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지 병합

Search Result 4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f Brush Stroke Generation Using Color Transfer (칼라변환을 이용한 브러쉬 스트로크의 생성에 관한 연구)

  • Park, Young-Sup;Yoon, Kyung-Hy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9 no.1
    • /
    • pp.11-1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회화적 렌더링에서 칼라변환을 이용한 브러쉬 스트로크의 생성에 관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브러쉬 스트로크 생성을 위한 전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장의 사진(한 장의 소스 이미지와 한 장의 참조 이미지)을 입력으로 하여 칼라 변환 이론을 적용하여 색상 테이블이 바뀐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 방법은 소스 이미지의 칼라 분포 형태를 창조 이미지의 칼라 분포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선형 히스토그램 매칭이라 불리는, 간단한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한다. 둘째, 가우시안 블러링과 소벨 필터를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한다. 검출된 에지는 브러쉬 스트로크 렌더링 시 에지 부분에서 스트로크를 클리핑 함으로써 이미지의 윤곽선 보존을 위해 사용된다. 셋째, 브러쉬 스트로크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향맵을 생성한다. 방향맵은 입력 영상에 대한 영역 분할 및 병합을 토대로 만들어진다. 영역별 각 픽셀들에 대해 이미지 그래디언트에 기초한 일정한 방향을 부여함으로써 방향맵을 구성한다. 넷째, 구성된 방향맵을 참조하여 브러쉬 스트로크 생성의 기초가 되는 베지어 곡선(Bezier Curve)의 제어점(Control point)을 설정한다. 실제 회화작품에서 사용되는 브러쉬 스트로크는 일반적으로 곡선의 형태를 이루므로 곡선 표현이 가능한 베지어 곡선을 이용하여 브러쉬 스트로크를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생성된 브러쉬 스트로크를 에지부문에서 클리핑하고 배경색을 참조하여 블렌딩하거나 퐁 조명 모델을 이용하여 이미지에 적용하게 된다.

  • PDF

Edge-based Text Localization Using Geometrical Features of Hangul Character in Mobile Images (모바일 영상에서 한글 문자의 기하학적 특징을 이용한 에지 기반 텍스트 검출)

  • Park, Jong-Cheon;Oh, Myoung-Kwan;Jeon, B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820-822
    • /
    • 2012
  • 최근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일반화됨으로서 모바일 영상을 다루는 많은 응용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영상을 분석하여 정보를 추출한 결과를 인터넷 검색의 키워드로 연계함으로서 직관적인 멀티미디어 검색을 가능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모바일 영상에 포함된 한글 문자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한글 문자의 기하학적인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서 후보 한글문자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후보 문자영역을 한글 자소 병합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병합한다. 그리고 후보 문자 영역을 한글 6가지 한글 문자 유형 특징을 이용하여 한글 문자 영역을 판별함으로서 최종적인 한글 문자영역을 검출한다. 실험결과, 문자영역 검출률의 성능 평가 요소로서 재현률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Register Allocation Minimally Incrementing the Number of Assigned Registers and Using Node Merging (지정 레지스터 수 증가 최소화와 노드 병합을 이용한 레지스터 할당)

  • Park, Seung-Jin;Han, Kyung-Sook;Pyo, Ch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329-332
    • /
    • 2003
  • 노드 병합을 이용한 레지스터 할당 방법은 그래프 감축 단계에서 블록 되었을 경우 효율적인 비용 계산을 이용하여 그래프 감축이 지속될 가능성을 발생시키는 방법이다. 이와 함께 지정 레지스터 수의 증가를 최소화하는 레지스터 할당 방법은 컬러링 과정에서 좀더 적은 수의 레지스퍼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안된 방법이다. 이 두 가지 알고리즘을 함께 적용한 경우 기존의 레지스터 할당 알고리즘 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Appel 의 간섭 그래프들을 사용하여 제시된 레지스터 할당 방법과 Briggs의 알고리즘을 비교할 때 500 개 이상의 에지를 포함하는 그래프중에 5.81%의 그래프에서 레지스터 요구 수가 감소되었다. 제시된 알고리즘은 코드 길이가 길거나 사용가능한 레지스터 수가 적은 경우에 좋은 성능을 가져올 것으로 예측한다.

  • PDF

A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Image inpainting (Image inpainting의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Gong, Jae-Woong;Kim, Sung-Hyun;Kim, Tae-Hyoung;Kim, Doo-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5.11a
    • /
    • pp.221-224
    • /
    • 2005
  • 대부분의 영상은 다양한 이유(노이즈, 전송과정 중 발생하는 문제 등)로 인해 항상 좋은 품질을 보여주진 못한다. 이렇게 훼손된 영상의 복원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런 훼손된 영상을 복원하기 위해 Median filtering과 같은 기존의 처리 방법들은 주변 화소(Pixel)를 평활화(Smoothing) 처리를 하기 때문에 noise 처리에는 좋으나 원 영상의 중요한 에지 성분까지도 평활화 처리를 함으로써 에지 부분의 공간적 이동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image inpainting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inpainting 기법에는 편미분 방정식(PDE)을 이용한 방법, 텍스쳐 병합 기반의 방법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inpainting 기법들은 연산 수행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mage inpainting을 수행시 소요되는 연산시간을 줄이는 fast image inpainting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Image segmentation by edge-based labeling for Integrating product design information and image data. (제품 설계 정보와 영상 데이터의 병합을 위한 에지 기반 라벨링에 의한 영상 분할)

  • Lee, Hyung-Jae;Kim, Yong-Il;Yang, Hyung-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47-15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협동적 제품 개발 환경에서 제품 설계 데이터와 제품 내의 객체 정보를 매칭하고 영상 기반에서 공학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영상 내의 객체의 각 영역을 분할 하고자 한다. 제품 설계시 생성 과정에서 CAD 툴 등으로부터 생성되는 영상은 객체 화소값의 차이가 적고 생산환경에 맞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어야 한다. 위와 같은 두 가지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전처리 과정이 없이 객체 내의 각 부분 정보를 알 수 있는 에지 기반 라벨링(Edge_Based Labeling) 기법을 제안한다.

