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너지 함유 물질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6초

다관형 가스-고체입자 순환유동층 열교환기의 성능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of the Circulating Gas-Solid Fluidized Bed Heat Exchanger with Multiple Vertical Tubes)

  • 박상일;최경빈;고창복;김정근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8
    • /
    • 2002
  • 산업체에서 배출되는 여러 가지 배가스에는 부식성 오염물질을 함유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배가스로 부터의 폐열회수를 위하여 부식성 오염물질에 의한 열교환기에서의 파울링의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세라믹과 같은 고체입자는 대개 내식성이 강하므로 부식성의 배가스에 사용이 가능하고 유동층 열교환기에서는 고체입자의 비표면적이 매우 크므로 전열효율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이다.(중략)

  • PDF

상변화형 미세캡슐을 이용한 축열보드의 전열특성에 관한 연구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Heat Storage Board Utilizing Microencapsulated PCM)

  • 이동규;강명철;강용혁;곽희열;윤환기;유창균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81-28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상변화형 미세캡슐 함유량이 다른 세 개의 축열보드의 열성능 특성에 관해서 다루었다. 상변화 물질로는 CH3COONa·3H2O를 사용했고 이러한 물질의 미세캡슐을 시멘트 몰타르와 혼합하여 축열보드를 제작하였다. 결과를 보면 상변화형 미세캡슐 향유량이 20%인 경우가 0%인 경우보다 유효도에서 10%가 더 높았고 냉각온도가 낮을수록 주기시간은 짧아지고 방출열량은 증가를 하였다.

  • PDF

제철슬러지 소각로의 공기예열기 입구의 파울링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ntrance Region Fouling of Sludge Incinerator Air-preheater at IronWorks)

  • 박상일;김정근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57-562
    • /
    • 2003
  • 산업체 소각로의 고온 배가스에는 소각물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성분의 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고온 소각배가스의 후처리를 위하여 배가스냉각용 열교환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소각로 열교환기의 입구와 전열면에 파울링 현상이 발생하여 열교환기의 전열성능이 감소하고 또한 심한 경우, 유로면적이 줄어들어 통풍저항이 증대된다.(중략)

  • PDF

친환경 고에너지 물질로서의 금속-질소 클러스터 화합물의 안정성 예측

  • 최창혁;정유성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4회(2015년)
    • /
    • pp.147-150
    • /
    • 2015
  • Polynitrogen Compounds (PNC)는 질소만으로 이루어진 물질을 칭하며, 주로 질소간의 단일 결합과 이중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질소 간 단일결합에너지 38.4kcal/mole에 비해 유난히 큰 229kcal/mole의 삼중결합 에너지 덕택에 PNC는 고에너지 물질로 큰 각광을 받고 있다. PNC는 합성과정이 큰 흡열반응으로 실험이 까다로워 이론적인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왔다. 그 중에서 고리형태의 $N_5{^-}$가 안정할 것으로 예측되며, 실험적으로도 발견되었다. $N_5{^-}$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그 중 하나가 금속과의 결합을 통한 화합물의 안정화이다. 본 연구에서는 $N_5{^-}$와 Cyclopentadienyl($C_5H_5{^-}$)이 전자구조나 기하학적 구조가 매우 유사함에 착안하여 이미 상대적으로 많은 합성이 보고되어 있는 $M(C_5H_5)_3$, $M(C_5H_5)_4$의 전이금속 M구조에 대하여 아직 발견되지 않은 $M(N_5)_3$, $M(N_5)_4$ 화합물의 구조와 열역학적 안정성을 알아보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 찾아진 $Zr(C_5H_5)_4$은 현재까지 실험적으로 보고된 $M(C_7H_7)(C_5H_5)$ 클러스터 구조에 비해 질소함유량이 약 67% 더 높다.

  • PDF

옥타데칸 함유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자동온도조절 직물의 축열.방열성 (Thermal Storage/Release Properties of Thermostatic Fabrics Treated with Octadecane-Containing Microcapsules)

  • 김정혜;조길수;조창기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85-288
    • /
    • 2002
  • 옥타데칸[$CH_3$[C $H_2$]$_{l6}$$CH_3$]은 상전이 물질(phase change material)이며, 상전이 물질은 상변화를 통해 주변의 온도가 상승하면 녹으면서 열을 흡수하고, 주변의 온도가 낮아지면 결정화(crystallization)하면서 열을 방출하는 축열ㆍ방열성을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에너지 물질(enthalpic substance)이다[1, 2]. 옥타데칸은 메탄계열 탄화수소로서 파라핀류(paraffins)에 해당된다. (중략)략)

  • PDF

SOFC용 Anode 물질인 Ni/YSZ의 Core shell형성기구와 메카니즘과 전기화학적 특성 (Microstructure,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ore shell Ni-YSZ anode materials in Solid Oxide Fuel Cells)

