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저장 장치

Search Result 745,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Microgrid System Control Strategy Considering Power of Renewable Energy Sources and Energy Storage System (ESS) (신재생 에너지원의 간헐적인 출력과 ESS를 고려한 마이크로 그리드에서의 안정적인 운전 전략)

  • Han, Sanghoon;Bae, Seongjin;Choi, Jae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455-456
    • /
    • 2016
  • 최근 신재생 에너지원을 이용한 분산전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 에너지원과 에너지 저장장치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그리드에서 안정적인 운전전략을 제안한다. 신재생 에너지원은 기상에 따라 출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부하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장치를 사용한다.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정적인 운전을 위해 SOC를 고려하여 제어한다. 배터리 충전/방전 시 외부조건에 의해 각 배터리 셀마다 충전량이 달라져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분히 전력을 공급해주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각 셀마다 SOC를 측정하여 운전함으로써 부하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전략은 제안한다. 제안된 마이크로 그리드 운전 제어 전략은 PSiM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하였다.

  • PDF

Flywheel Energy Storage with Power factor Compensation (역률 보상기능을 갖는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

  • Kwak C.H.;Jung S.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6.06a
    • /
    • pp.285-287
    • /
    • 2006
  •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는 회전하는 물체에 에너지를 저장하고 이 에너지를 필요 시 기계적인 에너지를 변환하여 전기적 축전지이다. 플라이휠은 무정전전원장치의 직류측의 단자에서 전원을 받아 충전되며, 무정전전원장치의 입력 AC전압이 차단되어 UPS DC bus전압이 설정 값 이하로 떨어지면 저장 되어 있는 에너지를 전력변환 모듈에 의해 DC로 변환하여 UPS에 공급한다. 또한 전압 Sag, 전압의 불평형, 순간정전 및 고조파에 의한 정전에 대비하여 축전지와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를 조합하여 운용할 경우 축전지와 UPS의 DC BUS가 전기적으로 절연이 되어 개별 축전지 구성과 동일한 동작이 되도록 구성으로 축전지의 방전 횟수를 감소함으로써 축전지의 수명도 연장 할 수 있습니다.

  • PDF

전기자동차 폐배터리를 이용한 에너지저장장치 구성에 관한 기술동향 분석

  • Kim, Gwang-Seop;Lee, Sang-Yun;Park, Jae-H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7
    • /
    • pp.47-52
    • /
    • 2016
  • 전기 자동차 및 신재생에너지 시장 확대로 EV, HEV, LEV 등 전기자동차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2020년을 기점으로 백만개 이상의 리튬-이온 폐배터리가 생성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폐배터리는 잔여용량이 80%수준에서 교체되고 있어서 화학적 분해를 통한 재활용 이전에 안정적인 에너지저장장치로서 재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향후 지속적으로 발생이 예상되는 전기자동차의 폐배터리를 이용하여 에너지저장장치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양한 다양한 국내외 기관들의 기술 및 연구동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에너지저장장치 구성방법과 이를 확산하기 위한 사업화 방안 등을 알아본다.

A Study of a Stability Electrical Power on Energy Production System (에너지 생산설비의 계통 및 전력안정화에 관한 연구)

  • KIM, Won-Sop;KIM, Jong-Man;SHIN, Dong-Y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440-1441
    • /
    • 2015
  • 전력저장장치로써 여러 가지가 연구되고 있지만 미래발전용 에너지원을 확보 저장함으로써 필요시 전력생산에 기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물에 의한 전력 저장장치의 일원으로써 야간의 잉여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필요한 곳에 끌어올려 저장한 후 위치에너지를 만든뒤 전력 피크시간인 주간에 물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을 하는 방법으로써 안전된 전력저장과 출력조절을 하여 보다 우수한 전력저장장치를 연구, 개발 하였다. 이것은 장차 지구온난화 및 이산화탄소 저감에 대한 대체방법으로써 화력발전의 부담을 경감시켜 지구환경 개선에도 많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lementation of Grid Connected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계통연계형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 구현 및 실험)

  • Lee, Wujong;Kim, Daesik;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11a
    • /
    • pp.38-3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계통연계형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의 실험에 대하여 서술한다.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는 배터리 뱅크와 계통연계형 인버터로 이루어져 있다. 배터리 뱅크는 납축전지로 구성되고, DC Link에 병렬로 연결된다. 인버터의 동작모드는 충전과 방전 두 가지로 나뉘며, 충전모드에서는 배터리의 수명을 고려하여 CC-CV 제어를 수행하고, 방전모드에서는 유효/무효 전력제어를 수행한다.

