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지 추출

Search Result 575, Processing Time 0.077 seconds

Scheme about extracting feature points by using edge information and Scale Space Filtering (에지정보와 Scale Space 필터를 이용한 특징점 추출 기법)

  • 김정학;박영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565-567
    • /
    • 2002
  • 동영상에서 특정 물체를 추적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그 중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정합하여, 움직이고 있는 물체를 추적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특징점을 추출하는 방법 중에서 에지정보를 이용하는 방법과 직접 이미지에 접근하는 방식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물체의 에지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점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널리 이용되고 있는 Canny Edge Detection(1) 알고리즘 이용, 에지를 얻게 되는데, 여기서 특징점 추출에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경우에 대비하여 에지를 보정하고, 결과의 에지에서 특징 점을 추출한다. 보정된 에지정보에서 시작점, 끝점, 둘 이상의 에지가 모인 분기점과 굴곡률이 국부 최대인 지점을 찾아 특징점을 추출한다.

  • PDF

Edge Detection of Variable Image by Adaptive Threshold (자동 임계치에 의한 다양한 영상의 에지 추출)

  • Baek, So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739-74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에지 추출을 위하여 다양한 영상에 탄력적으로 적용되는 자동 임계치에 의한 에지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자동 임계치는 Prewitt 연산자를 이용하여 얻어진 영상을 사용하여 구한다. 에지 추출(Edge Detection)은 영상처리에 있어 데이터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과 함께 각종 영상처리의 전처리로 이용되어지고 있는데 정확한 에지 추출은 영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요소로 영상처리의 다양한 분야와 결합하여 이용되어 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자동 임계치 알고리즘에 의한 에지 추출은 영상의 세세한 부분의 에지를 탐색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가 있었다.

  • PDF

Text Extraction using Character-Edge Map Feature From Scene Images (장면 이미지로부터 문자-에지 맵 특징을 이용한 텍스트 추출)

  • Park, Jong-Cheon;Hwang, Dong-Guk;Lee, Woo-Ram;Kwon, Kyo-Hyun;Jun, B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9-142
    • /
    • 2006
  • 본 연구는 장면 이미지로부터 텍스트에 존재하는 문자-에지 특징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캐니(Canny)에지 연산자를 이용하여 장면 이미지로부터 에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에지로부터 16종류의 에지-맵 생성한다. 생성된 에지 맵을 재구성하여 문자 특징을 갖는 8종류의 문자-에지 맵을 만단다. 텍스트는 배경과 잘 분리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텍스트에 존재하는 '문자-에지 맵'의 특징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추출한다. 텍스트 영역에 대한 검증은 문자-에지 맵의 분포와 텍스트에 존재하는 글자간의 공백 특징으로 한다. 제안한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장면 이미지를 실험대상으로 하였고, 텍스트는 적어도 2글자 이상으로 구성된다는 제한조건과 너무 크거나 작은 텍스트는 텍스트 추출에서 제외하였다. 실험결과 텍스트 영역 추출률은 약 83%를 얻었다.

  • PDF

Edge Detection Using Informations of Edge Structures (에지의 구조적정보을 이용한 에지추출)

  • Kim, Su-Gyeom;Jang, Yu-Jeo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3 no.5
    • /
    • pp.1337-1345
    • /
    • 1996
  • Edge detection is the first step and very important step in image nalyisi. In this paper, proposed edge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informations of edge structures and it is different from other classical edge detection operators such asgradient and surface fitting algorithm. The firs, we defined characteristics of edge structures such as continuity, thinness, localization, length. The second, we defined valid edge structures and ideal edge pixel positions in $3\times3$ window based on edge characteristics of edge structures. And we proposed twelve windows for enhance dissimilarity regions based on valid edge structures and ideal edge pixel positions. In specially, proposed algorithm was shown better performance of edge detection than other operators such as gradient operator and the LoG(Laplacian of gradient) operator of zero crossings in noisy test image with $\sigma=30$.

  • PDF

Efficient variable BBM template for color image's edge detection (칼라영상의 에지 검출을 위한 효율적인 가변 BBM템플릿)

  • 백영현;변오성;문성룡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385-388
    • /
    • 2003
  • 영상의 에지는 입력 영상에 대한 중요 정보들을 가지고 있으며, 에지 추출은 영상인식의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 요소이다. 영상 에지 추출은 영상 분할의 첫 번째 단계이며, 영상의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서 화소들을 하나의 영역으로 만드는데 사용되고 있다. 또한 에지 강도를 갖고 있는 모든 에지들을 검출하기 위해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기존의 에지 짐출은 흑백영상의 명암도의 변화에 국한되어 있었다 그러나 칼라영상을 이용하여 에지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흑백영상보다 이용할 수 있는 정보가 많을 뿐 아니라 인간의 시각체계와도 유사하여 보다 나은 에지 추출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칼라영상에서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는 RGB 정보 중 광도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YCbCr성분을 이용하여, 기존의 기울기연산자나 표면접합 템플릿에 의한 에지 추출이 아닌 3$\times$3 마스크안의 데이터값의 차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하는 BBM템플릿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가변 BBM템플릿은 모의 실험한 결과 기존의 Sobel, Preweet, Roberts 같은 연산 템플릿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

Extraction of Eye Region in Consideration for Performance and Accuracy (수행 시간과 정확도를 고려한 얼굴 영상의 눈 영역 추출)

