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생산량

Search Result 39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of Zero Energy Building considering Energy Demand and Energy Generation by Region (지역별 에너지 소요량과 생산량을 반영한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 Lee, Soon-Myung;Lee, Tae-Kyu;Kim, Jeong-Uk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 /
    • v.34 no.8
    • /
    • pp.13-2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energy generation of the building as well as the energy demand of the building in terms of zero energy building design. The reason why the zero energy building viewpoint should be discussed is that direction of the building, heat transfer rate of the building, and the S/V ratio of the building are variables related to energy demand and solar panels installed on the building roof and building envelope are variable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his study proceeded as follows; Firstly, the simulation model of large office and elementary school has the same mutual volume and total floor area, and the each floor area and number of floors are adjusted so that the S/V ratio is different. To the next, the energy demand and energy generation of the simulation model were derived based on the meteorological data of Seoul, Daejeon, Busan. Finally, energy demand, energy generation, and final energy demand were compared with heat transfer rate, S/V ratio, building type, region, and ori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hat consideration of solar power generation in terms of energy generat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t the same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heat transfer rate, the shape, the region and the direction of the zero energy building design.

A Study on the Investment Review of Passive and Active Elements through Comparison of Energy Demand and Generation Variation of Zero Energy Building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에너지 소요량과 생산량 비교를 통한 패시브와 액티브 요소의 투자 검토 연구)

  • Lee, Soon-Myung;Lee, Tae-Kyu;Kim, Jeong-Uk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 /
    • v.34 no.11
    • /
    • pp.13-22
    • /
    • 2018
  • At the time when zero energy building is expected to be generalize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investment in the passive element or the active element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energy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zero energy building.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energy demand by passive element and the change of energy generation by active element are examined in terms of the same investment co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of energy demand by passive element and the change of energy generation by active element in zero energy building and to make reasonable investment decision by comparing energy with cost aspect.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the buildings to be subjected to energy simulation and derive the required energy amount and energy generation amount by using meteorological data of four regions in Korea. The change of energy demand and energy gene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application condition was derived.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nges in energy demand and generation at the same cost standard through price survey and quotation of window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quipment.

Dark fermentation for hydrogen production with a new bacterium Enterobacter asburiae SNU-1 (새로운 Enterobacter asburiae SNU-1의 혐기발효에 의한 생물학적 수소생산)

  • 신종환;김미선;심상준;박태현
    • 한국전기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7a
    • /
    • pp.177-186
    • /
    • 2005
  • 미래의 친환경 에너지인 수소에너지 생산을 위해서 생물학적인 수소생산방법에 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생물학적인 수소생산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중 유기물을 혐기발효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혐기성 미생물인 Enterobacter asburiae SNU-1이 쓰레기 매립지 토양에서 분리되어 수소생산 조건의 최적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 이용된 미생물의 경우는 기존에 연구 된 적이 없는 새로운 종으로써 다른 미생물과는 다른 특징을 나타내며 수소생산 능력도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생물을 이용한 수소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pH, initial glucose concentration 등이 있으며 각각의 조건에서 수소생산량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strain SNU-1의 최적 pH는 7이었으며 최적 initial glucose concentration은 25 g/1이다 이와 같은 최적 조건에서 strain SNU-1은 6.87 mmol/l/hr의 productivity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미생물과 달리 미생물이 더 이상 자라지 않는 정지기에서 더 많은 수소생산량을 나타내는 특이한 거동을 보이는 것이 관찰되었다.

  • PDF

Optimal Design of Wind Generator based on MADS for Maximum Annual Energy Production (최대연간에너지 생산량을 위한 MADS기반의 풍력발전기 최적설계)

  • Park, Ji-Seong;Jung, Ho-Chang;Lee, Cheol-Gyun;Kim, Jong-Wook;Jung, Sang-Y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647-648
    • /
    • 2008
  • 풍력발전기 최적 설계시, 해석특성상 발생하는 막대한 계산 시간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최대 연간 에너지 생산량(AEP)을 위한 풍력발전기 최적설계를 빠른 탐색 기법인 MADS(Mesh Adaptive Direct Search)를 기반으로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또한, MADS와, 병렬 분산컴퓨팅 시스템과 결합된 유전알고리즘(Genetic Algorithms)간의 최적화 수행시간을 비교하였다.

  • PDF

Direct Synthesis of Dimethyl Ether in a Fixed Bed Reactor (고정층 반응기 내에서 디메틸에테르 직접 합성)

  • 최정운;이상호;심규성;명광식;김종원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0 no.1
    • /
    • pp.40-48
    • /
    • 2001
  • 디젤엔진에 적합한 환경 친화적 연료로 평가받고 있는 디메틸에테르(DME)를 기존의 메탄올 탈수화에 의한 간접법 대신 합성 가스로부터 직접 합성법으로 제조하였다. 합성가스에서 메탄올을 합성하는 경우에 비해 화학 평형 상의 이점 때문에 DME를 합성하는 것이 경제적이며 이는 실험 결과와 일치하였다. 기상 반응기에서 메탄올 탈수촉매의 부가에 의한 메탄올 환산 생산량은 메탄올 합성촉매에 의한 생산량에 비해 두 배 이상의 증가를 보인다. 메탄올 탈수촉매를 Cu로 개질한 효과는 없었으며, 메탄올 탈수촉매로서 순수 감마알루미나가 가장 우수한 반응성을 보였다. 반응 조건이 25$0^{\circ}C$, 30atm일 때 고려된 GHSV 범위에서 촉매 적정 혼합비는 7:3, 합성 가스의 조성비는 $H_2$/CO=1일 때 가장 좋은 선택도와 수율을 나타내었다.

