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소비

Search Result 2,382,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ODV-based Routing Protocol in Mobile Ad-hoc networks considering energy consumption and path of mobile nodes (모바일 Ad-hoc 네트워크에서 AODV 기반의 에너지 소비와 경로를 고려한 라우팅 프로토콜)

  • 박상현;김성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52-54
    • /
    • 2004
  • Ad-hoc 네트워크는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와 달리 여러 가지 제약을 갖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큰 제약은 배터리에 저장된 한정된 에너지에 의존해서 동작한다는 것이다. 어떤 모바일 노드가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모두 소비하게 되면, 그 노드는 더 이상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증가하게 되면 네트워크가 두 개 이상의 서브 네트워크로 분할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라우팅을 통하여 에너지 소비를 좀 더 효율적으로 네트워크로 분산시키기 위한 RDRP(Request Delay Routing Protocol)와 MMRP(Max Min Routing Protocol) 프로토콜들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상태에 따라 플러딩(Flooding)을 지연시키는 RDRP 방법에 현재 형성된 라우팅 경로까지 함께 고려한 EP-AODV(AODV considering Energy and Path)를 제안한다. 또한, NS-2(Network Simulator 2)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성능 평가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된 프로토콜이 좀 더 에너지 소비를 네트워크 전체로 효율적으로 분산시킨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 PDF

Redundancy Path Routing Method Considering Energy Consumption Rate in Ad-Hoc Networks (무선 Ad-Hoc망에서 에너지 소비율을 고려한 대체경로 라우팅기법)

  • 조현경;김은석;강대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223-225
    • /
    • 2004
  • Ad-Hoc 네트워크에서 기존의 On-Demand 방식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에서 현재 사용 중인 경로가 혼잡하어라도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변하기 이전에는 새로운 경로를 찾지 못하므로 노드의 이동성이 낮은 환경에서는 트래픽이 특정노드로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노드들의 이동성이 낮아 네트워크가 안정된 상태인 경우 특정 노드의 트래픽이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단 경로만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특정노드에 트래픽이 집중되어 전송지연 및 과도한 에너지 소비를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런 특정 노드의 과도한 에너지 소비를 차단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찾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DSR에 에너지 소비율을 기반으로 경로설정 및 대체경로 설정기능을 추가한 ECLB(Energy Consumption based Load Balancing Method)를 제안한다. ECLB는 현재의 단위시간당 처리되는 패킷수와 과거의 평균 패킷처리율을 바탕으로 에너지 임계치(energy threshold)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한다. 또한 계속적으로 동일 전송 경로를 사용함으로 인한 특정노드에 대한 에너지 소모의 심화와 전송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과중한 트래픽 상태를 분산시킬 수 있는 대체경로를 이용하여 데이터 집중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시킨다.

  • PDF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on Changes in Industrial Energy Use in Korea, 1980~2000 (구조분해분석을 통한 국내 산업별 에너지 소비 변화요인 연구)

  • Kim, Jin-Soo;Heo, Eunnyeong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4 no.2
    • /
    • pp.257-290
    • /
    • 2005
  • Korean energy use in industrial sector has increased more rapidly than other sectors during 1980~2000 periods. Relatively higher increases in industrial sector energy consumption raise questions whether government policy of rationalization of industrial energy use has been effective. In this study, we use 80-85-90 and 90-95-00 constant price input-output table to analyze increases in industrial energy use. Using an adjusted version of structural decomposition model introduced by Chen and Rose (1990), we decompose Changes of energy use into 17 elements. We classify entire industry sector into 32 sectors including four energy sectors (coal and coal products, refined petroleum, electricity and town gas). We then analyze changes of energy use by industrial level to check differences among industrial energy demand structures. Finally, we compare three industries, electronic product manufacturing, metal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that represent technology and capital intensive, energy and material intensive and labor and capital intensive industry. As results, we find that high energy using industries make the most effort to reduce energy use. Primary metal, petrochemical and mon-metal industries show improvements in elements such as energy and material productivity, energy and material imports, energy substitution and material substitutions towards energy saving. These results imply that although those industries are heavy users of energy, they put the best effort to reduce energy use relative to other industries. We find various patterns of change in industrial energy use at industrial level. To reduce energy use, electronic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needs more effort to improve technological change element while construction industry needs more effort to improve material input structure element.

  • PDF

Strategy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production of EtOH as an Alternative Automobile Fuel. (수송용 대체 에너지-EtOH 생산에 관한 기술개발 전략)

  • 허병기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 no.2
    • /
    • pp.139-153
    • /
    • 1993
  • 20세기 인류가 이룩한 물질문명의 화려한 발전은 물질의 과량소비 에너지의 과다소비 공해물질의 대량배출 등의 바탕 위에 이룩되었다는 것을 아무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이 기간 동안 인류의 삶의 질은 향상되었을지 모르나 물질 및 에너지 자원의 고갈 지구환경의 파괴 질병의 유발 등과 같은 풀기 어려운 숙제를 후손들에게 남겨놓게 되었다.

