활성과 에탄을 제거율에 미치는 영향)

  • Jeung, Jae-Hong;Cho, Soo-Ye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17 no.3
    • /
    • pp.269-276
    • /
    • 1988
  • 식이성 아연이 에탄올의 생체대사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코저 흰쥐에 식이중 아연의 함량(100ppm, 5ppm)을 달리하여 성장시키면서 에탄올을 4주 및 7주간 급여한 다음, 체중증가량과 에탄올의 대사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는 alcohol dehydrogenase,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catalase 및 aldehyde dehydrogenase의 활성변동과 혈중 에탄올 제거율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기간 중 체중증가량은 대조군에 비해 Zn이 부족한 실험군에서 감소되었으며, 에탄올을 투여한 CE군과 ZnDE군은 control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Zn 부족한 군(ZnD)에서의 간 ADH, MEOS의 활성 및 혈액중 에탄올 제거율이 아연이 충분히 함유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catalase와 AIDH의 활성은 별다른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한편 에탄올을 투여한 CE 및 ZnDE군에서는 대조군(C 및 ZnD)에 비하여 ADH, MEOS 및 혈액중 에탄올 제거율이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율은 아연을 충분히 급여한 CE군에서 아연이 부족한 ZnDE 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AIDH의 활성은 에탄올의 투여에 의해 CE군에서는 증가하였으나 ZnDE군에서는 별다른 변동을 관찰할 수 없었으며 catalase의 활성은 전실험군에 있어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The concentration of Fermented Ethanol by Pervaporation Pilot Test (투과증발법을 이용한 발효에탄올의 농축)

  • 안승호;장재화;유제강;이규현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10a
    • /
    • pp.33-35
    • /
    • 1995
  •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에탄올은 원료나 연료용으로 사용되는 합성알콜과 주류의 원료로 사용되는 발효알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휘발유 첨가제, 연료용 알콜의 수요가 늘어날 경우 발효공정을 이용한 에탄올 연료의 사용이 늘어날 전망이며 특히 기존의 휘발유 첨가제 중 옥탄가 향상을 위한 MTBE 대신 에탄올, ETBE의 사용이 환경적인 측면이나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연로나 첨가제로서 에탄올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95%의 순도를 갖는 일반에탄ㅇ올 대신에 99.5wt%이상의 고순도 에탄올을 생산하여야 하며 에탄올 농축공정 중의 하나인 Pervaporation은 국내에서 1-2년 전부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Pervaporation Test는 대부분 합성알콜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이 실험에서는 주정공장에서 제조한 주정과 조주정을 이용, 현장 Pilot Test를 통해 PV System의 성능 검증, 에탄올 내 Trace 물질파악 및 필요 막면적을 이용하여 합성알콜과의 Performance비교를 수행하였다.

  • PDF

Pervaporation process simulation for ethanol dehydration (에탄올 탈수를 위한 투과증발 공정 모사)

  • 이규현;유제강;장재화;안승호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4a
    • /
    • pp.38-39
    • /
    • 1995
  • 최근 자동차 대체 연료로 가솔린에 10% 무수에탄올이 혼합된 Gasohol 사용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는 Gasohol이 자동차 배기 가스중의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 함유량을 감소시켜 대기 오염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Gasohol에 사용되는 무수에탄올의 농도는 99.5% 이상이어야 하며, 이러한 고순도의 에탄올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물과 에탄올의 공비 혼합물(95.6% 에탄올)로부터 공비증류, 분자체 흡착, 투과증발과 같은 분리 조작을 이용하여 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현재 에탄올 탈수에는 공비증류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공비증류는 에너지 사용량이 많을 뿐더러 유독한 Entrainer를 첨가하기 때문에 투과증발과 같은 저 에너지 소비형, 환경친화적인 공정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에탄올 탈수용 투과증발 플랜트는 전세계 20여개가 가동되고 있으며, 상업화된 플랜트의 대부분은 독일의 Deutsche Carbone사가 제조한 PVA/PAN 투과증발 복합막을 사용하고 있다. 투과증발 시스템은 물에 대한 친화도가 높은 투과증발막 및 모듈, 기타 분리 구동력을 높여주기 위한 Heater, 진공펌프, 냉각기, 열 교환기 등의 주변 설비로 구성되며, 투과증발 시스템 개발을 위해서는 우수한 막/모듈 제조와 아울러 최적 공정 설계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 PDF

Non-linear Preferences on Bioethanol in South Korea (국내 바이오에탄올에 대한 비선형적 선호에 관한 연구)

  • Bae, Jeong Hwa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3 no.3
    • /
    • pp.515-551
    • /
    • 2014
  • Recently, there has been a debate as to whether bioethanol should replace some portion of gasoline for fuels in South Korea, as energy security as well as climate change issues are rising as a significant national agenda. However, a considerable amount of subsidy will be required to compensate for the higher price of bioethanol-blended gasoline. In this context, government subsidy will obtain justification only when the positive social gains from consuming bioethanol for fuels can exceed the negative social costs. Through a nation-wide choice experimental survey, we examine if South Koreans have a positive value as well as non-linear preferences on substituting bioethanol for gasoline. The results reveal that the willingness to pay for purely domestic bioethanol-blended gasoline within 10% is about 52 KRW; Koreans have concave preferences on the blending ratio of bioethanol to gasoline. The turning point of the blending ratio of bioethanol was 6.5%. Also, we found inverse U-shaped curve between income and bioethanol choice probability and the turning point of the income was calculated as 250~299million KRW. Politically conservative propensity advocates uses of bioethanol blended gasoline, but awareness on bioethanol or more weights 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hav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the choice of bioethanol. However, the design of the survey questionnaire is incompatible with the RFS of Korea and assumes orthogonality among the following four interrelated attributes: (i) domestic or offshore procurement of feedstocks in the case of domestic production, (ii) domestic production or import of bioethanol, (iii) the blending ratios, and (iv) the retail price increas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model estimation and of model selection test are not definite. Hence, the results in this study should not be directly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specifics of the Korean RFS. Hence, the results in this study require cautions in applying to the design of the Korean RFS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