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수집 장치

Search Result 80,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Implementation of Wireless Sensor Network Simulator Based on Solar Energy (태양 에너지 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뮬레이터 구현)

  • Yi, Jun Min;Kang, Min Jae;Noh, Dong K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47-49
    • /
    • 2014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의 제한된 에너지 문제 해결을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최근 에너지 수집형 센서 노드들이 개발되고, 에너지 수집을 고려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에너지 수집형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시뮬레이터와 관련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수준이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 에너지 중 하나인 태양 에너지와 에너지 저장 장치의 특성을 고려하여 에너지 수집(Harvesting) 모듈(수집, 소비 모델)을 구현하고, 아울러 태양 에너지 기반 WSN(Wireless Sensor Network)을 위한 MAC과 Routing 기법들이 추가된 사용자 친화형 GUI 기반 시뮬레이터를 제안한다.

Development of IoT-based data acquisition device (Gateway) for context-awareness of hospital facilities (병원 시설물의 상황 인지형 Light Things 제어를 위한 IoT기반 데이터 수집장치(Gateway) 개발)

  • Lee, Kack-Hee;Lee, Min-Woo;Cha, Jae-Sa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3 no.4
    • /
    • pp.181-184
    • /
    • 2017
  • Korea is the world's top ten energy consumer, relying on foreign imports for 97% of its total energy. In 2007, energy imports amounted to US $ 95 billion, accounting for 26.6% of total imports. Thus, fundamental and long-term countermeasures against the same energy crisis It is a fact that is required. Despite the fact that the world is moving rapidly around the world in response to energy saving and low-carbon economic era, domestic movements are relatively slow.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 IoT data collection device (Gateway) to control Light Things (lighting, signage, display, etc.) built in medium and large facilities under the assumption of hospital facilities, We propose the Light Things control algorithm and data acquisition (Gateway) development technology.

Efficient Data Preprocessing Scheme for Audio Deep Learning in Solar-Powered IoT Edge Computing Environment (태양 에너지 수집형 IoT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효율적인 오디오 딥러닝을 위한 데이터 전처리 기법)

  • Yeon-Tae Yoo;Chang-Han Lee;Seok-Mun Heo;Na-Kyung You;Ki-Hoon Kim;Chan-Seo Lee;Dong-Kun Noh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81-83
    • /
    • 2023
  • 태양 에너지 수집형 IoT 기기는 주기적으로 재충전되는 태양 에너지의 특성상,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기보다는 수집된 에너지를 최대한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데이터 기밀성과 프라이버시, 응답속도, 비용 등의 이유로 클라우드가 아닌 데이터 소스 근처에서 머신러닝을 수행하는 엣지 AI에 대한 연구도 활발한데, 그 중 하나는 여러 IoT 장치들이 수집한 오디오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AI 응용들을 IoT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에서, IoT 기기들은 에너지의 제약으로 인하여, 엣지 서버(IoT 서버)로의 센싱 데이터 전송만을 수행하고, 데이터 전처리를 포함한 모든 AI 과정은 엣지 서버에서 수행한다. 이 경우, 엣지 서버의 과부하 문제 뿐 아니라, 학습 및 추론에 불필요한 데이터까지도 서버에 그대로 전송되므로 네트워크 과부하 문제도 야기한다. 또한, 이를 해결하고자,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각 IoT 기기에 모두 맡긴다면, 기기의 에너지 부족으로 정전시간이 증가하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 IoT 기기의 에너지 상태에 따라 데이터 전처리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기기들의 정전시간 증가 문제를 완화시키면서 서버 집중형 엣지 AI 환경의 문제들(엣지 서버 및 네트워크 과부하)을 완화시키고자 한다. 제안기법에서 IoT 장치는 기기가 기본적으로 동작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 외의 여분의 에너지 양을 예측하고, 이 여분의 에너지가 있는 경우에만 이를 사용하여 기기에서 전처리 과정, 즉 수집 대상 소리 판별과 잡음 제거 과정을 거친 후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IoT기기의 정전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에너지 적응적으로 데이터 전처리 위치(IoT기기 또는 엣지 서버)를 결정하여 수행한다.

