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화

Search Result 6,00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POLICY & ISSUES 기획특집_4 - 기후변화대응 녹색기술의 현주소와 미래

  • Kim, Ju-Yeong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399
    • /
    • pp.20-21
    • /
    • 2012
  • 우리나라는 좁은 국토에 많은 인구가 밀집한 관계로 단위면적당 폐기물의 발생량이 세계 최고 수준이며, 해양 오염 방지를 위해 유기성 폐기물 해양 배출을 금지한 런던협약 등 기후변화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또한 화석연료의 고갈화로 대체에너지 개발이 시급한 현시점에서 폐자원 에너지화 사업의 인프라 구축 및 대응책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2008년 5월 "폐기물 에너지화 종합대책" 이후 2009년 7월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대책" 실행계획 수립으로 폐기물 에너지화 사업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은 화석연료 대체로 인한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있어 폐기물 처리, 화석연료 대체,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일석삼조의 기술이다.

  • PDF

Analysis of dynamic characteristic for the 1Ton/Day-Scale Waste Oil Gasification Process (1톤/일급 폐유 가스화 공정의 동적 특성 해석)

  • 이봉렬;이승종;윤용승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3.05a
    • /
    • pp.517-522
    • /
    • 2003
  • 가스화 용융 기술은 주로 에너지 분야에 적용, 개발되어 온 기술로 폐기물의 에너지화라는 이론 연구에 머물러 왔지만, 최근에서야 효과적인 폐기물 이용을 위한 공정의 개발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향후 연소반응에 근거한 공정을 점차 대체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가스화 용융 기술은 특히 환경 문제와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 가스화 공정을 거쳐 발생되는 생성가스에 포함된 유해 성분이 적고, 저급 에너지를 연료 가스나 연료유 둥의 고급에너지로 전환이 가능한 기술이다.(중략)

  • PDF

A Survey on Application of Gamification for Energy Saving (에너지절약을 위한 게임화 전략의 적용사례와 제언)

  • Lim, Ki Choo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6 no.2
    • /
    • pp.93-98
    • /
    • 2017
  •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gamification strategies lead to the changes in consumers' perspectives and behaviors on energy savings. Since gamification strategies began to be widely used in the late 2010s, the strategies have been extensively applied to a variety of industries and applications, including the field of energy savings. As energy saving practices adopting gamification strategies reflect the attributes of game, citizens can be pleased to participate in energy saving activities. Also, the gamification strategies are expected to raise citizens' awareness to the necessity of reducing energy consumption. Therefore, considering the subjects and specific objectives, the action plans for applying gamification strategies to energy saving programs are required to be established to meet the demand of new services on energy savings.

A Technology of Context-aware based Building Management for Energy Efficiency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상황인지 기반 건물 관리 기술)

  • Lee, Hyunjeong;Han, Jinsoo;Jeong, Youn-Kwae;Lee, Il-Woo;Lee, Sang Ho
    •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for SMB
    • /
    • v.2 no.1
    • /
    • pp.69-75
    • /
    • 2012
  • As the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cause the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disasters, abnormal temperature and diseases, technologies and studies for energy conservation and efficiency are increased. Energy use in buildings accounted for 22% of national energy use, so energy saving technology is promoted for residence, commercial and public buildings. Existing methods for energy conservation are passive ways, in that they consider heat loss and low-energy equipment. In recent years, active technologies emerge by converging with ICT, which detect and remove the energy waste situation by measuring,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energy use. In this paper, we describe technology trends for building energy optimization and investigates issues for active energy savings.

