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어갭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2초

오벌형 자동차 촉매 컨버터의 고온 열적 거동 예측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diction of High Temperature Thermal Behavior of, Automotive Catalytic Converters with Oval Type)

  • 허형석;원종필;이규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15-22
    • /
    • 2002
  • Considering the high temperature durability, the most important issue is to accurately predict the maximum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shell, mat and substrate. This temperature prediction then defines the material selections far the mat, shell and cones, and allows an assessment to be made as to the necessity of heat shielding. In this papers, The commercial code FLUENT was utilized to simulate automotive oval type catalytic converters, with the objective of predicting thermal behavior under steady-state, high-load conditions. Specialized computational models are used to account for effects of heat and mass transfer in the monolith, conjugate heat transfer in the various converter materials, and radiation heat transfer.

Estimation of Cooling Rate in Bulk Amorphous Alloys by Separate Cooling Process

  • Kang, Bok-Hyun;Choi, Seong-Pil;Kim, Ki-Young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67-173
    • /
    • 2010
  • 벌크 비정질 합금의 특성상 점도가 높고, 냉각속도가 빨라 냉각되는 합금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측정에 의하여 냉각속도를 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합금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대신 금형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금형의 온도를 상용 열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3차원 계산 결과와 비교, 보정하는 역문제 기법을 사용하여 Cu계와 Zr계 벌크 비정질합금의 냉각속도를 예측하였다. 예측된 냉각속도는 금형온도와 시편의 두께에 따라Cu계의 경우는 284~300 K/s, Zr계는 279~289 K/s로, 초기 금형온도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산모사 결과와 달리 금형을 수냉한 쪽보다 가열한 쪽의 응고중 냉각속도가 빨라 조직이 더 미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응고중 금형과 주물간에 에어갭의 형성으로 열전달을 방해 받은 영향으로 사료된다.

송전선 감지 체계를 위한 효율적인 전력 공급 장치 (An efficient power supply of monitoring systems for power transmission lines)

  • 임천용;문건우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7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110-111
    • /
    • 2017
  • 송전선 감지 체계를 위한 효율적인 전력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 이전에는 무시하였던 2차측 부하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 에어 갭이 없는 코어를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훨씬 큰 전력을 추출하였다. 분석을 통해 새로운 설계 가이드 또한 제시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식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마이크로볼로미터 IR 소자의 응답도 특성의 진공도 의존성 연구

  • 한명수;한석만;신재철;고항주;김효진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61-361
    • /
    • 2013
  • 비냉각 적외선 검출소자는 빛이 전혀 없는 환경에서도 사물을 감지하는 열상장비의 핵심소자이다. 마이크로볼로미터 적외선 검출기는 상온에서 동작하며, 온도안정화를 위해 TEC를 장착하여 진공패키지로 조립된다. 패키지는 진공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메탈로 제작되며, 단가 감소 및 생산성 증대를 위해 wafer level packaging 방법을 이용한다. 마이크로볼로미터의 특성은 패키지의 진공 변화에 매우 민감하다. 센서의 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진공환경을 유지해야 한다. 볼로미터 소자의 특성은 상압에서 열전도는 기판과 멤브레인 사이의 에어갭을 통해 열손실을 야기하므로 센서의 반응도가 현저히 줄어든다. 에어갭이 1 um 정도 되더라도 그 사이에 존재하는 열전도가 가능하므로 진공을 유지하여 열고립 상태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자의 동작시 압력, 즉 진공도가 볼로미터 소자의 반응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마이크로볼로미터 소자는 $2{\times}8$ 어레이 형태로 제작하였으며, metal pad를 각 단위셀에 배치하였으며, 공통전극으로 한 개의 metal pad를 넣어 설계하였다. 흡수체로써 VOx를 사용하였으며, 열 고립구조를 위해 2.5 um 공명 흡수층의 floating 구조로 멤브레인을 형성하였다. 진공패키지는 메탈패키지를 제작하여 볼로미터 칩을 TEC 위에 장착하였으며, 신호의 감지를 위해 가변저항을 매칭시켰다. 반응도는 신호 대 잡음 값을 획득하여 소자에 도달하는 적외선 에너지에 대해 반응하는 값을 계산에 의해 얻어내는 것이다. 픽셀 크기는 $50{\times}50$ um이며, 패키지 조립 공정 후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 측정을 통해 TCR 값을 얻었다. 이때 TCR은 약 -2.5%/K으로 나타났다. $2{\times}8$의 4개 단위소자에 대해 측정한 값은 균일하게 TCR 값이 나타났다. 광반응 특성은 볼로미터 단위소자에 대해서 먼저 고진공(5e-6 torr) 하에서 측정하였으며, 반응도는 25,000 V/W의 값을 나타내었고, 탐지도는 약 2e+8 $cmHz_{1/2}$/W로 나타났다. 패키지의 압력 조절을 위해 TMP 및 로터리 펌프를 이용하여 100 torr에서 1e-4 torr의 범위에서 압력조절 밸브를 이용하여 질소가스의 압력으로 진공도를 변화시켰다. 적외선 반응신호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2e-1 torr의 압력에서 신호의 크기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5 torr에서 반응도의 1/2 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30 torr 이상에서는 신호가 잡음값 과거의 동일하여 신호대 잡음비가 1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진공도 변화에 대해, 흑체온도에 따른 반응도 및 탐지도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한다. 반응도의 증가를 위해 진공도는 진공도는 1e-2 torr 이하의 압력을 유지해야 함을 본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 PDF

