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성능

Search Result 6,20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Non-residential Building Envelope Remodeling for Energy Efficiency (비주거용 건물의 외피 리모델링을 통한 에너지성능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 Jang, Hyun-Sook;Lee, Sang-H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3 no.6
    • /
    • pp.3-12
    • /
    • 2012
  • The slowdown of private building industry resulted in growth of remodeling market as a way to improve energy performance. Remodeling is considered more cost-effective and eco-friendly approach for energy efficient building than new construction. Since 2008, Seoul has promoted Building Retrofit Project (BRP) preponderantly to attract energy-saving renovation by supporting building owners to switch building system into energy-saving system when they remodel their old buildings. According to 2012 press release, 254 Private sectors participated in this green building project and annually reduced 41000t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14000TOE, which also result in 7.5 billion won energy cost savings per year. The paper focuses on the building envelope remodeling as a way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Different components of the building envelope such as wall insulation, window, and shading, were applied to the baseline model and the comparison was analyzed to come up with the ideal solution. This study only assesses the building envelope as to suggest the way to redesign the better energy performing building. Offering solution focusing on the architectural feature is essential because it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and standard when remodeling a building for energy efficiency, especially, for the nonresidential buildings used as rental offices.

Safety Performance Evaluation of Technical Independence 5kW Class Fuel Cell System (기술자립형 5kW급 건물용 연료전지시스템 안전성능 평가)

  • Lee, Jungwoon;Kim, Younggy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82.1-82.1
    • /
    • 2011
  • 최근 국내에서 발생된 대규모 정전사태로 인해 안정적인 전력공급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가 커져, 지난 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다시 한번 분산전원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지고 있다. 여러 분산전원 중 연료전지는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에너지의 지속성이 우수하여 가장 안정적인 분산전원 형태의 하나이다. 이에 따라 국내의 경우 우수한 도시가스 인프라로 인해 건물용 연료전지라는 신기술에 대한 국민의 수용성은 점점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건물용 연료전지의 경우, 주로 1kW급 연료전지가 시범보급되어 각 가정에 설치되어지고 있으나, 상가, 주유소 및 편의점 등의 상업시설과 생활관 및 소형빌라 등의 집단 주거시설 같은 1kW급 보다 용량을 더 필요로 하는 응용처에 국내에서 개발된 5kW급 연료전지시스템이 적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제작된 5kW급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시스템의 보급이전에 안전성능 평가를 통해 시스템의 성능 및 안전성 평가결과를 제조사에 피드백 하여 5kW급 건물용 연료전지시스템의 조기 상업화에 앞장서고자 한다. 5kW급 연료전지시스템의 기술개발은 핵심부품인 연료변환기, 스택 및 BOP 기술의 경우 1kW급 연료전지시스템에 적용된 것과는 다른 기술이 필요하고, 단순한 scale-up 과정이 아닌 새로운 기술개발로 제품에 적용시켜야 하는 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연료변환기의 경우 연료 유량의 증가로 인하여 reformer, CO shift 및 Prox 반응기의 유체역학, 열교환 흐름 및 촉매반응 공학적으로 이론을 응용한 새로운 반응기 설계와 제작기술 확립이 선행되어 전체적인 시스템 제작 설계에 반영되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시스템 안전성능 평가를 위해 용량증대에 따른 안전성평가 항목을 검토하고, 5kW급 연료전지시스템평가를 수행하여 시스템의 제품성능, 작동성능 및 계통연계성능에서의 안전성을 확인하였고, 정전 유풍과 같은 이상조건 및 실외 환경에 대한 시스템의 안전성도 확인하였다. 또한 부하운전 조건을 75% 및 50%로 변화시켰을 때 빠른 응답시간과 안정적인 부하변동운전을 확인하였다.