  • PDF

The Analysis of Energy Cost Adopting an Electric Residence using Historical Energy Consumption Data (에너지소비 데이터를 이용한 전전화 주택 도입시 에너지 사용량 분석)

  • Lee, Jun-Kyu;Shin, Hee-Sang;Cho, Sung-Min;Lee, Hee-Tae;Jang, Sung-Kyu;Kim, Jae-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4 no.6
    • /
    • pp.131-137
    • /
    • 2010
  • Change of the energy used in a house can be separated from LNG, and electric power.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a house is more increasing than LNG. The interest for electric houses is rising due to energy saving and low carbon emission. Accordingly, the amount of energies and cost are analyzed consumed in a house using cumulative energy consumption. The result of analysis, amount of electric power, is more increase. In comparison, the use volume of city gas is more decrease. In this paper, the use volume of energy resource is analyzed using historical energy consumption data in the past 25 years. In addition, expected electrical power and heating energy is analysed adopting an Electric Residence.

97년도 전기소비절약 정책방향

  • 박선기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175 no.3
    • /
    • pp.20-23
    • /
    • 1997
  • 금년도 통상산업부에 3대 과제는 무역수지적자의 획기적 개선, 산업경쟁력 10% 이상 높이기의 강력한 추진, 그리고 에너지소비의 과감한 절약과 수급안정이다. 종래 에너지분야의 주요과제는 수급안정과 안전사고 예방이었으나 이번에는 에너지 절약이 선정되었다.

  • PDF

조명측면에서 본 LED광원 특성과 조명시스템 응용

  • 정봉만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8 no.3
    • /
    • pp.19-25
    • /
    • 2004
  • 2001년 기준 국가 총 전력의 21%(54,167GWh, 총 에너지의 약 6%)을 조명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지난 15년 간 전기소비 증가율이 10.7%인 반면 조명용 전기소비 증가율은 11.9%로 조만간 선진국 수준인 25%로 증가될 전망이다. 이와 같이 막대한 량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조명기술은 광원, 구동장치 (안정기), 등기구가 일체화된 시스템 기술로써 (표 1)에서 보듯 에너지 이용효율이 0.3∼2.0%로 매우 낮아 다른 어느 기술보다 에너지 절약 잠재량이 크고, 실현가능성이 높으며, 시장 침투력이 큰 기술분야이다. (중략)

  • PDF

Status of Technology Standard about Fuel Consumption Measurement for HFCVs (수소연료전지자동차 연료소비율 측정방법에 대한 기술 기준 동향)

  • Lee, Hyun-Woo;Kwon, Hae-Boung;Kim, Kwang-Il;Lim, Jong-Soon;Sin, Young-Bok;Maeng, Jeong-Yeo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530-533
    • /
    • 2008
  • 배출가스 및 이산화탄소 등 환경규제 강화와 에너지 고갈 문제는 기존의 내연기관, 동력전달장치, 소재 등의 성능 향상과 함께 대체에너지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소연료전지자동차 등의 상용화가 요구되고 있다. 기존 자동차와는 패러다임이 전혀 다른 수소연료전지자동차는 현재 다양한 방향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으므로 수소연료전지자동차 관련 평가기술 중 연료소비율 측정방법도 그에 따라 개발되고 진행되어야 할 것이나 현재 국내에 이와 관련한 체계적인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며, 국제적인 표준도 현재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진행 중인 수소연료전지자동차 연료소비율 측정방법에 대한 기준 동향 및 연구 사례 조사를 통해 관련 연구 계획의 수립과 향후 수소연료전지자동차 연료소비율에 대한 평가기술 도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Low Power Scheduling Based On Device Characteristics (디바이스 특성을 고려한 저전력 스케줄링)

  • Yang, Hea-Beck;Ha, R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121-123
    • /
    • 2003
  • 현재 사용되는 PDA, 핸드폰 등의 이동기기는 보다 좋은 성능과 향상된 기능에 대한 시장의 지속적인 요구로 고성능을 요구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점차 추가되고 있다. 이에 고성능 프로세서의 탑재가 일반화 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전력 소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시스템 전력 사용량의 증가 문제를 해결하고자 DVS기법, DPM기법 둥이 제시되었으나 모바일 기기에 저전력 프로세서의 탑재가 일반화 되면서 전체 에너지 소비측면에서 디바이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증대되어 기존 스케줄링 기법은 하나의 시스템 요소만을 위한 최적화 방법을 제시할 뿐 전체 시스템의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시키지는 못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동기기에서 프로세서의 속도를 결정하는 과정과 스케줄러가 태스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에 있어 단위 시간당 디바이스의 에너지 소비가 프로세서의 단위 시간당 에너지 소비보다 큰 현실을 반영하여, 태스크의 실행 중 필요한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량을 기준으로 스케줄러가 프로세서 최적화 정책과 디바이스 최적화 정책 중 올바른 스케줄링 정책을 선택하여 프로세서의 속도를 결정하고 실행순서를 조절함으로써 시스템의 가용시간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건축설비의 에너지보존 계획

  • 명현국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9 no.9
    • /
    • pp.56-62
    • /
    • 2000
  • 1997년 12월 일본 교토에서 개최된 COP3를 계기로 1999년 3월 에너지보존법이 대폭적으로 개정 및 강화되어졌다. 지구온난화의 주된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는 에너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에너지보존·자원보존의 추진은 지구온난화 대책의 추진과 동등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서는 건축설비계획의 관점에서 에너지보존법 개정의 요점과 그 대응책에 관해서 개요를 소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