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효율평가

Search Result 1,36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Performance Evaluation of Multi-Hop Transmissions in IEEE 802.15.6 UWB WBAN (IEEE 802.15.6 UWB WBAN에서 다중 홉 전송에 대한 성능 평가)

  • Kim, Ho-Sung;Hwang, Ho 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7
    • /
    • pp.1313-1319
    • /
    • 2017
  •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multi-hop transmissions in IEEE 802.15.6 ultra wide band (UWB) 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 The packet structure in the physical layer, and encoding and decoding are considered for multi-hop transmissions in IEEE 802.15.6 UWB WBAN. We analyze the data success rate and energy efficiency of multi-hop transmissions with considering the length of data payload, transmission power, and distances between the nodes in IEEE 802.15.6 UWB WBAN. Through simulations, we evaluate the data success rate and energy efficiency of multi-hop transmissions with varying the length of data payload, transmission power, and distances between the nodes in IEEE 802.15.6 UWB WBAN. Finally, we can select an energy-efficient multi-hop transmission in IEEE 802.15.6 UWB WBAN depending on the length of data payload, transmission power, and distances between the nodes.

Fuel consumption effects of transportation improvement options using mesoscopic traffic simulator (메조모형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교통운영방식의 연료소모량 분석)

  • 최기주;이건영;오세창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1
    • /
    • pp.19-38
    • /
    • 2002
  • To evaluate the effects of transportation system operation, usually measures of effectiveness(MOE) such as travel time, space mean speed, stop/delay ratio have been used. But, energy consumption as well as the existing MOE in transportation receives more attention as an alternative MOE in transportation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development of procedure, which could measure the relative energy consumption for each alternative and compare the results. A mesoscopic simulator called INTEGRATION is used to evaluate the operation of high occupancy vehicle lane, signal optimization, lane expansion, and the application of ITS. Among those, the application of ITS shows the greatest effectiveness in energy reduction, and then lane expansion, signal optimization, and the operation of high occupancy vehicle lane in the order named. Because we don'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vehicle class, Potential demand and the simulation time is just for an hour. it is recommended that a procedure for precise economic analysis and an improvement in methodology are needed in the future for the expanded application of this study.

Deduction of Water-Energy-Food Nexus technology for preemptive response of resource security (자원안보 선제대응을 위한 물-에너지-식량 연계 기술 과제 도출)

  • Lee, Eul Rae;Choi, Byung Man;Park, Sang Young;Jung, You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09-109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인구증가, 도시화에 따른 물, 에너지, 식량 등 필수 자원의 수요량 증가로 인한 수급 불균형으로 글로벌 자원안보 위기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국내의 경우 경제성장로 인한 중산층 증가와 도시 인구 팽창에 따른 물, 에너지, 식량 등 필수 자원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유한한 자원에 대한 대응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 자원의 대외 의존성이 높아 국제 자원 시장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물-에너지-식량의 연계를 통한 자립적 자원확보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도 수자원 자체만의 기존 기술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물-에너지, 물-식량 연계신기술 개발과 지속가능한 활용방안이 필요한 실정으로 현재 미국, 일본, 유럽 등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물관리와 연계한 에너지의 효율화 및 수자원이 갖는 에너지의 회수와 적극적 활용이 추진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국내의 경우 독립적으로 구분되는 이수, 치수, 물순환 건전화 등 주요 물관리 이슈에 대하여 에너지, 식량 분야를 연계한 통합적이고 효율적인 지속가능 방안제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자원안보의 선제적 대응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물-에너지-식량의 연계 기술이 필요하며, 국내 실정에 적합한 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 즉 (1) WEF 데이터공유 및 범정부적 의사결정을 위한 다부처 협업체계 구축을 위한 Bigdata기반 부처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공유 (2) 기후변화 적응 자원연계 솔루션 개발 및 넥서스 영향평가 툴 개발을 위한 자원 효율성 증대를 위한 연계 기술 고도화 (3) 국내(미래넥서스시티 versus 지자체자립형넥서스마을), 해외 on-demand형의 미래자원관리 패키지기술 실증을 위한 국내외 Testbed구축 및 운영 (4) 기술의 실현을 위한 제도, 정책의 개선 및 국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WEF 넥서스 거버넌스 수립 및 개선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에너지-식량 분야 상호 연계를 통한 분야별 "생산-가공-유통처리" 효율 30% 개선, 20C SOC 시설산업기반에서 21C 사회 인프라 국민 서비스 산업으로 전환을 통한 국가 신산업기반 구축, 4차 산업혁명의 Data Technology 분야에서 세계 최초의 공공기반 WEF 연계 패키지 기술 개발 들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태양광발전소 현장 진단평가 기술: 발전량 시뮬레이션과 다채널 I-V 장치를 통한 고장진단