  • PDF

IDC의 에너지 효율화지수 활용현황에 관한 고찰

  • Lee, Sang-Hak;Park, Hyeon-Gyu;Choe, Yeong-J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6
    • /
    • pp.9-13
    • /
    • 2012
  • IDC의 에너지 효율화 측정지수로 IDC 전체 전력 중 ICT장비에 사용한 전력의 비율을 지수화 한 PUE가 활용되고 있다. PUE는 IDC 운영자 및 관리자가 신속하게 현재의 IDC의 에너지 사용에 대한 효율성을 파악하여 에너지 효율 향상에 대한 목표수립을 가능하게 한다. 아직까지 국가적으로 명확한 IDC 에너지 효율화 기준이 없는 우리나라의 대형 IDC를 중심으로 그린그리드의 PUE를 내부 관리지표로 사용하고 있으나 적용 기준이 IDC 전용 데이터센터 위주로 작성되어 있어서 IDC 이외의 용도가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우리나라 IDC의 PUE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표준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DC 에너지 사용 측정방법과 PUE 구조 및 활용 현황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IDC의 에너지 효율화 측정에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 제정될 국가적인 IDC 에너지 효율화 지수에 활용될 수 있다.

Green Energy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motion Methods using Smart Green Certification System and Regional Cooperation Network Construction (스마트 녹색인증 시스템 및 지역별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그린에너지 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

  • Ryu, Se-He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40-140
    • /
    • 2010
  • 최근 정부가 저탄소 녹색성장을 새로운 국정비전으로 제시하고 혁신적 그린에너지 기술개발을 위해 연평균 20%이상의 R&D 예산을 증액하고 있는 상황에서 연구개발결과의 상용화율 제고를 위한 연구기획, 평가, 관리시스템의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선진국의 경우 최근 3년간 에너지분야 R&D의 상용화율이 미국 35.9%, 유럽 46.8%로서 24.2%인 한국에 비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와같은 격차가 존재하는 것에 대해서 다양한 요인을 생각해볼 수 있겠지만, 크게 시장적인 또는 산업적인 측면에서의 중요도를 기준으로 연구과제를 선정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과 연구개발결과를 효율적으로 사업화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볼 수 있다. 특히 에너지 분야는 대규모 자금의 초기소요 및 개발기술 상용화기간의 장기화등으로 인해 사업화 실적이 타산업대비 매우 저조한 편이다. 이와같은 연구결과의 사업화와 관련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국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기술사업화 지원프로그램이 운영괴고 있으나, 에너지 분야에 특화된 프로그램은 부족한 상황이다. 반면에 미국의 경우, 재생에너지 R&D분야 전문투자자 그룹인 클린테크그룹 등을 중심으로 2002년부터 현재까지 다수의 녹색기술분야에 특화된 기술사업화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결과 현재까지 약 9년간 총 16억$의 투자유치에 성공함으로써 민간투자 활성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의 경우에도 이와같은 에너지 R&D 결과를 효과적으로 사업화로 연계시킬 수 있는 관련 프로그램 등이 시급히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사업화 부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올해부터 정부주관으로 시행되고 있는 녹색인증사업을 활용하여 사업화가 유망한 기술 및 기업을 선별하고, 이에 대해 사업화 지원을 위한 후속프로그램을 적극 지원함으로써 연구개발결과의 경제적 활용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사업화 지원프로그램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수도권, 영남권, 호남권 등 지역별 TP 등을 중심으로 기술사업화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수요기술조사, 기술마케팅, 투자자유치 등의 관련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단의 시스템과 융합시킴으로써 향후의 정부주도 R&D결과의 상용화율을 제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는 에너지 R&D분야별 기술적 시장적 특징분석, 지역별 산업특성과 기술공급 서플라이 체인분석을 토대로 한 기술이전 잠재수요기업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기술사업화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시스템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 올해년도에 시행한 녹색인증 기술사업화 연계프로그램 및 기술사업화 협력네트워크 활용사례 등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방향으로서 기술사업화 유관기관간간 기술사업화 정보교환 및 사업화 유망기술 기업 마케팅 등을 기본내용으로 한 시장지향적 녹색에너지 R&D 관리 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Status of Commercial Plant and Different Technologies for Bio-gasification of Organic Wastes (유기성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 기술 및 보급 현황)