  • PDF

Effects of the Composition of Nitrogen Gas and the Working Pressure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s and Unit Cell Performance of MCFC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양극가스내 질소 조성과 작동압력이 단위전지의 온도 분포 및 성능에 미치는 영향)

  • 김태진;안영주;주재백;정귀영;남석우;오인환;임태훈;홍성안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4 no.3
    • /
    • pp.354-363
    • /
    • 1995
  • 차세대 연료전지인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운전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운전변수와 단위전지 성능과의 관계를 살표보았다.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산화제로 공기를 사용하는 경우 양극가스에 질소가 포함된다. 그리고 연료전지의 작동압력을 높이면 출력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및 물질수지를 이용하여 양극가스내 질소 조성과 작동압력 변화에 따른 전지내의 온도분포 및 성능변화를 구하였다. 본 연구팀이 이미 발표한 용융탄산염 단위 연료전지의 전류밀도의 온도분포를 구하기 위한 수치모사가 이용되었다. 가스흐름의 형태는 십자류를 선택하였다. 양극가스내 질소의 영향은 냉각효과로 나타났다. 작동압력이 증가할수록 전지의 성능은 증가하였고, 기전력[mV]변화 대 압력[atm]의 상용대수값의 변화(즉, ΔV 대 Δ(log))의 1차함수 그래프 기울기는 79.9로 문헌상의 실험치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3-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of Adiabatic Performance for Vacuum Glazing (진공유리 단열 성능 3차원 수치해석에 대한 연구)

  • Park, Sang-Jun;Lee, Young-Lim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b
    • /
    • pp.511-513
    • /
    • 2011
  • 인구증가와 지속적인 산업발전으로 인하여 에너지 소비가 급증하게 되면서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특히 건물의 창문을 통해 많을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 이를 해결하고자 현재 로우이(low-emissivity)유리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태양광의 유입을 줄이는 단순한 방법으로 여전히 상대적으로 높은 열관류율을 갖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현재 단열성능이 좋은 고효율 진공유리가 개발 중이나 아직 가격 및 성능 등의 문제로 본격적인 보급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부압력, 지지기둥(spacer)의 길이 및 지름 등이 진공유리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 PDF

Design, Fabric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Fiber Optic Concentrators for Daylighting (자연채광을 위한 화이버 광학 집광기의 설계, 제작 및 성능 평가)

  • Han, Hyun-Joo;Kim, Jeong-Tai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7 no.4
    • /
    • pp.129-136
    • /
    • 2007
  • 자연광의 이용은 큰 어려움 없이 지속 가능한 에너지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고려되고 있다. 여러 개의 작은 반사경을 적용한 태양 추적식 자연채광 시스템은 비교적 단순한 메카니즘을 적용하여 그 성능과 효용성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제작, 설치 작동 그리고 활용성에서 상당한 이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은 mini-dish형 반사경(직경<30cm 이하)을 이용한 화이버 광학 집광기의 설계, 제작 및 작동 특성에 대하여 소개하고, 아울러 광추적 프로그램인 Photopia를 이용하여 그 성능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주요 구성 요소에서의 광추적에 의한 시뮬레이션 결과치는 실제 시스템의 설계 및 성능 예측에 중요한 기술적 데이터를 제공하며, 특히 실측이 곤란한 측정 면에서의 빛의 경로 해석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기술현황분석 - 전기적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제동장치 성능시험기 소개

  • Jeong, Dong-Su
    • 기계와재료
    • /
    • v.25 no.3
    • /
    • pp.130-136
    • /
    • 2013
  • 철도차량용 제동장치 성능시험기는 제륜자의 마찰계수, 마모량, 열반점 등의 물리적 성질을 실차와 유사한 환경조건에서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제륜자의 연구개발 및 성능평가의 목적으로 활용한다. 제륜자는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한다. 성능시험기는 철도차량의 주행 운동에너지에 해당하는 관성질량으로부터 회전 운동에너지에 해당하는 관성모멘트를 조성하여야 한다. 공용 시험기에서 각종 철도차량에 대한 관성모멘트를 기계적 관성모멘트인 플라이휠로 모의하기에는 용량도 크고 구조가 복합하여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관성모멘트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전기적 관성모멘트를 부가적으로 활용하는 기법을 제시하고 이를 적용한 시험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시험기의 외형적인 크기를 줄이고 또한 각종 철도차량에서 요구하는 정량적인 관성질량의 모의가 가능하리라고 사료된다.

