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변환 시스템

Search Result 1,36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n Implementation of Photovoltaic Web Monitoring System based Web Services (웹서비스 기반의 태양광 발전 웹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Yoo, Jea-Kyu;Ryu, Yeong-Hyeon;Kim, Young-Roc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381-1383
    • /
    • 2010
  • 웹서비스는 표준 프로토콜인 HTTP를 이용하기 때문에 방화벽의 제약이 없어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통신하여야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특성상 꼭 필요한 기술이다. 또한, XML로 기술된 SOAP 메시지는 플랫폼 독립적이고, 시스템 확장과 통합에 유리하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웹모니터링 시스템은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인터넷을 통해 원격지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관리, 감시하는데 제약이 없으며, 신재생에너지 산업 통합에 적용될 수 있다.

Energy conversion system for wireless network (무선 센서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

  • Lee, Jae-Yun;Oh, Jea-Gun;Choi, Jun-Seong;Choi, Bum-Ky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c
    • /
    • pp.2111-2113
    • /
    • 2004
  • 대형 조물은 안전관리 시스템의 법제화로 스트레인 게이지,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상시 관리를 의무화 하고 있다. 상시 계측을 위해 유선 센서의 경우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은 있지만 선로 결선의 문제점 때문에 무선 센서의 적용이 요구된다. 하지만 무선 센서의 경우, 전원공급의 문제를 갖고 있어 장차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압전체를 이용하여 무선 센서의 전원 공을 위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은 구조물 내부의 진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 Capacitor에 저장 후, 데이터 전송을 위해 일시에 방출하는 구조이다. 20m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해 2.43mJ(5V*49mA*10ms)의 전력량이 필요한데, 모의 교량 모델에 시스템을 적용한 결과 2분 30초 동안의 진동 에너지가 2.8mJ의 전기 에너지로 저장되었다. 이 실험 결과를 토대로 무선 센서를 이용한 상시 모니터링이 가능함을 예상할 수 있다.

  • PDF

Energy Conversion System Using Vehicle-Induced Flow For Road Environmental Monitoring (도로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차량 유도풍 에너지 변환 시스템)

  • Lee, Jae-yun;Min, Chul-ki;Han, Eui-seok;Han, Sang-ju;Oh, Jae-ge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550-553
    • /
    • 2009
  • 도로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노드의 전력원으로 유도풍을 이용한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기존 재생 에너지의 설치 및 작동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도로상에 주오염원인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폐에너지를 활용하는 친환경적 에너지 순환시스템을 구현하는 핵심 요소이다. 차량 유도풍에 의해 발생되는 풍압으로 도로 상의 구조물에 진동을 유발한다. 이 때 발생한 진동 에너지는 압전체를 통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에너지는 센서의 구동과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센서 노드의 전력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전력원이 필요없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60km/h로 주행하는 한 대의 차량에 의해 2.7m/s의 유도풍이 발생하여 0.6g로 도로 상의 구조물에 에너지를 전달하게 된다. 전달된 에너지가 압전체를 통해 15uJ 전기에너지로 저장된다.

  • PDF

Motion and Wave Transmission Effect on Floating OWC(Oscillating Water Column) Wave Energy Conversion System (진동수주형 파력발전 시스템에서 운동과 파랑회절의 영향)

  • Lee, Sang-moo;Kim Seou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mmittee for Ocean Resources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05a
    • /
    • pp.20-25
    • /
    • 2001
  • 부유식 파랑에너지 변환시스템(Oscillating Water Column)에서 에너지 변환은 입력파와 챔버, 챔버내 공기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이 논문은 파랑에너지를 기계적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계적 특성을 해석한다. 단일 진동수 규칙파가 입력되었을 때에 파에 의하여 챔버의 상하운동이 선형적으로 발생하며, 이 상하운동은 챔버내의 압력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상하운동과 챔버내로 투과한 파, 그리고 챔버내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파에 의해 챔버내의 상대운동을 정하고, 그 상대운동에 의한 공기의 압축 팽창과 온도상승을 근사적 열역학적 방정식으로 해석하여 오리피스를 통한 유량과 압력을 기준으로 에너지 변환요율을 결정하였다. 얻어진 식은 간단하면서도 관련요소의 영향을 전반적으로 표현한다. 개구율 변화에 따른 운동응답을 비교하였다.