  • PDF

Optimal Design of Magnetically Levitated Flywheel Energy Storage System Based on System Stability Using Rigid-Body Model (강체모델 기반 시스템 안정성을 고려한 자기부상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최적 설계)

  • Kim, Jung-Wan;Yoo, Seong-Yeol;Bae, Yong-Chae;Noh, Myoung-Gyu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4 no.3
    • /
    • pp.283-289
    • /
    • 2010
  • Owing to the increasing worldwide interest in green technology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flywheel energy storage systems (FESSs) are gaining importance as a viable alternative to traditional battery systems. Since the energy storage capacity of an FESS is proportional to the principal mass-moment of inertia and the square of the running speed, a design that maximizes the principal inertia while operatingrunning at the highest possible speed is important. However, the requirements for the stability of the system may impose a constraint on the optimal design. In this paper, an optimal design of an FESS that not only maximizes the energy capacity but also satisfies the requirements for system stability and reduces the sensitivity to external disturbances is proposed. Cross feedback control in combination with a conventional proportional-derivative (PD) controller is essential to reduce the effect of gyroscopic coupling and to increase the stored energy and the specific energy density.

A Study on Optimal Operation of Energy Storage System in Microgrids (마이크로그리드에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최적 활용에 관한 연구)

  • Kim, Wook-Won;Lee, Sung-Hun;Choi, Hyeong-Cheol;Yi, Jong-Seok;Kim, Jin-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378-1379
    • /
    • 2011
  • 신재생에너지의 도입으로 인하여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영은 저장장치의 용량 및 운영 방식에 크게 의존한다. 그러므로 저장장치의 최적 용량 선정 및 운영전략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에너지가 도입된 마이크로그리드 환경에서 저장장치의 최적 용량을 선정하는 방법과 운영전략을 제안한다. 또한 신재생에너지의 출력량을 정량화 하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제안한 방법을 검증하였다.

  • PDF

Optimal Clustering of Energy Storage System for Ancillary Service (전력계통 보조서비스로의 활용을 위한 에너지저장장치의 최적 클러스터링)

  • Kim, Wook-Won;Shin, Je-Seok;Kim, Sung-Yul;Na, Mun-Su;Kim, Jin-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629-63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 에너지저장장치를 주파수조정 서비스에 활용하기 위한 클러스터링 기법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클러스터링 기법에서 에너지저장장치에 적합한 기법을 선정하고 적합도 산정방법을 통하여 수명비용을 최소화 하는 방향으로 충 방전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무작위로 에너지저장장치를 운영하는 방법과 제안한 방법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한 기법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 PDF

Verification of usefulness of Li-ion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in Electric Ships with DC Distribution (DC배전 전기추진 선박의 리튬-이온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 효용성 검증)

  • Seo, Hye-rim;Kwak, Ki-kon;Ku, Hyun-keun;Ji, Jong-seong;Kim, Jang-m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140-14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DC배전 전기추진 선박에서 전력품질 향상 및 전력 공급 안정성을 위한 리튬-이온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BESS)를 적용하고 이에 대하여 기술한다. MATLAB/Simulink를 이용하여 DC배전 전기추진 선박 및 리튬-이온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현하였으며, 구현된 시뮬레이션 모델에 발전 전력과 소비 전력 간의 전력 수급 차로 DC 계통의 전압 변동이 발생되는 추진전동기의 급격한 가, 감속 운전 시나리오를 적용하였다. 적용 시나리오에 의해 발생된 전압 맥동 현상은 리튬-이온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IEEE STD. 1709 - 2010에서 제시하는 전압 허용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DC배전을 갖는 전기추진 선박의 전력품질 향상 및 전력 공급의 안정성 여부를 검토한다.

  • PDF

800kW Grid-tied Power Conditioning System for the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위한 800kW 계통연계형 전력변환장치)

  • Choi, Jun-young;Lee, Jin-hee;Lee, Jae-hong;Kim, Young-wook;Son, Ui-kwon;Lee,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324-325
    • /
    • 2011
  • 본 논문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위해 개발된 800kW 계통연계형 전력변환장치(PCS)의 구성을 제시하고 실제 제작과 시험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배터리(BMS), 전력변환장치(PCS),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로 구성되고 전력변환장치는 계통 전력과 배터리가 원활한 전력 흐름을 갖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논문은 풍력 출력 평활화의 기능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전력변환장치의 성능 검증에 대해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