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일

Search Result 79,148, Processing Time 0.088 seconds

A Study on the Korean '-e(에), -eseo(에서)' Education - Focusing on the Response of Chinese 'zai(在)' - (한국어 장소로서의 부사격조사 '-에, -에서' 교육 연구 - 중국어 개사 '재(在)'의 대응을 중심으로 -)

  • Wang, Yuan
    • Kore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 /
    • v.39 no.1
    • /
    • pp.39-5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aration Korean "-e(에), -eseo(에서)" with the Chinese "zai(在)," analyze the errors of using "-e(에), -eseo(에서),"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teaching required for Chinese learners to reduce these errors. Referring to mean place, "-e(에)" and "-eseo(에서)" generally correspond to "zai(在)" in Chinese, but "zai(在)" in Chinese does not completely correspond to "-e(에)" and "-eseo(에서)" with the meaning of position or place. Chinese learners are often misunderstood when they use "-e(에)" and "-eseo(에서)."

  • PDF

우리나라 고농서(古農書)에 나타난 한(旱)·수해(水害)와 그 대책(對策)에 관한 고찰(考察)(2)

  • Jang, Gwon-Yeol;Choe, Gyu-Hong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17 no.2
    • /
    • pp.204-207
    • /
    • 1992
  •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三國時代) 천년 동안에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나타난 농업재해(農業災害)에 관한 기록을 본바 한해(旱害)와 수해(水害)에 대한 기록이 제일 많고, 한해(旱害)에 대한 기록이 수해(水害)에 대한 기록이 수해(水害)에 대한 기록보다 두드러지게 많았다. 한해(旱害)에 대한 기록은 고구려 시대에 11회(回), 백제시대에 20회(回), 신라시대는 연대(年代)도 길어서 통일(統一)신라 이전에 22회(回) 그리고 통일신라 이후에 23회(回) 등 100회(回)에 가까운 한해(旱害)에 대한 기록을 볼 수 있다. 수해(水害)에 대한 기록은 한해(早害)에 대한 기록보다 적으나 고구려 시대에 5회(回), 백제시대에 3회(回), 그리고 신라시대에는 15회(回)의 수해(水害)(대수(大水))에 대한 기록이 보인다. 한해(早害)나 수해(水害)로 인하여 흉년(凶年)을 당했을 때, 특히 한해(旱害)에 대한 재해(災害)를 입었을 때에는 국가적(國家的)인 대책(對策)을 세워 기아민(飢餓民)의 구호(救護)에 힘을 기울였다는 기록은 얼마든지 있다. 여기에는 기우제(祈雨祭)를 지내여 민심(民心)을 수습하고 국가(國家)에서 비축(備蓄)하고 있었던 양곡(糧穀)으로 구호(救護)하였고 그 시대(時代)가 이천 년 전인 고구려, 백제, 신라의 건국 초기부터 라는 것을 볼 때 이들 구호(救護) 대책(對策)의 시행(施行)이 이천 년 전(前)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 PDF

仁和寺藏古巻子抄本"黃帝內経太素"に見られる 日本的な誤りについて (인화사(仁和寺)에 소장된 "황제내경태소(黃帝內經太素)" 고권자초본(古卷子抄本)의 전사과정(傳寫過程)에 나타난 일본(日本)에서의 오류(誤謬)에 관하여)

