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성능

Search Result 6,20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Effective CPU overclocking scheme considering energy efficiency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효과적인 CPU 오버클럭킹 방법)

  • Lee, Jun-Hee;Kong, Joon-Ho;Suh, Tae-Weon;Chung, Sung-W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12
    • /
    • pp.17-24
    • /
    • 2009
  • More recently, the Green Computing have become a important issue in all fields of industry. The energy efficiency cannot be over-emphasized. Microprocessor companies such as Intel Corporation design processors with taking both energy efficiency and performance into account. Nevertheless, general computer users typically utilize the CPU overclocking to enhance the application performance. The overclocking is traditionally considered as an evil in terms of the power consump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effective CPU overclocking schemes, which raise CPU frequency while keeping current CPU supply voltage for energy reduction and performance improvement. The proposed scheme gain both energy reduction and performance improvement.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schemes reduce the processor execution time as much as 17% and total computer system energy as much as 5%, respectively. In addition, our effective CPU overclocking schemes reduce the Energy Delay Product (EDP) as much as 22%, on average.

Development of Simulation for Vuilleumier Cycle Heat Pump (VM 사이클 히트펌프 설계프로그램의 개발)

  • 박병덕;이기우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0 no.2
    • /
    • pp.105-113
    • /
    • 2001
  • 지구환경문제와 에너지문제를 해소하는 한 방법으로서 Vuilleumier 사이클 기관(VM)을 이용한 공조기형 열구동형 히트펌프시스템(VMHP)이 각광을 받고 있다. VMHP의 제작에 있어서는 VM의 각 부분의 이론적 검토 및 최적설계를 위한 해석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수적이고 최적설계를 위한 설계 기본서의 도출 및 설계자료의 확보가 필요하다. VMHP의 상세한 성능해석이나 설계에 활용 가능한 성능해석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해석은 VM의 시스템의 각 부분을 11개 부분으로 나누어 단열모델해석으로 수행하였다. 열교환기에서의 열전달 성능과 재생기손실, 열전도손실, 셔틀손실, 유동에 의한 압력손실과 열압축측과 열펌프측 사이의 마찰손실, 피스턴실 및 로드실의 마찰손실을 고려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에 의한 계산치의 정확성을 본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제작한 시험기에 의해 비교하였다. 계산치와 시험기에 의한 전체성능을 비교하였고 또한 각각의 손실에서 고유한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그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열손실 전체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여 실험치와 계산치의 정상적인 비교로부터 성능해석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에 의해 난방능력은 8%, 냉방능력은 19%의 최대오차로서 본 해석결과가 VMHP의 설계를 위해 유용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Energy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System in Apartment House (공동주택의 환기시스템별 에너지성능 비교 분석)

  • Kim, Gil-Tae;Chun, Chu-Young;Kim, Sun-Do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6 no.4
    • /
    • pp.215-22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 analyses of energy performance in apartment houses adopted window frame-type natural ventilation, under-floor air distribution ventilation and heat recovery ventilation. As the object of energy simulation, the three type ventilation system with area of $84m^2$ was selected in apartment house. As a result, when the ECO2 simulation was performed, the 1st requirement quantity per annual were $159.9kWh/m^2yr$(CASE1, Natural Ventilation), $179.7kWh/m^2yr$(CASE2, Under-floor Air Distribution Ventilation) and $161.0kWh/m^2yr$(CASE3, Heat Recovery Ventilation).

탄소복합소재 분리판을 이용한 소형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스택 제작 및 성능분석

  • Shim, J.;Han, C.;Oh, Y.;Lee, J.J.;Lee, J.Y.;Lee, H.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45.2-145.2
    • /
    • 2010
  • 탄소복합소재 분리판의 연료전지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소형 고분자연료전지 스택을 제작하였으며 연료전지 운전에 따른 성능변화를 측정하여 탄소복합소재 분리판이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체 설계한 가스유로로 디자인된 분리판과 MEA를 적층한 스택의 초기 성능과 장기간 운전에 따른 전압 감소를 측정하였다. 또한 장시간 운전 동안 각 셀의 전압 거동도 함께 측정하였으며 비교를 위해 흑연 분리판을 이용하여 제작한 스택의 성능도 함께 시험하였다. 스택에서 각 셀의 성능은 단위전지에서의 성능과 유사하게 나타나 분리판과 스택의 구조가 셀의 성능을 충분히 보여줄 만큼 적절히 디자인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장시간 운전 동안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스택의 성능 감소도 점차 증가하였으며 두 종류의 스택이 유사한 성능 감소를 보여 자체 제작한 탄소복합소재 분리판이 흑연 분리판과 유사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Performance Testing and Analysis of Wind Power Systems in Cheju Demonstration site (제주 월령 시범단지 풍력발전시스템 성능시험 및 결과의 고찰)