  • Jang, Chang-Hyuk;Park, An-Jin;Jung, Kee-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269-272
    • /
    • 2006
  • 얼굴 인식의 전처리 단계로써 얼굴의 특징 영역인 눈, 코, 입을 추출하는 방법들이 최근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얼굴 영상의 특징 영역을 추출 하는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특징 점을 이용한 방법과 에지 정보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특징 점을 이용한 방법은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반면 느린 수행시간을 보이는 문제점이 있으며, 에지 정보를 이용한 방법은 빠른 수행시간을 보이지만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확도와 수행시간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빠른 수행 시간을 위해 에지 정보와 에지의 방향성 정보를 이용하여 대략적으로 영역을 추출하여, 잡음에 의해 발생된 에지나 빛에 의해 추출되지 못한 에지에서 생긴 눈 추출의 오류는 추출된 영역의 가로, 세로 비율과 각 영역의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해결한다. 실험 결과에서 85%의 정확도와 평균 0.3초의 수행시간을 보였으며, 에지 정보를 이용한 방법의 문제점인 정확도와 특징 점을 이용한 방법의 문제점인 수행시간을 동시에 향상시킨 결과를 보였다.

  • PDF

Facial Feature Extraction and Tracking using Edge Information and Template Deformation (에지 정보와 형판 변형을 이용한 얼굴 특징 추출과 특지의 추적)

  • 박주철;최형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8.03a
    • /
    • pp.157-16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으로부터 에지 정보와 형판 변형을 통해 얼굴의 추출하고 그 특징을 기반으로 하는 추적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추적기법은 추출된 특징에 기반을 추적 지법으로 초기에 모자익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 부분을 찾고 찾아진 얼굴 부분에 에지 연산자를 적용하여 에지를 추출한다. 에지 영상이 얻어지면 에지 영상에서 영역의 크기와 모양, 그리고 관계 검증을 통해 대략적인 눈 영역을 추출한다. 눈 영역이 찾아지면 이를 바탕으로 입 영역에 대한 후보 영역에 대하여 이진화를 수행하고 히스토그램 프로젝션을 통해 대략적인 입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눈 영역과 입 영역에 각각의 형판을 사용해 형판 변형을 하고 초기 매개변수를 추출한다. 추출된 매개변수는 다음 프레임에서 형판의 초기 값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나서 형판에 대하여 변형(deformation) 과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추적 과정을 수행한다.

  • PDF

Vector Silhouette Extraction for Creating a Blueprint of Cultural Assets (문화재의 도면 생성을 위한 벡터 실루엣 추출)

  • Jung-Il Jung;Jinsoo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92-19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발전하는 3D 그래픽스 기술을 이용하여 문화재의 도면 실루엣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3D 스캐너로 정밀 실측된 3D 데이터를 이용하여 문화재의 도면을 생성하기 위한 벡터 실루엣(Silhouette) 추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실측된 3D 데이터를 정규화 된 3D공간으로 이동하고, 이동 후에는 데이터에 존재하는 모든 에지(edge)를 검출하여 에지리스트(edge list)를 생성한다. 생성된 에지리스트는 다시 윤곽에지(Contour edge)와 주름에지(Crease edge)로 분류하는데, 윤곽에지는 문화재의 윤곽 실루엣을 형성하는데 이용하고, 윤곽에지를 제외한 주름에지는 문화재의 표면 특징을 나타내는 내부문양 실루엣을 형성하는데 이용한다. 내부문양 실루엣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임계값과 주름에지를 구성하는 두면의 방향 벡터의 내적을 비교하여 추출한다. 추출한 벡터 실루엣은 윤곽 실루엣과 내부문양 실루엣으로 구분되며, 두 벡터 실루엣을 이용함으로써 문화재의 구조적 해석과 표면의 특징을 해석할 수 있는 도면 실루엣 생성이 가능했다.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Edge Histogram Analysis Technique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한 에지 히스토그램 분석기법)

  • Park Jong-Cheon;Jun B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a
    • /
    • pp.377-38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한 에지 히스토그램 분석기법을 제안하여 20종류의 다양한 에지에 대한 에지 히스토그램을 분석한다. 전체영역에 대한 수평방향 에지 히스토그램을 분석하고, 전체 영역을 몇 개의 부분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부분영역에 대한 에지 히스토그램을 수행하여 영역별 특징을 추출한다. 그리고 각각의 수평방향 에지 히스토그램에서 20종류의 에지 성분의 발생 패턴을 추출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에지 히스토그램 분석기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종류의 에지 성분을 사용한 방법보다 다양한 형태의 에지를 분석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에지 특징을 추출함으로서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었다.

  • PDF

Text Region Extraction Using Pattern Histogram of Character-Edge Map in Natural Images (문자-에지 맵의 패턴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자연이미지에세 텍스트 영역 추출)

  • Park, Jong-Cheon;Hwang, Dong-Guk;Lee, Woo-Ram;Jun, Byoung-M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7 no.6
    • /
    • pp.1167-1174
    • /
    • 2006
  • Text region detection from a natural scene is useful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vehicle license plate recognition.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xt region extraction method using pattern histogram of character-edge maps. We create 16 kinds of edge maps from the extracted edges and then, we create the 8 kinds of edge maps which compound 16 kinds of edge maps, and have a character feature. We extract a candidate of text regions using the 8 kinds of character-edge maps. The verification about candidate of text region used pattern histogram of character-edge maps and structural features of text reg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a text regions composed of complex background, various font sizes and font colors eff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