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멀션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5초

에멀션 폭약의 특성 및 사용상 문제점 개선방안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Emulsion Explosive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안명석;김종현;이종권;최재욱
    • 화약ㆍ발파
    • /
    • 제19권4호
    • /
    • pp.23-30
    • /
    • 2001
  • 근래 건설·토목현장에서는 원가절감 및 안전사고 감소 방안으로 보다 안전하고 저렴한 폭약사용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석회석 광산에서만 사용해 왔던 안포 폭약을 토목현장에서도 수년 전부터 적용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또한 최근에는 에멀션 폭약의 개발 및 수요처에 적극공급으로 인해 상당부분 기존 다이너마이트 시장을 대체하였다. 그리고 외국에서 일부 적용 중인 현재의 안포 폭약 공급시스템과 에멀션폭약의 특징을 조합한 벌크 에멀션 폭약의 공급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 맞추어 전문기술자들의 관심을 더욱 높이고, 현재까지 토목현장에서 시행되어온 에멀션폭약의 사용상 장점과 단점을 수집·검토·연구하였으며, 이에 따른 문제점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고농축에멀션중합방법을 이용한 분리막제조와 선택적 흡수성 연구 (Preparation of Hydrophilic-Hydrophobic Composites by A Concentrated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and Their Permselectivity to Mixture of Water-Ethanol)

  • 박준서
    • 공업화학
    • /
    • 제8권1호
    • /
    • pp.29-38
    • /
    • 1997
  • 고농축에멀션중합방법을 이용하여 친수성-친유성 고분자복합소재를 합성하였다. w/o 형태의 고농축에멀션의 연속상은 styrene이며, 분산상은 수용성 acrylamide용액으로 분산상의 부피분율이 0.74 이상이다. 중합온도에서 에멀션의 안정성에 미치는 주요 요인들로는 친유성액체와 친수성액체의 물리화학적 특성인 극성, pH, 이온세기 및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농도가 있다. 친유성액체와 친수성액체 사이의 계면장력이나 친수성액체와 계면활성제 수용액사이의 계면장력에 있어 계면장력의 값이 큰 경우는 높은 에멀션의 안정성을 나타낸다. 계면활성제의 HLB가 3.0~9.0 경우와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CMC가 이상에서 에멀션이 높은 안정성을 나타낸다.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조사에 의하며 복합재료는 분산상의 Poly acrylamide입자가 망상구조의 얇은 polystyrene필림에 의해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고농축에멀션에서부터합성된 고분자복합재료막은 물-에탄온 혼합물에서 물에 대해서 높은 선택성을 나타내었으며, 또 에탄올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막의 선택도는 증가하였으나 투과속도는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 PDF

달걀 노른자위 레시틴의 첨가가 물/카놀라 기름 에멀션의 지방질 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of Egg Yolk Lecithin on the Lipid Oxidation of a Water/canola Oil Emulsion)

  • 최지수;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561-566
    • /
    • 2015
  • 350 ppm 농도로 물/카놀라 기름 에멀션에 첨가된 달걀 노른자 위 레시틴은 에멀션 기름의 철 이온에 의한 자동산화와 클로로필에 의한 감광산화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에멀션의 산화 중 달걀 노른자위 레시틴으로부터 유래한 인지방질은 분해되었으며 감광산화에 비해 자동산화에서 분해 속도가 높았다. 그러나 PC와 PE 사이의 분해 속도는 두 종류의 산화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Tween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중합한 에멀션점착제의 접착물성 (Adhesive Properties of Emulsion PSA Polymerized Using Tween Series Nonionic Surfactants)

  • 임태균;이명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3호
    • /
    • pp.289-293
    • /
    • 2014
  • 에멀션형 점착제 분야에서 노닐페닐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찾기 위해 Tween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선정하여 에멀션형 점착제를 제조한 후 이를 노닐페닐계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NP-40을 사용한 점착제와 점착물성을 비교해 봄으로써 그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 Tween 60과 Tween 80의 경우 NP-40의 경우보다 박리강도와 유지력 면에서 매우 우수한 점착물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분지쇄아미노산(BCAA)이 포집된 더블에멀션과 리포좀의 안정성 비교 (Comparison of the stability between branched-chain amino acid (BCAA)-coated liposome and double emulsion)

  • 이윤정;이상윤;신혜린;강구현;위기현;고은영;조영재;최미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36-64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식품에 적용할 수 있는 코팅방법인 리포좀과 더블에멀션의 안정성을 연구하기 위해 기능성 아미노산인 BCAA를 함유한 리포좀과 더블에멀션을 제조하였다. 리포좀의 입자크기는 pH 7보다 pH 4에서 더 작게 나타났는데, 이는 양쪽성 이온인 BCAA가 pH 4에서는 양전하를, pH 7에서는 음전하를 띠기때문에 음전하인 레시틴과의 상호작용을 하여 그 크기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타전위의 절댓값은 pH 7보다 pH 4에서 더 크게 나타나 pH 4에서 리포좀의 분산안정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블에멀션은 초기 입자의 크기가 $100{\mu}m$ 이내, 제타전위는 모두 절댓값이 30 mV 이상이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크기가 커지고, 제타전위의 절댓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리포좀과 더블에멀션의 BCAA 포집율은 모두 97% 이상이었고, 누적 방출율은 리포좀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나 5일간 누적방출율은 30% 미만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리포좀과 더블에멀션은 높은 효율로 특정 기능성 물질을 안정적으로 포집한다는 특징을 가지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이를 식품 산업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내상 에멀션 중합에 의해 제조된 열린 기공을 갖는 고장도 고분자/점토 나노복합 발포체 (Reinforced Polymer/Clay Nanocomposite Foams with Open Cell Prepared via High Internal Phase Emulsion Polymerization)