  • PDF

Improved Energy Detector using Adaptive Thresholds in Cognitive Radio System (인지 무선 시스템에서 적응형 임계치를 적용한 개선된 에너지 검출기)

  • Kim, Jong-Ho;Hwang, Seung-Hoon;Oh, Min-Seo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3 no.10A
    • /
    • pp.949-955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mproved energy detector using adaptive thresholds in cognitive radio system, in order to compensate the weak points of the existing energy detector in the distorted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addition, by investigating the several parameters we analyze its performance.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e proposed method may get the performance gain, when the mobile speed is slow (3 km/h) as well as the false alarm probability is low ($P_f=10^{-1}$).

Construction of measuring equipment for the power performance and load measurement of KBP-750D (KBP-750D의 출력 성능 및 하중 측정을 위한 계측장치의 구성)

  • Jun, Hyung-Won;Gil, Kye-Hwan;Park, In-Soo;Kim, Young-Chan;Chung, Chin-Wha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312-314
    • /
    • 2006
  • 포항공과대학교의 포항풍력에너지연구소(PoWER Center)가 개발에 참여했던 750kW급 직접구동형 국산화 풍력발전시스템(KBP-750D)은 그 개발이 완료되어 2005년 말경 대관령의 풍력실증단지에 설치되었고 현재는 시험운전이 수행되고 있다. KBP-750D의 상용화를 위하여 출력성능 및 하중측정을 통한 실증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는 KBP-750D에 대한 출력성능 및 하중 측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계측장치가 설치되어 시험 측정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풍력발전시스템에 설치된 계측장치의 구성 및 설치 결과를 상세히 보고한다.

  • PDF

Analysis of Performance and Energy Efficiency of Core Mapping for Rasterization Algorithm using CUDA (CUDA를 이용한 Rasterization 알고리즘의 코어 매핑에 따른 성능 및 에너지 효율 분석)

  • Park, Min-Ho;Kim, Jong-My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140-14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병렬성이 뛰어난 벡터 기반의 Rasterization 알고리즘을 CUDA를 이용하여 코어 매핑에 따른 성능 및 에너지 효율을 분석해 보았다. 블록 사이즈를 동일하게 맞춘 후 블록의 차원을 변경 하는 방법과 블록 사이즈를 변경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모의실험결과, 블록 사이즈가 동일할 때는 오차 범위 내로 동일한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보였다. 아키텍처마다 모든 자원을 사용할수 있는 이론적인 블록 및 스레드 구조가 존재하지만 메모리 접근에 대한 최적화를 이루어 내지 못한다면 Amdahl's law에 의해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Effect of cooling patches on performance of photovoltaic-thermoelectric hybrid energy devices (쿨링패치 부착에 따른 태양광-열전 융합소자의 성능 연구)

  • Lee, Jaehwan;Cho, Kyoungah;Park, Yoonbeom;Kim, Sangsig
    • Journal of IKEEE
    • /
    • v.25 no.4
    • /
    • pp.716-720
    • /
    • 2021
  •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availability of a cooling patch to enhance the output power of a hybrid energy device (HED) comprising a photovoltaic cell (PVC) and a thermoelectric generator (TEG). The cooling patch attached on the back of the TEG drops the temperature of the PVC via the TEG and makes a large thermal gradient across the TEG under irradiances in a range of 200 to 1000 W/m2. The cooling patch is more effective for the output power of the HED as the irradiance increases, and it enhances the maximum output power of the HED to 42.1 mW at an irradiance of 1000 W/m2. The increment in the maximum output power reaches 27% owing to the attachment of the cooling patch that does not consume any p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