  • Go, Seok-Hwan;Sin, U-Gyun;Sin, Ju-Yeong;Choe, Ui-Seong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 /
    • v.7 no.2
    • /
    • pp.7-15
    • /
    • 2021
  • 태양광 발전소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IEC 61724-1에 적합한 계측장치를 설치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발전소 현장에서 DC 어레이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측정 일사량과 같은 환경정보 값과 태양광 DC 어레이 전압-전류 특성 곡선을 이용해 일사량에 따른 출력모델 식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모델 식은 태양전지 셀의 종류나 버스바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되므로 기존의 태양전지 셀 등가회로 수식을 반영한 시뮬레이션 모델식이 적절히 변경되어야 함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주기적인 진단 평가를 실시하지 않는 국내외 태양광 발전소는 성능저하가 발생된 상태로 운전되는 경우가 다수 일 것이다. 대부분의 관제모니터링을 시스템은 미쓰매칭 손실 평가분석이 불가능하며 운전상태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이 대부분이다. 이에 태양광 발전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현장진단 장치를 이용한 주기적 성능진단 평가나 발전소 데이터의 손실평가 분석 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Traffic Adaptive Dynamic S-MAC Protocol in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적응형 동적 S-MAC 프로토콜)

  • Yu, Dae-Seok;Park, Su-Seong;Choe, Se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d
    • /
    • pp.202-207
    • /
    • 2008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기본적으로 교환이나 충전이 어려운 베터리로 동작하는 센서 노드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센서 노드들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 것이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중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에너지 효율적인 MAC 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해 기존의 IEEE 802.11 Protocol을 기반으로 휴면 기간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Sensor MAC(이하 S-MAC) Protocol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효율적 스케줄링 기반의 기존 S-MAC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에 동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동적 S-MAC을 제안하였다. 동적 S-MAC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트래픽 상황에 따라 프레임 주기를 변경함으로써 S-MAC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였다. NS2 시뮬레이션을 통해 동적 S-MAC과 기존 S-MAC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A study on contribution to UNFCCC caused by reinforcement of efficiency standard for residental refrigerators (냉장고 효율기준 향상에 따른 기후변화협약 기여도 연구)

  • Baek, Jung-Myoung;Won, Jong-Ryul;Lee, Byung-Ha;Kim, Jung-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226-228
    • /
    • 2008
  • 에너지 효율관리제도(최저효율기준, 라벨링 제도 등)는 에너지 사용의 증대와 산업의 발달에 따른 다양한 기기들의 개발에 따라 에너지기기들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현실에서 기기의 수요는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는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의 방출을 제한하여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고자 하는 기후변화협약을 이행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도구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고효율기기의 효율향상에 따른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기여도 산정을 위해, 효율향상 시에 이산화탄소 절감량을 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 PDF

Energy Analysis of A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엑서지분석에 의한 열병합발전의 효율제고에 관한 연구)

  • 오영삼;김종진;최기련;목영일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 no.1
    • /
    • pp.83-94
    • /
    • 1993
  •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an energy conversion system is analyzed using two efficiency concepts, one of conventional and the other of energetic efficiently. The objective of this analysis was to improve and optimize the energy conversion system in point, namely, and LNG-fired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CHP). To this end, energies which represent the true efficiency figures were evaluated for various flows of the system with a set of system configurations given. Then the economic values of the energies were assigned to respective flows and subsystems. With these economic data locations of inefficiencies and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are identified.

