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저장 시스템

Search Result 870,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고속플라이휠 에너지저장기술의 개발현황 및 전망

  • Choe, Sang-Gyu
    • 기계와재료
    • /
    • v.10 no.4 s.38
    • /
    • pp.97-110
    • /
    • 1998
  •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시스템은 입력되는 잉여전기에너지를 플라이휠의 관성을 이용, 회전 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필요시 전기에너지로 순시에 출력하는 장치로 배터리와 같은 화학적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비되는 기계적 에너지 저장방식 (Electro-mechanical Battery)이다. 플라이휠 시스템은 많은 에너지를 단시간에 저장하고 이를 순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고효율, 장수명, 무공해의 청정 에너지저장/재생장치로 선진국에서는 무공해 교통수단(전기자동차 등)의 차세대 보조 동력원을 비롯한 각종 민수용, 국방용으로 응용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전력저장용, 인공위성의 태양광 에너지 저장 및 자세제어용, 무소음 적진침투용 차세대 전차의 보조동력원 등). 고효율의 에너지 저장 및 재생을 위해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시스템은 크게 .고속화, 고에너지저장을 위한 복합재 플리이휠 로터.공기 마찰손실 저감용 자가 진공펌프(Self Vacuuming system).지지부 접촉마찰로 인한 에너지 손실 저감용 자기베어링/제어부.플라이휠 구동 및 발전을 위한 Motor/generator.고효율 에너지 입출력 제어부 등의 첨단기술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기술의 국내외 개발현황을 소개하고 현재까지 파악된 기술적 문제점 및 향후 기술개발 전망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and analysis of a low capacity energy storage system simulation model (저용량 발전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및 분석)

  • Lee, Jooyoung;Lee, Jae S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11a
    • /
    • pp.224-225
    • /
    • 2019
  • 본 논문은 에너지 절약을 위한 특정 상업용 에너지 저용량 에너지저장시스템 모델 개발 및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용량 에너지저장시스템은 피트니스센터의 스피닝 기계에의 적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제안하는 시스템은 BLDC모터, Rectifier, DC-DC Coverter, Controller, Battery 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구성요소간의 직병렬 연결을 통하여 저용량 에너지저장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저용량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모델링 및 결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 PDF

A Study on Effects of Energy Saving by Applying 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저장시스템 적용에 의한 에너지절감 효과에 관한 연구)

  • An, Cheon-Heon;Lee, Han-Min;Kim, Gil-Dong;Lee, Hi-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2 no.4
    • /
    • pp.582-589
    • /
    • 2009
  • The energy generated by braking vehicle would simply be converted into waste heat by its braking resistors if no other vehicle is accelerating at exactly the same time. Up to 45% of the tractive power of vehicles capable of returning energy to the power supply can be regenerated during braking and that this energy can be used to feed vehicles which are accelerating at the same time. Such synchronized braking and accelerating can not be coordinated, the ESS(energy storage system, here after) stores the energy generated during braking and discharges it again when a vehicle accelerates. The ESS is able to store and discharge energy extremely quickly, consequently enabling a complete exchange of energy between vehicles, even if they are not braking and accelerating at precisely the same time, as is most frequently the case in everyday service. The energy saving rate is related to the headway. If the headway is long/short, the energy saving goes up/down, When the headway is short, the ESS can not save much regenerative energy. The headway of SeoulMetro line 2 as the worst case is very short in Korea urban transit system. So, the energy saving rate will be very low. If the ESSs are applied to another railway system, we can expect that the effectiveness is better than the results of SeoulMetro line 2. This paper presents effects of energy saving obtained by applying the ESS to SeoulMetro line 2.

A Study on the Operating Control and Characteristics of Hybrid Energy System (축전지를 포함한 복합에너지원을 갖는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및 특성 연구)

  • 한수빈;김홍복;박석인;정봉만;정학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2.11a
    • /
    • pp.127-131
    • /
    • 2002
  • 축전지에 기반을 둔 일반적인 에너지 저장시스템은 몇 가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으며, 수명, 크기, 응답시간, 파워, 에너지 용량 등의 이유로 다양하게 응용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 최근에는 슈퍼 캐패시터나 연료전지 같은 에너지 저장/발생 시스템들이 개발되어 이들과 축전지를 함께 이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축전지는 에너지가 매우 큰 저장시스템이지만, 중간 정도의 전력을 발생하며, 슈퍼캐패시터는 에너지 저장 능력이 적지만 큰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중략)

  • PDF

Case Study of ESS for Frequency Regulation in Substation (주파수 조정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변전소 적용 사례)

  • Kim, Tae-Hyeong;In, Dong-Seok;Lee, Jong-Hak;Oh, Seung-Jin;Park, Young-Min;Kim, Dong Hwa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421-422
    • /
    • 2016
  •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은 주파수 조정을 통한 계통 전력품질 개선, 풍력(WT)발전, 태양광(PV)발전등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의 출력안정화, 에너지 저장을 통한 에너지효율화 등의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주파수 조정(F/R, Frequency Regulation)을 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한전의 많은 투자를 통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으며, 전국 변전소에 설치되고 있다. 주파수 조정을 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주파수 상승 시 계통의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고, 주파수 하락 시에는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계통에 공급하여 주파수를 안정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조정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변전소 적용 사례에 대해 설명한다.