  • 송인희;김병철;이성재
    • 폴리머
    • /
    • 제32권2호
    • /
    • pp.183-188
    • /
    • 2008
  • 무기 점도증진제를 도입한 고내상 에멀션 중합법에 의해 고강도의 열린 기공을 갖는 미세구조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오일상 점도증진제로 유기화 점토를 사용하였고 수용상 점도증진제로는 무처리된 친수성 점토인 천연 몬모릴로나이트를 사용하였다. 고내상 에멀션의 유변물성은 오일상 점도증진제의 농도와 교반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는데 이는 연속상 점도와 분산상 점도간의 경쟁과 전단력의 증가를 반영하여 액적의 크기를 감소시켰기 때문이었다. 점도증진제 농도에 따른 액적의 크기 변화는 캐필러리 수와 점도비 사이의 무차원 해석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고내상 에멀션을 중합하여 제조한 발포체를 대상으로 파괴 강도 및 압축 탄성률로 표현되는 압축 물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미세기공 발포체 중에서 반응성 작용기를 지닌 유기화 점토를 도입한 발포체의 경우 우수한 압축 물성을 보여 주었다. 이는 유기화 점토가 폴리스티렌 매트릭스 내에 박리된 형태로 존재하여 나노복합 발포체를 이루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구기자 종자 초임계유체 추출물의 화장품소재로서의 가능성 평가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Produced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from Lycii Fructus Seed for Cosmetic Ingredients)

  • 김보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23-630
    • /
    • 2017
  • 본 연구는 구기자 종자를 초임계유체 추출한 후 in vitro 미백활성과 항균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추출물을 에멀션에 적용하여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pH, 점도, 에멀션 입자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미백활성의 경우 $750{\mu}g/mL$에서 81.86 %의 미백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항균효과의 경우 Staphylococcus epidermidis, Candida albicans, Escherichia coli 균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추출물을 함유한 에멀션 물리적 안정성 평가에서 점도와 pH가 28일 동안 큰 변화가 없었으며 유화물 입자 관찰 시 경시변화에 따른 합일과 분리현상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화장품소재로서의 구기자 씨앗 추출물이 유용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나노에멀션 내의 베타카로텐 분해에 미치는 산화방지제의 영향 (Influence of antioxidants on β-carotene degradation in nanoemulsions)

  • 박준규;권윤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24-33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성질을 지닌 기름(MO, CO, PO)을 선정한 후 산화방지제(아스코브산, 토코페롤)의 종류와 농도를 달리한 베타카로텐 함유 나노에멀션을 제조하여, 산화안정성을 검토하였다. 베타카로텐 나노에멀션은 낮은 pH에 비하여 높은 pH에서 화학적으로 더 안정하였다. 또한 베타카로텐의 산화는 기름의 특성에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지방산 사슬길이가 길며 포화 지방산 함량이 낮은 CO를 유상(oil phase)으로 사용할 경우 베타카로텐 산화를 더욱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멀션 내의 베타카로텐의 분해는 아스코브산과 토코페롤 산화방지제를 첨가함으로써 지연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베타카로텐을 함유한 산성 상태의 음료와 식품을 제조하고 이를 장기간 보존하기 위해서는 높은 농도의 산화방지제 첨가가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고분자 유화제를 이용한 수성 아크릴 에멀션 점착제의 접착 물성 (Adhesive Properties of Acrylic Emul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ith Polymeric Emulsifier)

  • 박명철;이명천
    • 폴리머
    • /
    • 제27권6호
    • /
    • pp.596-602
    • /
    • 2003
  • 고분자 유화제를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와 n-부틸 아크릴레이트 그리고 아크릴산 단량체를 사용하여 단량체 조성과 분자량을 변화시켜 용액중합에 의해서 합성하였다. 합성된 고분자 유화제를 이용하여 반연속식 유화중합을 통해 수성 아크릴 에멀션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입자크기는 약 145 nm 정도로 전형적인 유화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고, 입자크기분포도는 단분산적 형태를 보였다. 에멀션을 이용한 동결-해빙 시험결과 기존 유화제를 사용한 경우 2회 반복 후 응집이 발견되었으나, 고분자 유화제의 경우 7회 반복 후에도 응집이 보이지 않아 저장안정성이 매우 우수함을 나타냈다. 접착시험 결과 초기점착력과 점착력은 고분자 유화제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또한 아크릴산 함량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반면 유지력은 증가하였다.

솔비탄계 비이온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른 에멀션점착제의 점착물성 (Adhesive Properties of Emulsion PSA for Various Nonionic Sorbitan Surfactants)

  • 임태균;이명천
    • 접착 및 계면
    • /
    • 제13권4호
    • /
    • pp.182-187
    • /
    • 2012
  • 에멀션형 점착제 분야에서 노닐페닐계 비이온계면활성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찾기 위해 솔비탄계 비이온계면활성제를 다양한 화학구조별로 선별하여 에멀션형 점착제를 제조한 후 이를 노닐페닐계 비이온계면활성제인 NPE40을 사용한 점착제와 점착물성을 비교해 봄으로써 그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 NSR10-series와 Tween 60의 경우에 NPE40의 경우보다 초기점착력, 박리강도 그리고 유지력 면에서 모두 더 우수한 점착물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솔비탄계 비이온계면활성제의 특이한 화학구조와 소수성기와 에틸렌옥사이드기의 적절한 비율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