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성능

Search Result 6,206,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Numerical Analysis of HAT Tidal Current Rotors (수평축 조류발전로터 성능실험의 수치적 재현과 연구)

  • Jo, Chul-Hee;Yim, Jin-Young;Lee, Kang-Hee;Chae, Kwang-Su;Rho, Yu-Ho;Song, Seung-H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620-623
    • /
    • 2009
  • 여러 해양에너지 중 유체의 빠른 흐름을 이용하는 조류발전은 서해안과 남해안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며 해양환경의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 많은 에너지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류발전에서 1차적으로 에너지를 변환시키는 로터는 조류발전시스템의 주요한 장치중의 하나로 여러 변수에 의해 그 성능이 결정된다. 블래이드 수, 형상, 단면적, 허브, 직경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로터를 설계하며, 설계정보와 실험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치모델을 구현하여 실험에서 직접 계측할 수 없는 로터 주변의 유체현상 및 간섭영향 등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변화하는 유속에 따른 HAT 로터의 시동속도, 회전수를 측정하여 로터 형상과 허브-직경비가 다른 로터의 성능을 고찰하고, 이를 수치모델로 구현하여 로터주변 유동변화를 연구하였다.

  • PDF

Energy Effective Load Balanced Clustering Mode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에너지 효율성을 높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부하 균형 군집모델)

  • Lee, Jae-Hee;Kim, Byung-Ki;Kang, S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379-382
    • /
    • 2015
  •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제한된 에너지 자원으로 동작하므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여 통신하는 기법이 무선 센서 네트워크 설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센서 노드들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중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기반 한 계층적 라우팅 방법이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성능과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효과적인 기술임이 알려지면서 다양한 접근법이 제시되고 있다. 클러스터 기반 아키텍처에서 클러스터의 부하 균형을 위한 효율적인 군집 모델은 게이트웨이와 센서 노드의 수명을 증가시켜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 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의 수명과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부하 균형 군집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최적해를 보장하는 분기 한정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이를 이용해 다양한 조건에서 기존에 제시된 부하 균형 군집 모델과 실험하고 성능을 비교한다.

The Optimum Design and Wake Analysis of Tidal Current Power Turbine (조류발전 터빈 최적화 설계 및 후류 영향 연구)

  • Jo, Chulhee;Kim, Doyoub;Lee, Kanghee;Rho, Yuh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64.2-164.2
    • /
    • 2011
  • 지구온난화에 따른 대체에너지 자원확보가 국가적으로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고 여러 대체에너지원 중 국내의 해양에너지는 잠재량이 매우 높다. 여러 해양에너지 중에서 빠른 흐름을 이용하는 조류발전은 서해안과 남해안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며 해양환경을 보존하면서 많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류발전에서 1차적으로 에너지를 변환시키는 로터는 주요한 장치중의 하나로 여러 변수에 의해 그 성능이 결정된다. 로터의 블레이드 수, 형상, 단면적, 허브, 직경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조류발전을 적용하는 해양환경에서 최대 출력을 생산할 수 있는 로터가 적용될 수 있도록 블레이드의 후류 영향을 고려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날개요소이론을 바탕으로 수평축 조류발전 터빈을 설계하여 실험 및 유동해석을 통해 성능을 평가하고, 후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Heat Pump System using the Municipal Waste Water as Heat Source (생活廢水熱源 熱펌프시스템 運轉特性 考察)

  • 신현준;박준택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4 no.2
    • /
    • pp.270-277
    • /
    • 1995
  •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따라 민생용 에너지의 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폐수의 양과 온도가 높아지면서 이들은 주요 에너지자원의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다. 즉, 폐수열은 열원으로서의 경제성이 향상되어 에너지자원으로서의 잠재력이 높아지고 있으며, 또한 화석에너지의 과다 사용을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면서 이들 에너지의 유효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생활폐수를 대상으로 냉·난방에너지원으로서의 활용 가치를 평가히기 위한 열특성을 파악하고, 이 폐수열을 열원으로 하는 熱펌프시스템을 제작·설치하여 운전 성능을 파악하므로서 장차의 에너지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폐수열의 계절별 온도분포를 측정하고, 열원의 특성에 적합한 폐수열교환기, 세척장치 등 요소기기의 구조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熱펌프시스템을 제작하여 성능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난방기의 성적계수(COP)h를 3.5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비교적 경제성이 높은 熱펌프시스템의 구성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ime-series big data analytics software on IoT streaming data (빅데이터 기반 대용량 시계열 에너지 데이터 처리 시스템)

  • Kang, Jeonghoon;Yoo, June-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52-53
    • /
    • 2018
  • 본 논문은 에너지 빅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대용량의 시계열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의 설계, 구축 방법을 제시한다. 이미 사용 중인 건물이나 공장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해서 정부는 효율자원 시장 지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에너지 소비 설비에 따라 고효율 자원으로 변경 설치하는 데 필요한 자금의 일부를 지원하고 있다. 정부지원으로 고효율 설비로 변경함에 따라 실증 사이트에서는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효율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에너지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였다. 해당 측정 정보는 IoT 전력량계를 통해 수집되며, 수집된 데이터는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다양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적용되어, 에너지 소비 효율 평가에 필요한 성능 지표를 연산한다. 구현된 진단 시스템은 기축 건물의 에너지 효율향상 상황을 분석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빅데이터 기반의 에너지 분석 기능을 사용하여 에너지 고효율 장비의 운영시간, 부하율 등의 효율성과 성능통계를 연산할 수 있다.