Aerosol Jet Deposition을 이용한 기판 온도에 따른 $CuInS_2$ 박막 특성

  • 김동찬;번영;공선미;정지원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0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60-160
    • /
    • 2011
  • I-III-VI족 화합물 반도체인 $CuInS_2$(CIS) 박막은 Cu(In,Ga)$Se_2$에 비해서 독성원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환경 친화적이고 Ga, Se를 사용하지 않아 조성의 조절이 쉬우며 태양전지의 이상적인 밴드갭인 1.5 eV에 근접한 1.53 eV의 직접천이형 에너지 밴드갭을 가지고 있어 태양전지의 광흡수층으로써 유망한 재료이다. CIS 박막 증착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chamber를 진공으로 만들고 CIS를 구성하는 용액으로부터 미립자화 된 입자를 노즐을 통하여 팽창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입자들의 운동에너지를 증착에 직접 이용 할 수 있는 Aerosol Jet Deposition (AJD)라는 방법을 이용하려고 한다. 이 방법은 높은 증착속도로 우수한 박막을 성장시킬 수 있는 저비용 및 단순공정으로 CIS를 증착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다. 물을 용매로 하여 수용액 상태의 $CuCl_2{\cdot}2H_2O$, $InCl_3$, $(NH_2)_2CS$를 혼합하여 CIS 용액을 제조하고 carrier gas를 주입하여 CIS 용액을 노즐로 이동시켜 팽창시킨다. 용액이 팽창되면서 온도가 감소하여 응축이 일어나며 이 응축된 용액이 가열된 기판 위에 충돌하여 용매가 증발하면서 결정화된 CIS가 증착이 된다. CIS의 특성은 용액의 전구체 비율, 기판 온도, 팽창 전 압력, chamber 압력 등의 영향을 받는데 본 연구에서는 기판 온도를 증착변수로 선택하여 CIS 박막을 증착하고 박막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인장각 플랫폼(Tension Leg Platform)에 대한 시간 영역 계산 (A Time Domain Calculation for the TLP(Tension Leg Platform))

  • 박태현;조진욱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6-260
    • /
    • 2002
  • This report summarizes the results of global performance analysis of TLP(Tension Leg Platform) at in-place operation condition. The frequency and time domain analysis were performed to calculate the wave induced dynamic responses of TLP using the commercial 3-D diffraction program, MOSES. As results of the analysis, air-gap, excursion and tension on the tendons&risers were provided. For verifying, the existed numerical and experimental result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 PDF

메탄의 완전산화 반응을 위한 중공사형 페롭스카이트 촉매 제조 (Preparation of the Hollow Fiber Type Perovskite Catalyst for Methane Complete Oxidation)