  • 좌합창미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7 no.4
    • /
    • pp.64-68
    • /
    • 2004
  • 당(唐)나라 고종시대(高宗時代)(7세기후반기(世紀後半期))에 유행(流行)했던 양상선(楊上善)이 선주(選注)한 "황제내경태소(黃帝內経太素)"가 일본(日本)에 전(傳)해진 것은 현종시대(玄宗時代)(8세기전반기(世紀前半期))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 후 "태소(太素)"는 중국(中國) 송대(宋代)에는 이미 거의 모두 유실(流失)되었다. 일본(日本)에서도 점차 확실하게 전승(傳承)되지 못했지만 강호시대말기(江戶時代末期)에 이르러 경도(京都)의 인화사(仁和寺) 서고(書庫)에서 재발견(再發見)되었다. 따라서 지금 볼 수 있는 "태소(太素)"에 수록된 내용들은 모두 인화사(仁和寺)에 저장된 고권자초본(古卷子抄本)(이하(以下)에서 인화사본(仁和寺本)이라고 약칭(略稱))으로부터 유래(由來)해온 것이다. 이 초본(抄本)은 1165~1168년(年)에 단파뢰기(丹波頼基)가 직접(直接) 쓴 것이다. 그가 기초로 삼았던 원본은 일세대전(一世代前)의 단파헌기(丹波憲基)가 쓴 것이다. 이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인화사본(仁和寺本) "태소(太素)"의 정리(整理)에서 최초에 초사(抄寫)할 때 착오(錯誤)가 있었다는 것을 고려(考慮)할 필요성(必要性)이 일반고의적이상(一般古医籍以上)으로 크다고 말할 수 있으며, "소문(素問), "영추(靈樞)"와의 이동점(異同點)에 대해서도 교기(校記)할 필요(必要)가 없는 것을 응당 지적(指摘)해내야 한다. 그중 상당한 부분(部分)은 옮겨쓴 사람이 일본인이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것들은 일본인(日本人)에 의하여 교정(校正)하는 것이 더 편리(便利)하다고 생각된다. 단지 대륙(大陸)의 문화(文化)가 고대일본(古代日本)에 전입(轉入)되는 과정에서 고대한국인(古代韓國人)의 작용이 컸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태소(太素)"초본(抄本)에도 "일본적(日本的)인 착오(錯誤)"외에 "고대한국적(古代韓國的)인 착오(錯誤)"가 있을 가능성도 있다. 금후(今後)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 PDF

Effects of Inorganic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of Pinus koraiensis Seedlings (X) -The Influence of Shading Pretreatment and Density on the Needle Growth and Other Organs in the Transplanting Bed- (무기적(無機的) 환경요인(環境要因)이 잣나무 유묘(幼苗)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X) -이식상(移植床)에서의 엽(葉) 생장(生長)과 타(他) 기관(器官) 생장(生長)과의 관계(關係)-)

  • Kim, Young Chai;Chon, Sang Ke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78 no.2
    • /
    • pp.143-150
    • /
    • 1989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influence of relative light intensity and planting density on the growth of dry weight of needles and other organs growth in Korean white pine seedlings raised in the transplanting bed. 1. As treated with various light intensities, relationships between needle dry weight and growth of other organs(dry weight of shoot, root and diameter of seedlings)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nd linear regressions, but regression between needle dry weight and seedling elongation was a second degree polynomial. As treated with various planting densities, the second degree regression curve was found between needle dry weight and shoot dry weight, and seedling elongation, And linear regression between needle dry weight and root dry weight, and seedling dry weight could be estimated, while any regression between needle dry weight and diameter was not recognized. 2. As treated with various light intensities, linear regression between leaf area and shoot dry weight, and seedling dry weight, exponential regression between leaf area and seedling elongation were significantly recognized, while a tendency of logarithmic regression between leaf area and diameter appear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density treatment, logarithmic regression between leaf area and shoot dry weight, linear regression between leaf area and root dry weight, and seedling dry weight, but quadric regression between leaf area and seedling elongation and diameter were significantly found.

  • PDF

Electromyographical Studies on Experimental Hypocalcemia in Goats (산양(山羊)의 저(低)Ca 혈증(血症)에 관한 근전도학적연구(筋電圖學的硏究))