  • 김건훈;김흥우;주영철;허종철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0 no.1
    • /
    • pp.10-16
    • /
    • 2001
  • 고대로부터 바람에너지는 단순한 기계적 에너지로 또는 지하로부터 물을 끌어올리거나 곡식을 정제하는데 사용되곤 하였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 풍력발전시스템은 신재생에너지원 가운데 가장 유망하고 비용이 저렴한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다. 1992년에 시작된 제주도 풍력발전 시범 사업은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을 위하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KIER)와 산업자원부(MOCIE), 그리고 정부주도하에 계획되고 추진되는 사업이다. 이 시범사업자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한국에서 풍력발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결과적으로 운전기술을 발전시키며, 또한 성능을 분석하여서 국내에서의 기술확산을 위해 기술적인 문제점과 신뢰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이미 제주도 월령에 설치되어 있는 중형 풍력발전 시스템의 운전기술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국내 풍력발전 시스템의 보급과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자동제어시리즈 (2) - 빌딩 에너지관리 시스템(BEMS) 보급과 활성화 방안

  • Sin, Yeong-Gi
    • 월간 기계설비
    • /
    • s.228
    • /
    • pp.55-63
    • /
    • 2009
  • 본지는 자동제어실비협의회(위원장 최전남) 제공으로 지난 호부터 자동제어 시리즈를 게재하고 있다. 이번 호에는 빌딩 에너지관리 시스템으로 세종대학교 신영기 교수의 '빌딩 에너지관리 시스템 보급과 활성화 방안'을 게재한다. 빌딩 에너지관리 시스템은 실내환경과 에너지 성능의 최적화를 도모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업무용 빌딩이나 공장, 지역 냉난방의 에너지설비에 대한 에너지절약, 감시, 제어를 자동화 일원화 하는 시스템이다.

  • PDF

Characterization of Fuel Cell Stack Using Hydrocarbon Polymer-Silica Composite Membranes (탄화수소계 고분자-실리카 복합막이 적용된 연료전지 스택 성능평가)

  • Hyun Woo Kang;Doo Sung Hwang;Chi Hoon Park;Young Moo Lee
    • Membrane Journal
    • /
    • v.33 no.3
    • /
    • pp.127-136
    • /
    • 2023
  • In this study,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a 5-layer fuel cell stack using silica composite membranes as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was evaluated. It was observed that the flow rate of the fuel gases plays a crucial role in stack performance, particularly being mainly dependent on the flow rate of hydrogen. Increasing the flow rate of oxygen resulted in negligible changes in performance, whereas an increase in the flow rate of hydrogen demonstrated performance improvements. However, this led to an imbalance in the ratio of hydrogen to oxygen flow rates, causing significant degradation in stack performance and durability. A decline in stack performance was also observed over time due to the degradation of stack components. This phenomenon was consistently observed in individual unit cells.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emphasized that, in addition to optimizing the performance of each component during stack operation, it is important to optimize design and operating conditions for uniform flow rate control. Lastly, the developed silica composite membrane was assessed to have sufficient performance for application in actual fuel cell systems, exhibiting a performance of over 25 W based on maximum power.

Effects of the Ultrasonic Energy on the IDI Diesel Engine Performance (초음파에너지가 간접분사식 디젤기관 성능에 미치는 영향)

  • Lee, Byoung-Oh;Kim, Yong-Guk;Lee, Seung-Ji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8 no.3
    • /
    • pp.169-174
    • /
    • 2009
  • In the study, the effect of the ultrasonic energy in transportational diesel fuel on the engine performance and exhaust emission has been investigated for indirect injection diesel engine. It was tested to estimated change of engine performance and exhaust emission characteristics for the transportational diesel fuels and the reforming fuels which was irradiated by the ultrasonic energy. The results of the study may be concluded as follows; By the irradiation of ultrasonic energy on the diesel fuel, cylinder pressure, heat release rate and engine power were increased but bsfc, mass fraction burned, and smoke were reduced. Also, the combustion was more stabilized and became complete and NOx was increased.

Experimental Study on Energy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Vortex Tube (볼텍스 튜브의 에너지 분리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Lee, Jun-Sun;Han, Keun-Hee;Park, Sung-Yo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5 no.5
    • /
    • pp.517-524
    • /
    • 2011
  • A vortex tube is a device that can separate small particles from a compressed gas or separate a compressed gas into hot and cold flows. We experimentally analyzed the energy-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a vortex tube with a diameter of 10 mm. We measured the energy-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rtex tube for different inlet air pressures, orifice diameters, and tube lengths. The orifice diameter and inlet pressure are important for the vortex tube design and operation. The tube length has a small effect on the energy-separation performance. Maximum energy separation occurs for a vortex tube with Dc = 0.7 D and L = 16 D.

Performance of Relay Networks with Partially Differential Modulation Scheme Depending on Energy Allocation in Railway Environments (철도환경에서 에너지 할당에 따른 부분차등변조 방식을 이용한 중계 네트워크의 성능)

  • Cho, Woong;Cho, Han-Byeo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1 no.1
    • /
    • pp.17-22
    • /
    • 2016
  • In relay networks, relay nodes amplify or demodulate/remodulate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transmitter, and transmit that signal to the receiver. The received signals from several relays are combined and used for demodulation at the receiver, which enhances the performance of the overall system. Partially differential modulation scheme which uses coherent modulation at the relay and non-coherent modulation scheme at the receiver is adopted for modulation scheme. We analyze the performance of systems depending on various energy allocations of source and relays given the total energy in relay net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