  • PDF

The study on the power quality measurement using wavelet transform in the grid-connected photovoltaic system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power quality 측정에 관한 연구)

  • Kim, Il-S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51.1-51.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wavelet 변환을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계통 전원 고조파를 측정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PCS(Power Conditioning System)는 태양전지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여 계통에 연계시키는 장치이다.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할 때 스위칭 노이즈가 발생하고, 전력품질이 약화되게 된다. Wavelet 이론은 시간 파형을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중에서 MLD(Multi-evel Decomposition)기법은, 계산량이 적으면서도 빠른 시간 내에 고조파 성분들을 알아낼 수 있다. 시스템 모델링과 wavelet 이론 소개, 그리고 컴퓨터 모의실험과 DSP 제어기를 이용한 실험 결과로서 본 연구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Effective Transmission Method using Energy Efficient Adaptive Modulation (에너지 효율과 적응변조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방법)

  • Oh, Eyu-Ky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9
    • /
    • pp.369-374
    • /
    • 2012
  • In this paper, the effective transmission method is proposed to save the energy and to increase the throughpu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daptive modulation. Traditionally, adaptive modulation has been used to improve the throughput using the power margin of the system design. Considering the instantaneous energy during the modulation method changing duration, the effective transmission method is proposed. By the simulation, the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is validated.

Micro/Nano fluidic energy conversion system using 1D surface patterning technique (1차원 표면 패터닝 기법을 통한 마이크로-나노 유체 에너지 변환 소자 시스템)

  • Kim, Sang-Hui;Lee, Jeong-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694-1695
    • /
    • 2011
  • 최근 에너지에 대한 관심의 증대 및 센서 노드로의 개발을 위해 무전원 동력 장치(sustainable energy conversion system)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압(hydraulic pressure)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새로운 개념의 나노유체 에너지 변환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표면 패터닝 기법을 통해 제작된 나노 채널 및 일차원 마이크로 유체 기반의 플루이딕 소자를 이용하여 외부저항, 버퍼용액의 농도, 압력에 따른 streaming potential을 구하였다. electrokinetic 현상과 이에 따른 유체의 streaming potential을 이용하여 압력(pressure)을 전기적으로 변환시키는 에너지 변환용 나노 유체시스템을 본 논문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he Analysis and Design of the Driving System for the Solar Car (한국교통대학교 Solar Car 구동 시스템 분석 및 설계)

  • Kim, IL-Song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9 no.5
    • /
    • pp.865-872
    • /
    • 2019
  •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Solar Car, Woongbi, which was created to participate in the World Solar Challenge(WSC) at the team NeulHaeRang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The WSC is the world's largest solar car racing competition and has a separate automobile regulation and must be manufactured to meet the regulations. Therefore, the key point of the solar car design is to optimize the energy efficiency based on the regulations. The solar car's drive system consists of a solar array to convert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a maximum power point tracker (MPPT) controller to track the converted electric energy to maximum output power, a battery to store the produced electric energy, a BLDC (Brushless DC) motor for driving the vehicle by converting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and a moto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LDC. The optimal design methods for solar energy conversion and electric driving system of battery, motor are presented in this paper.

기획인터뷰 - 한국공학 70주년 즈음하여

  • Son, Yeong-Seon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s.323
    • /
    • pp.14-15
    • /
    • 2009
  • 전기공학 전공은 전력시스템 및 변환, 대전력 및 플라즈마 응용, 시스템 제어를 다루는 전공으로써 미래의 에너지 문제의 유일한 해결책인 전기에너지의 발생, 변환, 전달 및 제어에 관한 학문을 다루게 된다. 한양대학교에서는 미래의 전기와 제어분야의 산업 및 연구 분야에서 국가에 기여할수 있는 우수한 인재의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국가산업의 근간이 되는 전기에너지 및 제어분야의 탄탄한 기초에너지 및 제어분야의 탄탄한 기초이론과 응용기술을 겸비한 전문기술인의 육성, 전기에너지 및 제어분야의 발전을 주도할 수 있는 창조적 기술인의 양성, 세계화, 개방화의무한 경쟁 환경에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개발하여 세계무대에서 교류, 활약할 수 있는 세계일류 기술인의 양성을 교육목적으로 하고 있다.

  • PDF

흡수식을 이용한 에너지 장거리 수송/변환 기술

  • 강용태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3 no.3
    • /
    • pp.11-18
    • /
    • 2004
  • 흡수식 사이클을 이용한 에너지의 장거리수송 기술을 소개하고 경제성평가 결과를 제시한다. 현재 에너지수요 측면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 것이 바로 대도시 및 산업단지의 냉$.$난방 및 급탕용 에너지이다. 냉$.$난방에 사용되는 에너지는 10$0^{\circ}C$미만의 저온으로서 고열원 에너지인 화석연료의 사용은 에너지사용 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산업지 역에서 버려지는 폐열원등의 각종 미활용에너지를 이용하여 냉$.$난방부하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시스템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활용에너지 및 폐열에너지 공급지역은 소비지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지금까지 흡수식시스템은 냉동 및 냉방의 개념에서 기술개발 및 실용적운전이 이루어져 왔으나, 본 논문에서는 흡수식시스템을 이용한 에너지의 장거리수송 및 변환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