  • Kang, Chung Boo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19 no.2
    • /
    • pp.161-167
    • /
    • 1979
  • 저(低)Ca혈증(血症)의 주징(主徵)인 기립불능(起立不能)의 발현원인(發現原因)의 추구를 위해 실험적(實驗的) 저(低) Ca혈증(血症)에서 기립불능(起立不能) 나아가 심장운동정지(心臟運動停止)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근전도학적(筋電圖學的)으로 실시한 결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EDTA 주입전(注入前)의 정상기립시(正常起立時)에는 항중력근(抗重力筋)에만 tonic discharge가 얻어졌으나 혈정(血中) Ca 농도(濃度)의 저하정도에 따라 근방전(筋放電)이 달라져 6mg/100ml 전후에서 항중력근(抗重力筋) 및 그의 길항근(拮抗筋)에도 phasic discharge를 수반한 tonic discharge가 동기적(同期的)으로 나타나 이의 현상은 후구탈력(後軀脫力)에 의해 주저앉을 때에도 마찬가지였다. 기립불능(起立不能)의 상태에선 clonic convulsion양(樣)의 근방전(筋放電)이 폐사시까지 계속되었다. 경막외마취(硬膜外痲醉)에 의한 근전도(筋電圖)에선 근방전(筋放電)은 항시 상반적(相反的)이었고 후구마비(後軀痲痺)에 의한 횡와위(橫臥位) 상태에선 어떤 근방전(筋放電)도 얻어지지 않아 EDTA 주입(注入)에 의한 저(低) Ca혈증시(血症時)와 경막외마취시(硬膜外痲醉時)의 기립불능(起立不能)의 본질(本質)은 상위(相違)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저(低)Ca혈증시(血症時)에 수반되는 각종 반사 및 임상증상의 추이(推移)로 저(低)Ca혈증시(血症時)에 수반되는 기립불능은 말초신경계 및 신경일근접합부(神經一筋接合部) 및 근(筋) 자체의 기능저하보다는 중추신경계의 기능저하에 의한 가능성을 크게 시사하는 것으로 보아진다.

  • PDF

"상한잡병론"에 나타나는 양허증후의 변증론치에 대한 고찰

  • Do, Han-Hwa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9 no.1 s.32
    • /
    • pp.207-210
    • /
    • 2006
  • ${\ulcorner}$상한잡병론(傷寒雜病論)${\lrcorner}$에 나오는 양허증의 병인병리(病因病理)에 대한 내용을 종합하여 검토하고, 그 처방의 구성 약물과 용약 규율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양허증을 치료하는 상용약물로는 부자 계지 건강 오수유 생강 등이 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 임상에서 약을 사용할 때에는 장부의 생리적 특징에 근거하여 약물을 배합하여야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양허(心陽虛)에는 계지감초(桂枝甘草)에 복령(茯笭)을 배합하고, 신양허(腎陽虛)에는 진무탕(眞武湯) 신기환 등(等)에 복령(茯笭), 택사(澤瀉), 백출(白朮) 등의 약물을 배합하여, 비양허(脾陽虛)로 인한 담음(痰飮)에는 계지감초(桂枝甘草)의 신감(辛甘)한 약성으로 화양(化陽)하고, 복령(茯笭), 백출(白朮)로 건비리습(健脾利濕)하는 영계출감탕을 사용하며, 심하(心下)에 수(水)가 정체된 경우에는 윗 처방에 사인 백두구 등의 온건비위(溫健脾胃)하고 성비소식(醒脾消食)하는 약물을 가하여 사용한다. 폐양허(肺陽虛)하여 폐위가 된 경우에는 감초(甘草) 건강(乾姜) 등을 사용하여 온폐복기하는데, 이는 ‘배토생금(培土生金)’의 의미이다. 간양허(肝陽虛)가 나타나는 경우는 매우 드문데, 위기가 허한(虛寒)하여 간(肝)이 소설(疏泄)작용을 못할 때에는, 오수유(吳茱萸)로 온위산한(溫胃散寒)하고, 인삼(人參) 대조(大棗)로 보중익기하며, 오수유(吳茱萸) 생강(生姜)의 신산(辛散)작용으로 간기를 다스리는 오수유탕(吳茱萸湯)을 사용하여 강역지구(降逆止嘔)하며, 혼(魂)을 수렴하지 못하여 생긴 실안(失眼)에는 산조인탕(酸棗仁湯)으로 보간(補肝)하여 치료하며, 간경(肝經)에 한사(寒邪)가 침입하여 근맥이 연급(攣急)하게 된 경우에는 지주산(蜘蛛散)을 사용하여 온경산한(溫經散寒)한다.