  • PDF

A Study on the Tidal Energy Yield Capability according to the Yaw Angle in Jangjuk Strait (장죽수도에서의 요각변화에 따른 조류에너지 생산량에 관한 연구)

  • Tran, Bao Ngoc;Choi, Min Seon;Yang, Changj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7
    • /
    • pp.982-990
    • /
    • 2019
  • The interest of researchers and governments in exploiting tidal energy resources is increasing. Jangjuk strait is a place with high tidal energy density potential and is therefore appropriate for the constructing of a tidal turbine farm. In this study, a numerical approach is presented to evaluate the current flow and power potential in Jangjuk strait with an ADCIRC model. Then, the tidal field characteristics are utilized as input parameters for tidal resource calculation with an in-house program. The 1 MW scale tidal energy converter devices are employed and arranged in 4 layouts to investigate the annual energy yield as well as flow deficit due to the wake ef ect at the surveyed area. The best-performed array generates an annual energy yield up to 12.96 GWh/year (without considering the wake effect); this value is reduced by 0.16 GWh/year when accounting for the energy loss caused by the flow deficit. Moreover, by altering the turbine yaw angle during the flood and ebb tides, the impacts of this factor on the energy extraction are analyzed. This indicates that the turbine array attains the maximum tidal power when the turbine yaw angle is at 346° and 164° (clockwise, to the North) for the spring and neap tide in turns.

플루토늄 집계자료 발표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8 no.3 s.61
    • /
    • pp.92-93
    • /
    • 1988
  • 영국에너지성은 영국의 민간 원자력발전소의 플루토늄생산량, Sellafield 플랜트의 사용후핵연료의 재처리량 및 민간소유 플루토늄의 재고량에 관한 집계를 발표했는데 이렇게 자세한 자료가 공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며, 이는 영국정부가 민간원자력산업계에 대해 그 실태를 공개하도록 권장한데서 온 결과이다.

  • PDF

기획특집 - 국제곡물 가격동향과 가격변동 요인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KAPE Magazine
    • /
    • s.175
    • /
    • pp.4-5
    • /
    • 2011
  • 2010년 하반기 이후 국제 곡물 시장에서는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로 곡물 생산량이 감소하고 바이오 에너지 생산에 따른 곡물 수요 증대와 중국과 인도의 경제성장에 따른 식량 및 사료 수요 증가로 수급 불균형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 PDF

이라크전 계기 '대체에너지' 닻 올렸다

  • Yun, Jae-Seok
    • The Science & Technology
    • /
    • no.5 s.408
    • /
    • pp.54-58
    • /
    • 2003
  • 미국의 이라크 침공으로 원유가가 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지구촌의 경제가 춘래불사춘의 지경에 이르고 있다. 아직도 에너지원의 상당부분을 화석연료에 의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각국은 이제 대체에너지의 실용화를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고려하기 시작했다. 세계 원유생산량의 25%를 사용하면서 세계 최대의 원유비축량을 자랑하는 미국 조차 외국에 대한 에너지 의존이 국가안보에 좋지 않다면서 대체에너지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에너지 4대수입국인 우리나라로서는 취약한 에너지 안보 상황을 하루 빨리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대체에너지의 실용화를 진지하게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 때다.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에 있는 에너지 컨설팅 회사 넥스트웨이브 에너지사의 리처드 스투비 사장은 "지금이야말로 대체에너지 실용화의 적기"라고 힘주어 말하고 있다. 다시 고조되고 있는 지구촌의 대체에너지 개발붐을 계기로 대체에너지의 효용과 채택 전망 등을 알아본다.

  • PDF

대만의 석유산업과 에너지정책

  • Heo, In-Uk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Journal
    • /
    • no.1 s.11
    • /
    • pp.51-53
    • /
    • 1982
  • 대만은 75년 전부터 석유개발을 계속 해오고 있으나. 생산량은 전체수요의 1%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대만경제에 있어서도 모든 문제의 핵심은 원유가격의 폭등이었다. 1980년 대만의 원유도입대금은 41억$로, 이는 그전 두해의 원유도입대금을 합산한 금액보다도 많은 액수였다. 현재 대만의 에너지공급구조는 석유 71.3%, 석탄 14.1%, 천연가스 5.6%, 원자력 6.7%정도이나, 석유 의존도를 30%이하로 감축하고, 석탄의 비중을 30%이상으로 증대시킬 방침이며, 아울러 천연가스와 원자력의 사용도 크게 늘일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