  • PDF

Cluster-Based Power-Efficient Routing Protocol for Sensor Network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클러스터 기반의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 권기석;이승학;윤현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508-510
    • /
    • 2004
  • 센서 네트워크는 관심이 있는 현상을 관찰하기 위해서 관찰지역 내에 뿌려진 센서 노드들로 구성된다.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센서 노드들의 수명은 전체 센서 네트워크 수명에 많은 영양을 준다. 하나의 센서 노드가 수명을 다 했을 때 이는 센서 네트워크의 분할을 가져 올 수도 있다. 그러므로 모든 센서 노드들이 공평하게 다 같이 오래 사는 것이 전체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클러스터 기반의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Cluster-eased Power-Efficient Routing Protocol CBPER)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여러 개의 유동성 싱크 노드를 가진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며 효율적인 라우팅을 위해서 각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만든 그리드 구조를 이용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두 계층 데이터 전송 라우팅 (Two-Tier Data Dissemination Routing: TTDD) 프로토콜과 비교를 하였다. 실험결과는 CBPER 프로토콜이 TTDD 라우팅 프로토콜 보다 좀 더 에너지 효율적이라는 결과를 보여 준다.

  • PDF

An Efficiency Characteristic of 1kW Linear Generator for Free-Pision Engine (프리피스톤 엔진용 1kW급 리니어 발전기의 효율 특성 연구)

  • Choi, Dong-Min;Lim, Hee-Su;Noh, Tae-Seok;Oh, Si-Duc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037-1038
    • /
    • 2007
  • 프리피스톤 기관은 크랭크가 없는 엔진을 동력원으로 리니어 발전기를 구동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시스템으로 기존 왕복 구동식 기관에 비해 기계적 손실이 작고, 팽창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고효율 기관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프리피스톤 기관은 가솔린, 디젤, 수소, 천연가스와 같은 청정 연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에너지 수급 문제 및 대체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프리피스톤 기관에 적용되는 리니어 발전기의 경우 기존 회전형 발전기보다 효율은 다소 떨어지는 단점은 있으나, 동력 변환을 하지 않는 리니어 엔진에 적용할 경우에는 효율적 이득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니어 발전기의 성능 측정을 위한 시험 장치를 구성하고, 프리피스톤용 기관에 적용되는 평판형 및 원통형 타입의 리니어 발전기의 손실 및 효율 특성을 비교하였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Plate Membrane Humidifier for PEMFC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용 판형막가습기 성능 평가)

  • Kho, Back Kyun;Park, JongCheol;Lim, Jongkoo;Kwon, Ki Wook;Shin, Hyun Khil;Hur, Tae Uk;Cho, Sungbae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88.2-88.2
    • /
    • 2010
  •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은 고분자막의 이온전도도에 따라 큰 영향을 받으며 가습조건에 따라 연료의 수화정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현재 고분자막을 가습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PEMFC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Bubbler 형태의 가습장치는 고온이 필요하며 가습 효율이 수동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서 막을 이용한 가습방법은 스택의 냉각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습 시, 별도의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저온에서도 가습 효율이 증대하고 시스템 간소화의 장점을 가진 막가습기를 제작하여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에서 열 및 습도조절에 대한 효율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막가습기에 사용된 가습막의 두께에 따른 가습도 변화 및 유로 구조에 따른 압력강화를 관찰하였으며 막가습기를 판형 모듈 형태로 제작하여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에 적용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