  • PDF

Sympathetic Activity in the Pressor Response in Raised Intracranial Pressure -Experiments with clonidine, phenoxybenzamine and phentolamine- (두개내압상승(頭蓋內壓上昇)에 따른 혈압상승(血壓上昇)과 교감신경기능(交感神經機能)과의 관계(關係) -Clonidine, phenoxybenzamine 및 phentolamine의 영향(影響)-)

  • Chung, Woo-Sup
    • The Korean Journal of Pharmacology
    • /
    • v.15 no.1_2 s.25
    • /
    • pp.7-12
    • /
    • 1979
  • Employing clonidine, phenoxybenzamine, and phentolamine, the author attempted to clarify the mechanism of the pressor response in raised intracranial pressure (ICP) in urethaneanesthetized rabbits. Intravenous clonidine inhibited the pressor response in raised ICP as intraventricular (I.V.T ) clcnidine did. Intravenous phenoxybenzamine and phentolamine weakened markedly the pressor response in raised ICP I.V.T. phenoxybenzamine did not affect the pressor response as I.V.T. phentolamine. I.V.T. phenoxybenzamine antagonized the inhibitory effect of I.V.T. clonidine on the pressor response as I.V.T. phentolamine. It is concluded that the central and peripheral sympathetic activ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ducing the pressor response in raised ICP.

  • PDF

산지초지조성(山地草地造成)에 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 Park, Tae-Sik;Jeong, Se-Gyeong;Kim, Nam-Gyun;Ju, In-Won;Lee, Chun-Hui;Kim, Jo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58 no.1
    • /
    • pp.94-100
    • /
    • 1982
  • 1. 영농실태(營農實態) (1) 비육우영농업자(肥育牛營農業者)보다는 유우락농업자(乳牛酪農業者)들이 축산업(畜産業)에 치중하고 있었다. 즉, 우(牛)의 사육형태(飼育形態)에 있어서 서울우유조합원(組合員)의 경우 비육우(肥育牛)마을에 비해 전업(專業)의 경우가 많았고, 비육우(肥育牛)마을은 부업(副業)이 훨씬 많았다. (2) 우사육(牛飼育)에 있어서의 난점(難點)으로 나타난 것은 서울우유조합원(組合員)의 경우 자금부족(資金不足)과 인력부족(人力不足)이었으며, 비육우(肥育牛)마을의 경우는 자금부족(資金不足)과 축산물(畜産物) 가격(價格)의 불안정(不安定)이 큰 비중(比重)을 차지하였다. 2. 초지조성(草地造成)에 대한 의견 (1) 초지조성지(草地造成地)의 위치선정(位置選定)에 대한 반응은 마을주변 야산(野山) 혹은 구릉지(42%)가 적합(適合)하다는 반응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2) 경제성(經濟性)을 고려할 때 산지개발초지조성(山地開發草地造成)에 대한 반응은 가능하다(50%), 어렵다고 생각한다(36%), 전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8%)의 순(順)이었다. (3) 초지이용방법(草地利用方法)에 대한 반응은 서울우유조합원(組合員)의 경우에 양자병합초지(48%), 방목용초지(25.5%), 건초생산위주의 초지(25.5%)의 순(順)이었고, 비육우(肥育牛)마을의 경우는 건초생산위주의 초지(41%), 양자병합초지(30%), 방목위주의 초지(19%)의 順으로 나타났다. (4) 적당(適當)한 초지조성방법(草地造成方法)에 대한 반응은 경운법, 제경법, 겉뿌림법의 순(順)으로 경운법과 제경법이 다소 많은 반응을 보였다. (5) 건초생산(乾草生産)위주의 초지(草地)에 있어서의 기계화의 필요성(必要性)에 대한 반응은 필요하다는 반응이 88%의 높은 비율(比率)로 나타났다. (6) 농가소득(農家所得)을 위한 바람직한 축산형태(畜産形態)에 대한 반응은 농가중심(農家中心)의 부업축산(副業畜産)과 전업축산(專業畜産)이 바람직하다는 반응이 전체비(全體比)에 있어서 87%로 높게 나타났다. (7) 산지개발초지조성(山地開發草地造成)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이유(理由)에 대한 응답(應答)은 초지조성비용(草地造成費用)이 많이 들어서, 기술(技術) 및 인력(人力)이 부족(不足)해서 토질이 척박해서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 PDF