An Energy-Efficient MAC Protocol for Werable Device WBAN Environment through Asymmetric Method and QoS (Wearable 장치를 사용하는 WBAN 환경에서 장치 간 비대칭적 에너지 효율과 QoS를 위한 MAC 제안)

  • Lee, Jae-Ho;Eom, Doo-Seop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6A
    • /
    • pp.395-404
    • /
    • 2012
  • In general, WBAN environment which use wearable devices on the human body show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ther personal area networks. It is usually composed of sensors contacting the body and user terminal collecting the data from the sensors. The sensors are under the significant constraint of the energy resources, but the user terminal is different because it can be recharged and relatively have large energy resources. Under this characteristics, we design a new MAC protocol considering this requirements. The proposed MAC protocol can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of sensors and loads the unavoidable energy consumption to the user terminal for high energy efficiency of sensors. Additionally, the proposed MAC protocol provides the low delivery delay of the emergency information for the differentiated QoS because the emergency data requires more rapid transmission than the periodic sensed data. For this requirement, we employ the IFS (Inter Frame Space). For the efficient and objective evaluation of the proposed MAC protocol, IEEE 802.15.6 MAC is used to compare with it and we show that the advantage of the proposed MAC meet our expectation.

Solar Energy Harvesting Wireless Sensor Network Simulator (태양 에너지 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뮬레이터)

  • Yi, Jun Min;Kang, Min Jae;Noh, Dong K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2
    • /
    • pp.477-485
    • /
    • 2015
  • Most existing simulator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WSNs) are modeling battery-based sensors and providing MAC and routing protocols designed for battery-based WSNs. However, recently, as energy harvesting sensor systems have been studied more extensive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ppropriate simulators, but few related studies have employed such simulators. Unlike existing simulators, simulators for energy harvesting WSNs require a new energy model that is integrated with the energy-harvesting model, rechargeable battery model, and energy-consuming model. Additionally, it should enable the applications of the well-known MAC and routing protocols designed for energy-harvesting WSNs, as well as a user-friendly interface for convenience. In this work, we design and implement a user-friendly simulator for solar energy-harvesting WSNs.

Development of Ground and Short Test Equipment for Fault Analysis of Distribution Line (배전선의 고장해석을 위한 지락 및 단락 시험장치 개발)

  • 김응상;이재복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3
    • /
    • pp.243-249
    • /
    • 2000
  • 대체에너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향후 배전계통은 신 에너지 전원 등과 같은 분산형 전원과 연계되어 네트워크 형식으로 구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배전계통의 변화는 지락 및 단락 사고 시 기존의 보호협조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킬 것이며, 이러한 배전계통의 변화와 전력 고품질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보호협조 체계가 필요하다. 새로운 보호협조 방식의 개발을 위해 필수적인 지락과 단락사고 시 배전계통의 사고 데이터는 실제 운영 도중에 얻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전원시스템 및 신 에너지 전원을 포함한 새로운 배전계통의 운용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상황을 예측하고 고장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저압 배전선로에 인위적으로 지락 및 단락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에 대해 서술한다. 개발한 시험장치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제 배전계통에 적용하여 지락 및 단락 시험을 수행하여 전압 및 전류 파형을 측정·분석하여 시험장치의 신뢰성과,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Data Acquisition System for Battery Automatic Charging and Discharging (배터리의 자동 충방전 데이터 수집 장치에 관한 연구)

  • Lee, Kyung-Sung;Moon, Chae-Joo;Jeong, Moon-Seon;Kim, Sang-Man;Youn, Young-Chan;Kim, Tae-G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70-71
    • /
    • 2011
  • 최근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에너지 저장 장치로 친환경적인 2차 전지가 전기 에너지 저장 매체로 관심을 받고 있다. 2차 전지는 다양한 전자기기의 구동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2차 전지의 수명은 충방전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니켈 수소 전지의 경우 과충전에 의한 온도 상승은 배터리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경제성을 고려할 때 2차 전지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필요로 하며, 충방전 전압과 전류 및 온도를 고려하여 충방전이 제어 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범용 프로세서와 전압 전류 센서 및 온도센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자동 충방전 데이터 수집장치를 개발에 관한 것이다. 충방전 전압은 0.5V에서 15V까지 설정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제작된 장치로 충방전에 따른 배터리의 온도 변화가 측정 및 분석 가능 하였으며, 배터리 전압은 5mV 단위로 충방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Device activated by Wind (바람에 의해 구동되는 압전에너지 수집 장치 개발)

  • Lee, Haeng-Woo;Kwak, Moon-K.;Yang, Dong-Ho;Lee, Han-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76-77
    • /
    • 2009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PEH) device using Wind. In this study, the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system consisting of a cantilever with a pinwheel and piezoelectric wafer was investigated in detail both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The power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PEH was then calculated and discussed.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EH was able to charge a battery with ambient vibrations but still needed an effective mechanism which can convert mechanical energy to electrical energy and an optimal electric circuit which dissipates small energ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