  • PDF

Mesh Simplification using New Approximate Mean Curvatures (새로운 근사 평균 곡률을 이용한 메쉬 단순화)

  • Kwak, Jae-Hee;Lee, Eun-Jeong;Yoo, Kwan-Hee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 no.2
    • /
    • pp.28-36
    • /
    • 2002
  • In general, triangular meshes have been used for modeling geometric objects such as virtual game characters. The dense meshes give us considerable advantages in representing complex, highly detailed objects, while they are more expensive for storing, transmitting and rendering the objects. Therefore, several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for producing a high quality approximation in place of detailed objects, that is, a simplification of triangular mesh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asure with respect to edges and vertices, which is called an approximate mean curvature and is used as criteria to simplify an original mesh. An edge mean curvature is computed by considering its neighboring edges, and a vertex mean curvature is defined as an average of its incident edges' mean curvatures. And we apply the proposed measure to simplify the models such as a bunny, dragon and teeth. As a result, we can see that the mean curvatures can be used as good criteria for providing much better approximation of models.

  • PDF

Color Image Segmentation for Region-Based Image Retrieval (영역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한 칼라 이미지 세그멘테이션)

  • Whang, Whan-Kyu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5 no.1
    • /
    • pp.11-24
    • /
    • 2008
  • Region-based image retrieval techniques, which divide image into similar regions having similar characteristics and examine similarities among divided regions, were proposed to support an efficient low-dimensional color indexing scheme. However, color image segmentation techniques are required additionally. The problem of segmentation is difficult because of a large variety of color and texture. It is known to be difficult to identify image regions containing the same color-texture pattern in natural scen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matic color image segmentation algorithm. The colors in each image are first quantized to reduce the number of colors. The gray level of image representing the outline edge of image is constructed in terms of Fisher's multi-class linear discriminant on quantized images. The gray level of image is transformed into a binary edge image. The edge showing the outline of the binary edge image links to the nearest edge if disconnected. Finally, the final segmentation image is obtained by merging similar region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region-based image retrieval system using the proposed segmentation. A variety of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segmentation scheme provides good segmentation results on a variety of images.

Mobile Phone Camera Based Scene Text Detection Using Edge and Color Quantization (에지 및 컬러 양자화를 이용한 모바일 폰 카메라 기반장면 텍스트 검출)

  • Park, Jong-Cheon;Lee, Keun-Wa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3
    • /
    • pp.847-852
    • /
    • 2010
  • Text in natural images has a various and important feature of image. Therefore, to detect text and extraction of text, recognizing it is a studied as an important research area. Lately, many applications of various fields is being developed based on mobile phone camera technology. Detecting edge component form gray-scale image and detect an boundary of text regions by local standard deviation and get an connected components using Euclidean distance of RGB color space. Labeling the detected edges and connected component and get bounding boxes each regions. Candidate of text achieved with heuristic rule of text. Detected candidate text regions was merged for generation for one candidate text region, then text region detected with verifying candidate text region using ectilarity characterization of adjacency and ectilarity between candidate text regions. Experctental results, We improved text region detection rate using completentary of edge and color connected component.

Character Region Detection Using Structural Features of Hangul & English Characters in Natural Image (자연영상에서 한글 및 영문자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한 문자영역 검출)

  • Oh, Myoung-Kwan;Park, Jong-Ch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3
    • /
    • pp.1718-1723
    • /
    • 2014
  • We proposes the method to detect the Hangul and English character region from natural image using structural feature of Hangul and English Characters. First, we extract edge features from natural image, Next, if features are not corresponding to the heuristic rule of character features, extracted features filtered out and select candidates of character region. Next, candidates of Hangul character region are merged into one Hangul character using Hangul character merging algorithm. Finally, we detect the final character region by Hangul character class decision algorithm. English character region detected by edge features of English characters. Experimental result, proposed method could detect a character region effectively in images that contains a complex background and various environments.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A proposed method showed advanced results about detection of Hangul and English characters region from natural image.

A Method to Decide the Number of Additional Edges and Their Locations to Integrate the Communities by Using Fitness Function (적합도 함수를 이용한 커뮤니티 통합에 필요한 추가에지수 결정 및 위치 선정 방법)

  • Jun, Byung-Hyun;Lee, Sang-Hoon;Han, Chi-Ge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12
    • /
    • pp.239-246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cide the additional edges in order to integrate two communitites A,B($${\mid}A{\mid}{\geq_-}{\mid}B{\mid}$$, ${\mid}{\cdot}{\mid}$ is the size of the set). The proposed algorithm uses a fitness function that shows the property of a community and the fitness function is defined by the number of edges which exist in the community and connect two nodes, one is in the community and the other is out of the community. The community has a strong property when the function has a large value. The proposed algorithm is a kind of greedy method and when a node of B is merged to A, the minimum number of additional edges is decided to increase the fitness function value of A. After determining the number of additional edges, we define the community connectivity measures using the node centrality to determine the edges locations. The connections of the new edges are fixed to maximize the connectivity measure of the combined community. The procedure is applied for all nodes in B to integrate A and B.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shown by solving the Zachary Karate Club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