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효율 진단

Search Result 14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through Building Insulation Diagnosis (건축물 단열 진단을 통한 에너지 효율 개선에 관한 연구)

  • Cho, Kwangmoon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7 no.3
    • /
    • pp.9-14
    • /
    • 2021
  • This paper discovers the energy loss factors through the insulation diagnosis of houses or buildings, and proposes directions for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The energy efficiency factor of a building consists of insulation diagnosis, thermal bridge diagnosis, window diagnosis, airtight diagnosis, and equipment diagnosis. Among the residents and facilities in the energy welfare blind spot, an energy efficiency diagnosis was conducted for one senior citizen building located in Naju-si, Jeollanam-do, and energy efficiency diagnosis was conducted after insulation was installed. Energy measurement, diagnosis and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IoT-based integrated wired/wireless energy diagnosis platform, Energy Finder. As a result of comparison, an overall energy saving rate of 16.38% was achieved. Annual heating energy consumption per unit area decreased from 333.51kWh before construction to 277.35kWh after construction, and annual cooling energy consumption per unit area decreased from 5.51kWh before construction to 5.22kWh after construction. The annual primary energy consumption per unit area decreased from 464.52kWh before construction to 403.69kWh after construction, and the annual energy cost was reduced from 3,063,307.14 won before construction to 2,641,072.49 won after construction. The additional improvement work is needed on the standards affecting energy efficiency other than insulation.

Design and Diagnosis Case of Energy Eefficiency Diagnostic Solution based on IoT (사물인터넷 기반 에너지 효율 진단 솔루션의 설계 및 진단 사례)

  • Cho, Kwangmoon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6 no.1
    • /
    • pp.23-30
    • /
    • 2020
  • This paper proposes energy management directions to discover the factors of energy loss in homes and building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m. We designed a diagnostic content app for everyday life so that not only housing experts but also the general public can use the detachable thermal imaging camera, which is a strong point of popularity and convenience. The diagnostic results using the app were analyzed using Energy Finder, an energy efficiency diagnostic solu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enior center which is in the blind spots and facilities of the energy welfare area. The target of diagnosis was energy efficiency diagnosis by selecting 30 senior centers for over 15 years from 600 locations located in Naju City, Jeollanam-do. The overall diagnosis was good, but it is considered that the place classified as 7th grade needs to be supplemented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Partner 2 - 녹색생활을 열어가는 녹색성장, 에너지절약의 선진화를 위한 조직이 탄생하다 - 지식경제부 에너지절약추진단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편집팀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60
    • /
    • pp.38-41
    • /
    • 2009
  • 에너지절약추진단이 신설되었다. 에너지절약추진단은 범국가적 에너지 절약을 위해 산업 건물 수송 등 주요 분야별 에너지 효율 개선, 절약 관련 유인제도 도입·확산 등을 수행하게 된다. 에너지절약정책과의 김성진 과장을 만나, 에너지절약추진단이 녹색성장에서 어떤 견인차 역할을 하게 되는지 알아보았다.

  • PDF

ESCO Member - 특화된 기술력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의 최고 기업을 꿈꾼다 - (주)엑서지엔지니어링 -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62
    • /
    • pp.44-47
    • /
    • 2010
  • 엑서지 진단기법을 개발해 그 수준을 한 차원 높이면서 새로운 에너지진단의 지평을 열고 있는 (주)엑서지엔지니어링. 우수한 에너지관리 및 환경문제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 기술 전문 인력 확보, 고효율 에너지절약기기로 교체사업을 주도하는 등 분주하게 경영성과를 올리고 있는 엑서지엔지니어링 박명호 대표를 만나 ESCO 사업에 대한 기술력과 노하우를 들어보았다.

  • PDF

IoT based Energy data collection system for data center (IoT 기반 데이터센터 에너지 정보 수집 시스템 기술)

  • Kang, Jeonghoon;Lim, Hojung;Jung, Hye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893-895
    • /
    • 2016
  • Data center has a lot of management efforts for the facility, energy, and efficient usage monitoring. Data center power management is important to make the data center have reliable service and cost-effective business. In this paper, IoT based energy measurements monitoring which gives support to energy consumption analysis including indoor, outdoor temperature condition. This converged information for energy analysis gives various aspects of energy consumption effects. With IoT big data, energy machine learning system can give the relation of energy components and measurements, it is the key information of the quick energy analysis in the just one month data trend for the prediction and estimation.