  • PDF

Technical Survey of Highly Efficient Cargo Handling System (고효율 하역장비의 기술동향)

  • Park, Kyoung-Taik;Kim, Kyung-Han;Kim, Doo-Hyung;Cho, Gyu-Baek;Kim, Han-M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04a
    • /
    • pp.276-277
    • /
    • 2010
  • This paper deals with energy storage system for saving the energy of RTGC(rubber tired gantry crane).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battery, super-capacitor, and flywheel as an energy storage system were surveyed. Even if a flywheel energy storage system includes some problems such as manufacturing technique and high price, it is surveyed with a promising energy storage system In addition, RTGCs using battery or flywheel as the energy storage system were quantitatively presented through a survey of literatures. It was found that the both RTGC with those systems can reduced the waste of energy.

  • PDF

Enhancement of Power System Stability using Flywheel Energy Storage System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를 이용한 전력계통의 안정도 향상)

  • Lee, Jeong-Phil;Han, Snag-Chul;Han, Young-He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79.2-79.2
    • /
    • 2011
  • 플라이 휠 에너지 저장장치(Flywheel Energy Storage System: FESS)는 전기 에너지를 회전 운동 에너지로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회전 운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재사용 가능한 에너지 저장장치 이다. 최근 전력 변환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장치의 에너지 입출력 속도가 빨라지고 대용량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전력 입출력 특성을 이용하여 전력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진동(Low frequency oscillation)을 억제하는 방안을 제시 하여 안정도를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전력 시스템은 발전조건, 전송조건, 부하조건에 따라 동작 조건이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동작 환경 변화는 전력 시스템에 대한 수학적인 표현과 실제 전력계통간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제어 목적을 달성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어기 설계 단계에서 전력 계통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수 있는 $H_{\infty}$ 제어 기법을 이용하여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를 위한 강인 제어기를 설계 하였다. 제안한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강인 제어기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1기 무한대 모선에 적용한 결과를 비선형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다양한 외란이 발생한 경우에 외란 억제 성능과 강인성에 대하여 고찰 하였으며, 제안한 방식이 기존의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Power system stabilizer: PSS) 보다 효율적이며 전력계통의 안정도 향상에 크게 기여함을 보이고자 하였다.

  • PDF

Research on DC Power Simulator Considering the Battery Aging Characteristics (배터리 노화 특성을 고려한 DC전원 모의장치에 관한 연구)

  • Lee, Jong-Hak;In, Dong-Se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409-410
    • /
    • 2016
  •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은 태양광(PV), 풍력(WT) 등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출력안정화, 계통 전력품질 개선, 수용가 에너지효율화 등의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전력변환장치와 에너지 저장장치로 구성되며, 에너지 저장 장치로 배터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전력변환장치 및 제어기의 설계 및 검증을 위해서는 배터리를 전력변환장치에 연계하여야 하지만 배터리의 경우 고가에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DC전원 모의 장치를 이용한다. 또한 배터리를 사용함에 따라 노화가 진행되어 배터리 임피던스 특성이 변화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 변환장치 및 제어기의 설계 및 현실적인 검증이 가능한 배터리 노화 특성을 고려한 DC전원 모의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Adaptive Droop Control Method for Multiple Energy Storage Systems in DC Distribution System (직류배전 시스템의 다중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을 위한 적응 드룹 제어)

  • Kim, Hyejin;Chun, Chang Yoon;Seo, Gab-Su;Lee, Kyoungjun;Cho, Bo-Hy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257-25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직류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에서의 분산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을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각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력 분배를 위해 state of charge (SOC)와 배터리 노화에 따른 용량 변화를 고려한 적응 드룹 제어 방식을 제안한다. 각 에너지 저장장치의 SOC에 따라 오프셋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각 에너지 저장장치 간의 SOC 밸런싱을 유지한다. 또한, 에너지 저장장치의 용량 변화에 따라 드룹 기울기 변수를 변화시켜, 노화에 따른 전력 분배를 유지하도록 한다. 48V 직류배전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제어방법을 검증한다.

  • PDF

An Active Battery Charge Management Scheme with Predicting Power Generation in ESS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발전량 예측을 통한 능동적 배터리 충전 관리 방안)

  • Kim, Jung-Jun;Chae, Beom-Seok;Lee, Young-Kwan;Cho, Ki-Hwan
    • Smart Media Journal
    • /
    • v.9 no.1
    • /
    • pp.84-91
    • /
    • 2020
  • Along with increasing the renewable energy utilization, many researches have paid attention on the utilization and efficiency of energy storage systems. Especially, it is required an operational model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with each system's failure of sub-systems in the solar energy storage system. This paper proposes an energy management scheme by estimating the newly generated power based on the solar power generation samples. With comparing the estimated battery charging power in real time and the total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rack, a charge model is applied to adjust the charging power, As a result, the stability of energy storage system would be improved by suppressing the battery heat while maintaining battery C-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