A Study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PEMFC Using the ion Beam Treated Membrane (이온빔 처리된 막을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성능특성 연구)

  • 조성아;오인환;최형준;하흥용;홍성안;차석렬;고석근;주재백;손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9.11a
    • /
    • pp.101-106
    • /
    • 1999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FC)는 백금 촉매를 이용하여 낮은 온도에서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시스템으로써 자동차 등의 이동용 전원으로 적합한 시스템이다. 그러나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가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고가인 백금 촉매 사용량의 감소 등 제작비용 절감 문제, 전지 자체의 성능향상 등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중략)

  • PDF

Design of a Piezocomposite Generating Element and Its Characteristics (압전-복합재료 발전 소자의 설계 및 특성)

  • Tien, Minh Tri;Kim, Jong-Hwa;Goo, Nam-Se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4 no.7
    • /
    • pp.867-872
    • /
    • 2010
  • Unused energy derived from sources in nature can be captured and stored for future use, for example, to recharge a battery or power a device; this process of capturing and storing energy is called energy harvesting. Extensive investigations are being carried out in order to use piezoelectricity to harvest the energy generated by body movements or machine vibrations. This paper presents a simple analytical model that describes the output voltage effectiveness of a Piezocomposite Generating Element (PCGE) from vibration and its experimental verification. PCGE is composed of carbon/epoxy, PZT, and glass/epoxy lay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stacked layers were cured at $177^{\circ}C$ in an autoclave, which created residual stresses in PCGE and altered the piezoelectric properties of the PZT layer. In the experiments, three kinds of lay-up configurations of PCGE were considered to verify the proposed prediction model and to investigate its capability to convert oscillatory mechan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The predicted performance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observed experimental ones.

Dynamic Characteristics and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Evaluation of Customized Energy Block Structures (시설물 맞춤형 에너지 블록 구조의 동적 특성 및 발전 성능 평가)

  • Noh, Myung-Hyun;Kim, Hyo-Jin;Parl, Ji-Young;Lee, Sang-You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2
    • /
    • pp.197-206
    • /
    • 2016
  • This study carried out structural behaviors and power generation performances of customized energy harvesting block structures, especially for infrastructures such as parking facility. The improved energy block structures described in this study were represented by using numerical and experimental models. In particular, the composite-PZT hybrid energy blocks are tentatively proposed for better structural durability and power generation effects. The finite element model using ABAQUS program is used for studying sta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block structures made of composite materials.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various power generation capacities of advanced energy block structures through laboratory-scale and field experiments.

Construction of the Heat Pump System Using Thermal Effluents for Greenhouse Facilities in Jeju and Evaluation of Cooling Performance (제주 시설온실 냉난방을 위한 발전소 온배수 활용 열펌프 시스템 구축 및 냉방성능 평가)

  • Lee, Yeon-Gun;Heo, Jaehyeok;Lee, Dong-Won;Hyun, Myung-Taek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7 no.4
    • /
    • pp.70-79
    • /
    • 2018
  • A heat pump system using the thermal effluent from the Jeju thermal power plant of KOMIPO was constructed with the capacity of 300 RT to supply cool or hot water to greenhouse facilities located 3 km from the power station. The way of transporting heat from the thermal effluent to greenhouses at a long distance was optimized, and a monitoring system to measure the water temperature and detect a leakage in a pipe conduit was also installed. This paper presents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constructed heat pump system for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of greenhouse facilities in Jeju,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components deployed in the system. The preoperational tests of the heat pump system were conducted during the summer season in 2018 for evaluation of its cooling performance. The operational stability and cooling performance of the heat pump system were confirmed by investigating the measured fluid temperature and flow rate, and COP of the heat pump in a cooling mode.

KOCED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wide field of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센서망 내 KOCED 라우팅 프로토콜 광역분야 성능평가)

  • Kim, TaeHyeon;Park, Sea Young;Yun, Dai Yeol;Lee, Jong-Yong;Jung, Kye-Do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2
    • /
    • pp.379-384
    • /
    • 2022
  •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a large number of sensor nodes are deployed in an environment where direct access is difficult. It is difficult to supply power, such as replacing the battery or recharging it. It is very important to use the energy with the sensor node. Therefore, an important consideration to increase the lifetime of the network is to minimize the energy consumption of each sensor node. If the energy of the wireless sensor node is exhausted and discharged, it cannot function as a sensor node. Therefore, it is a method proposed in various protocols to minimize the energy consumption of nodes and maintain the network for a long time. We consider the center point and residual energy of the cluster, and the plot point and K-means (WSN suggests optimal clustering). We wan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KOCED protocol. We compare protocols to which the K-means algorithm, one of the latest machine learning methods, is applied, and present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