  • Heo, Nam-Hy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763-766
    • /
    • 2007
  • 국내에서 발생되는 고형폐기물 중 자원으로 재활용 가능한 유기성폐기물은 하수슬러지, 음식물류폐기물, 축산분뇨 등을 대표 할 수 있다. 이들 유기성폐기물은 환경적인 측면에서 볼 때 다른 유기성 폐수 및 폐기물에 비하여 오염부하량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이를 생물자원 (Biomass)으로 인식하고 이용 할 경우 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문제 뿐만아니라 향후 자원고갈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 자원이다. 유기성폐기물을 대체에너지 자원으로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국제적 환경규제와 에너지 정책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폐기물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체계적인 정책적 지원책과 기술 개발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자원 재활용과 에너지회수 기술에 있어 혐기성소화(anaerobic digestion)는 유기성폐기물의 효과적인 감량화, 재이용화, 안정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유용 에너지원인 메탄가스를 회수할 수 있는 바이오가스 전환기술로 최근에 주목을 받는 biotechnology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원의 대부분이 해외에 의존하는 국내현실과 최근 고유가에 따른 국가 에너지 정책을 제고해야하는 현 시점에서 유기성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가스화 기술을 널리 보급하기 위해서는 요소기술 개발과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tilization System for Wasted Forest Products Biomass Energy (임산 폐기물의 연소 및 에너지이용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Hyoung-W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307-319
    • /
    • 2005
  • 인류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연료의 역할을 충실히 해왔던 임산자원이 화석계 에너지원의 고갈과 환경오염 문제의 급부상으로 임산자원의 신재생에너지원으로서의 잠재력이 다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산자원의 에너지화와 그 산업적 응용을 위하여 원료의 수급체계를 검토, 확립하는 한편, 폐목질자원을 펠릿화한 목재펠릿 연료의 제조공정을 국내 환경을 고려하여 고효율화하는 동시에 본 연료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PDF

석탄가스화 기술 소개 및 개발 동향

  • Lee, Jin-Uk;Yun, Yong-Seung;Lee, Seung-Jong
    • NICE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 /
    • v.31 no.1
    • /
    • pp.48-57
    • /
    • 2013
  • 석탄가스화 기술은 석탄의 에너지원으로서의 중요성에 더하여 고효율 고청정 에너지화 기술이라는 측면에서 많은 기술선진국에서 시장 선점을 위하여 다양한 석탄가스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초기에는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일본과 중국에서도 상업화 기술을 보유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특히 중국은 우리나라보다 뒤늦게 기술개발을 시작하여 2000년 이전에만 하여도 석탄가스화 기술의 후진국이었으나 최근에는 ECUST와 TPRI 등이 주도적으로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집중적인 연구개발 지원에 힘입어 이제 2,000톤/일급 이상의 가스화기 개발을 완료하고 수십기의 상업용 실적을 보유하는 등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중국보다 이른 시점인 1990년대 초반부터 가스화 기술개발을 시작하여 많은 기술축적을 이루어 미분탄 기류 수송, 슬러리 제조, 탈황 기술 등의 일부 요소기술에서는 세계 수준급의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나 연구비의 제한적인 투자로 인하여 규모의 측면에서는 아직 수톤~수십톤/일급 가스화기의 운전 또는 설계 진행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한다는 측면을 고려할 때에 저가의 에너지원 확보 및 에너지원의 다양성 확보 측면에서 석탄에너지 활용은 필수적이므로 석탄 활용 기술, 특히 석탄가스화 기술 개발에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성이 아주 강하다고 판단된다.

An Analysis on the Role of Nuclear Power in Korea Energy Security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의 원자력의 역할 분석)

  • 임채영;문기환
    • Nuclear industry
    • /
    • v.19 no.6 s.196
    • /
    • pp.36-41
    • /
    • 1999
  • 우리 나라의 에너지 안보 정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낼 수 있는 에너지 안보 지수를 개발,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원자력 발전의 도입이 국내 에너지 안보에 기여한 정도를 측정하였다. 에너지 안보에의 기여 항목으로는 에너지원 다원화와 에너지 수입의존도를 선정하였으며, 원자력의 도입 여부에 따른 에너지 안보 지수의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에너지 안보와 원자력 도입 여부와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에너지 안보 지수를 이용하여 주요국의 안보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우리 나라의 에너지 안보의 정도를 외국과 비교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그 동안 정성적으로만 논의되어 왔던 원자력 발전의 에너지 안보에 대한 기여 효과가 보다 명확하게 정량화되어 평가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