  • 정성헌;지미정;김은경;최병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3.1-103.1
    • /
    • 2011
  •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는 크게 음극(anode), 양극(cathode), 전해질(electrolyte)로 구성되 있으며 연결자를 통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형태로 발전장치 등에 활용되고 있다. 이중 연료의 산화반응을 담당하고 있는 연료전지의 음극으로 지금까지 Cobalt, Platinum, Palladium 등의 전이금속 또는 귀금속들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Nickel 또는 Nickel을 함유한 물질들 특히, Ni-YSZ 복합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Ni-YSZ 복합체는 가격과 성능 등 여러가지 면에서 SOFC의 음극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물질인데 특히 전지의 지지체 역할과 동시에 전극으로서의 역할도 병행해야하는 음극 지지형 SOFC의 경우 Ni-YSZ 복합체의 효용성을 더욱 커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SOFC의 음극물질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Ni-YSZ 복합체를 core shell 형태로 만들어 전도 path를 효율적으로 하고 그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미세구조 및 소결 거동,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몬테카를로 방사선 수송 모델을 활용한 우주방사선 차폐체 설계 관련 선행연구 (Preliminary Study of Cosmic-ray Shielding Material Design Using Monte-Carlo Radiation Transport Code)

  • 강창우;김영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27-536
    • /
    • 2022
  • 본 연구는 우주방사선 차폐물질 설계를 위한 선행연구 차원에서 우주방사선에 대한 물질별 방사선 차폐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EMP 및 방사선 차폐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경량 연자성 복합소재에 대한 우주방사선 차폐물질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onte Carlo N-Particle(MCNP) 모델링 기법과 열중성자 차폐실험을 수행하였으며, MCNP의 우주방사선 모델인 Skymap.dat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폴리에틸렌, 붕소폴리에틸렌, 탄소나노튜브 등 탄소와 수소를 함유한 물질의 경우 증발 중성자 에너지 영역 대 이하의 중성자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SS316, 경량 연자성 물질 등 철을 함유한 물질은 캐스케이드 중성자 차폐성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경량 연자성 물질의 경우 붕소를 함유하고 있어 저속중성자 영역의 중성자 감소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탄소 및 수소 등 탄성산란 물질을 보강한다면 우주방사선 중성자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폐효과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에너지를 함유한 선 폴리머인 poly(NEO) 제조 공정 연구 (A Study on the Polymerization of Energetic Poly(NEO))

  • 전용구;김진석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9-117
    • /
    • 2004
  • We synthesized energetic prepolymer(2-nitrato ethyl oxirane, NEO) for plastic-bonded explosive and measured its thermodynamic parameters. 2-Nitrato ethyl oxirane(NEO) as a monomer was synthesized from 4-butene-ol, the first-step was preparation of 1-nitrate-3-butene and second-step was synthesized 2-nitrate-ethyl oxirane from 1nitrate-3-butene and then polymerized by cationic ring opening polymerization. The unreacted monomer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GC. The thermodynamic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the ceiling temperature(Tc) values of 1 mole monomer at each reaction temperature. We varied feed rate of monomer, concentration of initiator and monomer to control molecular weight and polydispersity of perpolymer(NEO).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Mn), polydispersity(PD),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Tg), viscosity of prepolymer(NEO) were 2000, 1.07, $-55^{\circ}C$ and 300 poise respectively.

가스화와 소각 용융 조건에서 생성된 슬랙의 재활용성 분석 (Recyclability Analysis of Slags Obtained at Gasification and Incineration-Melting Conditions)

  • 윤용승;이계봉
    • 에너지공학
    • /
    • 제13권1호
    • /
    • pp.82-91
    • /
    • 2004
  • 석탄 및 하수슬러지 내에 함유된 무기물질을 환경적 측면에서 안정적인 물질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회재의 형태가 아닌 슬랙의 형태로 발생시키는 것이 한 방법이다. 가스화 반응에서 생성된 석탄 슬랙과 소각ㆍ용융과정에서 생성된 하수슬러지 슬랙의 특성을 분석하여, 재활용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급냉을 시킨 슬랙들은 잘게 쪼개진 수 mm크기로 발생되었고, 함유된 미연탄소분은 모두 0.15% 이하였으며 슬랙의 구조는 대부분 무결정형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었다. 분석 결과를 보면, 석탄 슬랙과 하수슬러지 슬랙 모두 중금속 성분이 용출되는 양은 국내기준치의 10배나 엄격한 일본기준보다도 훨씬 낮아서 재활용 물질로 활용하는 데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슬랙 내에 함유된 중금속 농도에서는 큰 차이가 있었는데, 향후 중금속 함량규제가 도입될 경우에는 두 슬랙 원료의 혼합 활용을 통해 중금속 함량 조절도 가능할 것이다.

단백질 ( I )

  • 최진호
    • 월간양계
    • /
    • 제23권11호통권265호
    • /
    • pp.132-135
    • /
    • 1991
  • 단백질은 동물체 조직의 구성성분으로서 중요한 기능을 가지는 영양소이며 탄수화물이나 지방과 함께 에너지를 발생하는 물질이지만 그 분자 구조내에 질소(N)를 함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탄수화물이나 지방과 다르다. 단백질은 사료 중에서 비교적 많은 양을 차지하는 영양소이며 상대적으로 가격도 비싸서 일반적으로 사료내에서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영양소이다. 따라서 여러 가지 영양소 중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끄는 영양소이기도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