  • PDF

Trend Report - 한국 ESCO사업, 태국 진출의 첫 발을 내딛다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70
    • /
    • pp.64-65
    • /
    • 2011
  • 지난 3월 9일부터 11일까지 태국 방콕 더 웨스틴 호텔에서 한-태국 에너지효율 컨퍼런스가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이 행사는 에너지효율 분야에서 양국 공공기관, 기업간 협력 채널을 구축하고 협력사업을 촉진하기 위하여 마련된 행사로 한국과 태국의 정부관계자 및 업계 관계자들이 모여 양국의 에너지절약정책, 에너지진단 및 ESCO산업과 LED산업, 에너지라벨링 프로그램 등 관련내용을 교차 발표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 PDF

ESCO 사업의 성장엔진은 새로운 파이낸싱 기법과 자금원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9
    • /
    • pp.34-35
    • /
    • 2001
  • 경영학을 전공한 이성인 연구위원은 ESCO 사업은 시설투자 자금 뿐만 아니라 에너지 진단, 행정 등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자본집약 사업이라며 ESCO는 기본적으로 고효율 에너지 사용기기의 판매, 설치가 아닌 파이낸싱을 기본으로 진단 등에 근거한 종합컨설팅, 포괄적인 고도의 기술적 서비스와 토털서비스를 제공할 때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PDF

대구시 산하 공공기관 ESCO사업 일괄추진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3
    • /
    • pp.20-23
    • /
    • 2000
  • 대구시에서는 지난해 말 에너지 소비절약의 일환으로 에너지소비량이 많은 시 산하 21개 공공기관에 대하여 ESCO사업 타당성 정밀진단을 실시했다. 13개 업체의 진단결과를 토대로 대구시는 13개소의 조명분야사업과 8개소의 동력설비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최근 소방본부 산하 4개 기관에서 고효율 조명기기 개체공사 계약을 체결해 다른 기관에 사업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ime-series big data analytics software on IoT streaming data (빅데이터 기반 대용량 시계열 에너지 데이터 처리 시스템)

  • Kang, Jeonghoon;Yoo, June-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52-53
    • /
    • 2018
  • 본 논문은 에너지 빅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대용량의 시계열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의 설계, 구축 방법을 제시한다. 이미 사용 중인 건물이나 공장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해서 정부는 효율자원 시장 지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에너지 소비 설비에 따라 고효율 자원으로 변경 설치하는 데 필요한 자금의 일부를 지원하고 있다. 정부지원으로 고효율 설비로 변경함에 따라 실증 사이트에서는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효율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에너지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였다. 해당 측정 정보는 IoT 전력량계를 통해 수집되며, 수집된 데이터는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다양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적용되어, 에너지 소비 효율 평가에 필요한 성능 지표를 연산한다. 구현된 진단 시스템은 기축 건물의 에너지 효율향상 상황을 분석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빅데이터 기반의 에너지 분석 기능을 사용하여 에너지 고효율 장비의 운영시간, 부하율 등의 효율성과 성능통계를 연산할 수 있다.

한국 에너지 다소비(多消費)산업의 에너지효율 분석

  • Park, Seong-Bae;Park, Chan-Su;Lee, Seong-Ho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57
    • /
    • pp.66-69
    • /
    • 2009
  • 한국은 부가가치 기준 에너지 원단위가 높아 에너지 비(非)효율 국가로 분류되고 있다. 에너지 원단위 격차는 에너지다소비산업 비중이 38%(2006년)로 선진국 대비 높은 한국의 산업구조적 특성에 주로 기인한다. 그러나 에너지다소비산업은 주요 산업에 원료를 제공하는 국가 기간산업으로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따라서 에너지다소비산업의 에너지 효율성을 정확히 진단하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지금까지 에너지효율성의 대표적인 지표로 부가가치 기준 에너지 원단위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부가가치 기준 에너지 원단위는 제품가격과 제품구성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포함하고 있어 에너지효율성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는 에너지효율성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생산량 지수를 활용한 생산량 기준 에너지 원단위를 도입하여 한 일 에너지다소비산업의 에너지효율을 비교하였다. 부가가치 기준 에너지 원단위로는 한 일 간 격차가 2006년 기준으로 2.2배였으나 생산량 기준으로는 1.2배에 불과하였다. 한국은 일본에 비해 최신 설비를 보유하고 있지만, 신기술 신공정 개발 등 추가적인 노력 부족으로 에너지효율성이 낮다. 따라서 정부는 에너지효율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정기적인 평가를 토대로 에너지 가격 설정 및 기술개발 지원 등 에너지효율화 관련 정책을 집행해야 한다. 또한 공장단위를 넘어 산업단지 지자체 수준에서 에너지 이용의 최적화를 도모해야 한다. 기업도 에너지효율성 향상과 원가 절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독자적인 신기술 및 신공정 개발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