  • 이성운;김은주;이홍주;박정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3호
    • /
    • pp.297-302
    • /
    • 2018
  • 선행 연구를 통해서 우수한 메탄 완전 산화 특성을 보인 $La_{0.1}Sr_{0.9}Co_{0.2}Fe_{0.8}O_{3-{\delta}}$ (LSCF1928) 페롭스카이트 분말 촉매로 비드형과 중공사형 촉매를 제조하였다. 중공사형 촉매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 형태이며, 상전이법을 통해 기공을 형성시킬 수 있어 비표면적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Methyl Cellulose (MC)를 넣어 제조한 비드형 촉매의 경우 MC에서 배출되는 $CO_2$와 촉매 성분인 Sr이 반응하여 원래 촉매 조성이었던 LSCF1928 조성 외에 $SrCO_3$가 생성되었다. 중공사형 촉매의 경우 불순물 없이 단일상의 페롭스카이트 구조를 얻었다. $700{\sim}900^{\circ}C$에서 하소한 중공사형 촉매는 손가락구조-스펀지구조-손가락구조의 기공 형태를 보였으며, 모두 $475^{\circ}C$에서 메탄의 완전 산화 반응을 통해 99.9% 산소 전화율을 달성하였다. 중공사형 촉매의 기공을 제어하기 위하여 에어 갭과 방사압력 조건을 변경하였다. 2 cm 에어 갭, 7 bar의 방사 압력으로 제조한 중공사형 촉매가 가장 우수한 촉매 성능을 보였으며, $425^{\circ}C$, $450^{\circ}C$$475^{\circ}C$에서 각각 70.65%, 93.01%, 99.99% 이상의 산소 전화율을 달성하였다.

4×4 배열 합성 혼 안테나 및 고출력 마그네트론에 의한 방사전력 측정 (Design of 4×4 Array Synthesis Horn Antenna and Radiated Power Measurement by Magnetron)

  • 고동옥;신재윤;우종명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08-11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배열 합성 혼 안테나를 설계하고 고출력 마그네트론을 연결하여 방사전력을 측정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4{\times}4$ 배열 합성 혼 안테나 특성을 바탕으로 후방 방사를 억제시키기 위해 합성 혼 개구면 상, 하단에 2단 단락구조물을 부착하여 빔폭 E-plane $8.86^{\circ}$, H-plane $7.35^{\circ}$, 전후방비 39.7 dB를 얻었다. 또한 배열된 마그네트론을 이용한 배열 혼 안테나의 방사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도파관 어댑터를 설계하여 마그네트론과 혼 안테나를 연결 시켰고 고출력의 파워를 측정하기 위해 중간단에 에어갭을 넣은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커플러를 설계하였다. $4{\times}4$ 배열 합성 혼 안테나의 중앙에 4개의 마그네트론을 연결하여 측정한 결과 평균 방사 출력 0.063 W를 얻었다.

리니어엔진을 이용한 파워팩의 운전조건에 따른 발전출력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Generating Power on Operating Parameters of Powerpack utilizng Linear Engine)

  • 오용일;김강출;임옥택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83-190
    • /
    • 2012
  • The research shows the experiment results according to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configuration of the linear generator of powerpack for the generating power applying the 2-stroke compact linear engine. The powerpack used in this paper consists of 2-stroke linear engine, linear generator and air compressor parts. For identifying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generating power of linear engine, some parameters were varied sucha as electric load, fuel input calorie, spark timing delay and equivalence ratio. Also generating power was confirmed at each operation conditions, when the air gap length of linear generator part was changed as each 1.0 mm and 2.0 mm. During the all operations, intake air was inputted under the wide open throttle. Mass flow rate of air and fuel was changed using mass flow controller, after these were premixed by premixture device, and then premixed gas was supplied directly into each cylinder. As a result, piston frequency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at each conditions according to parameters affecting the combustion such as fuel input calorie, resistive load, spark timing delay and equivalence ratio. Consequently, these had an effect on generating power.

폴리이서설폰 중공사 막을 이용한 $N_2/SF_6$ 투과거동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_2/SF_6$ Permeation Behaviors Using the Polyethersulfone Hollow Fiber Membranes)

  • 이형근;김대훈;안영모;조항대;박종수
    • 멤브레인
    • /
    • 제19권3호
    • /
    • pp.244-25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폴리이서설폰(polyethersulfone, PES) 중공사 막을 이용하여 6대 온실가스에 속하는 육불화황($SF_6$)을 질소 중에서 분리하고자 하였다. 제막 조건에 따른 막의 구조와 성능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다른 비용매(아세톤, 에탄올)와 에어갭(air-gap) 그리고 실리콘 코팅을 통하여 성능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전자주사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통하여 구조 변화를 관찰하였다. $N_2$, $SF_6$ 단일기체 투과실험에서 제조된 막의 표면 실리콘 코팅을 통하여 최고 7.64의 선택도를 나타내어 3.4배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