An Observation on Pathogenicity of the Pasteurella multocida Strains Isolated from Pig and Duck (오리 및 돈(豚)으로부터 분리(分離)한 Pasteurella multocida 주(株)의 병원성(病原性)에 관(關)하여)

  • Son, Je-Yeong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1 no.1
    • /
    • pp.72.1-72.1
    • /
    • 1961
  • Pasteurella multocida에 대(對)한 각종성장(各種性狀) 및 균주(菌株) 상호간(相互間)의 이동(異同)에 관(關)하여는 많은 연구(硏究)가 있으나 아직까지의 문헌(文獻)에 의(依)하면 자연감염(自然感染에)에 있어서는 일반적(一般的)으로 동종동물(同種動物)에 감염(感染)한다 하여도 각종동물(各種動物)에서 분리(分離)된 Pasteurella multocida는 그 병원성(病原性)이 분리(分離)된 동물(動物)과 명확(明確)한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가지는것이 아니며 그저 생물학적(生物學的) 내지(乃至) 생화학성장(生化學性狀) 혹(或)은 면역학적성장(免疫學的性狀)에 있어서 그차이(差異)로 균형(菌型)을 분류(分類)할수 있는데 불과(不過)하다. 그런데 월지(越智)는 그의 분류(分類)에서 A형균(型菌)(조류(鳥類)에서 분리(分離)한 균주(菌株))은 가토(家兎) mouse 및 조류(鳥類)에 병원성(病原性)이 있고 타(他) 포유동물(哺乳動物)에 병원성(病原性)이 없다고 하였으며 또 B. C. D형균(型菌)(포유류(哺乳類))에서 분리(分離)한것)은 닭, 가압등(家鴨等) 조류(鳥類)에 병원성(病原性)이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필자(筆者)는 출혈성패혈증(出血性敗血症)으로 죽은 오리 및 돈(豚) cholera와 혼합감염(混合感染)을 이르킨 돈(豚)으로부터 각각(各各) 따로 Pasteurella multocida를 분리(分離)하여 이 병균(病菌)를 가지고 각종동물(各種動物)에 접종시험(接種試驗)을 한바 상술(上述)한 월지(越智)의 견해(見解)는 부합(附合)되지 않았다. 즉 이 양주(兩株)는 돈(豚), 가토(家兎), 오리, 닭등(等)에 대(對)하여 동양(同樣)으로 강(强)한 병원성(病原性)을 가졌으며 또 양주(兩株)는 다같이 면양(緬羊)에 대(對)하여 거이 병원성(病原性)이 없고 Guinea Pig은 양주(兩株)에 대(對)한 저항성(抵抗性)이 다같이 강(强)하였다. 다시말하면 이 양주(兩株)는 조류(鳥類)나 포유류(哺乳類)에 대(對)하여 거의 동일(同一)한 병원성(病原性)이 있음을 인정(認定)하였다.

  • PDF

ON VECTOR-VALUED INTEGRATION

  • KIM, IHN-SUE
    • Honam Mathematical Journal
    • /
    • v.2 no.1
    • /
    • pp.25-35
    • /
    • 1980
  • Vector치(値) 함수(函數)의 Vector치(値) 적분론(積分論)에는 많은 연구(硏究)가 되어 왔으나, 본(本) 논문(論文)에서는 그 가운데 Bochner 적분론(積分論)에 대(對)해서 연구(硏究)하고 Bochner 부정적분(不定積分)에 의(依)한 Vector치(値) 측도(測度)의 표현(表現)에 관(關)한 Radon-Nikodym 정리(定理)에 대(對)해서 연구(硏究)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