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비용

Search Result 1,72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부유식 브릿지형 수평축 조류발전 시스템 및 동향

  • Go, Jae-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5.08a
    • /
    • pp.87.1-87.1
    • /
    • 2015
  •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조류발전의 적지이며, 특히 진도 울돌목, 장죽수도, 맹골수도, 완도 횡간수도 등 서남해안에 조류에너지 여건이 좋은 상태이다. 조류발전시스템은 물속에 잠겨서 동작하는 형태이므로, 대형 고정 설비가 요구되어 높은 부대비용 발생과 이상유무 발생시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설비 및 설치비용을 줄이는 부유식 형태와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 설계를 적용한 실용적인 조류발전시스템 개발하며, 주요 적용처로 관심이 높아져 가는 에너지자립섬 적용을 목표로 섬내 전기 수요에 부합되는 15 kW급 조류발전을 공급하고자 하며, 이외 다양한 해양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 자립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Appropriate Rebate Level of DSM Program (DSM 프로그램의 적정 리베이트 수준에 관한 연구)

  • 이창호;조인승;박종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6.10b
    • /
    • pp.69-74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DSM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가장 일반적인 수행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리베이트의 적정수준 결정을 위한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였다. DSM 기술의 비용효과 분석에 있어서는 전력회사의 회피비용과 기술비용을 각각 편익과 비용지표로 산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RIM 및 TRC 지표에 의해 상이한 리베이트 수준에서의 시뮬레이션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였다. 적용 대상 프로그램으로는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고효율 조명프로그램의 전자식 안정기를 택하였다.

  • PDF

An Economic Feasibility of Household Fuelcell System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의 경제성평가)

  • Ryu, Seunghyun;Kim, Sudu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38.1-138.1
    • /
    • 2010
  • 정부는 그린홈 100만호 보급 사업에서 연료전지의 보급 목표를 2010년 200대 2011년 300대, 2012년 500대로 결정하였고 이에 따라 2012년까지 누적 보급대수가 1000대에 달할 전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상업화 되어있는 국내업체의 1kW급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을 2009년에 도입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경제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의 편의상 2009년 서울 지역 난방면적 $100m^2$을 기준으로 전제하였고, 대표가정의 전기와 열수요는 CES 소형 열병합 사업 타당성 분석 프로그램(GS파워, 2006)을 활용하여 구했다. 비용의 경우 기존 보일러의 설비가격은 60만원이며 연료전지시스템의 설비가격은 1200만원이다. 다만 연료전지의 고가 소모품인 스택은 2007년 발간된 한국에너지 기술연구원의 신재생에너지 경제성평가 보고서를 인용하여 스택의 수명은 5년, 교체비용은 1000만 원이나 5년마다 30%의 비용 하락을 전제하였다. 또한, 연료전지시스템의 수명을 20년으로 가정하였으며 할인율은 5.5%를 가정하였다. 한편, 가정용 연료전지의 최적 운전방안을 찾기 위해서 기존 설비를 이용한 비용과 전기추종운전, 열추종운전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뒤 세가지 결과를 시간대별로 비교함으로써 최적의 시간대별 운전방식을 선택하는 복합추종운전의 비용을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결과, 기존 설비 이용 시 에너지 비용은 1,934,864원으로 분석된 반면 연료전지를 이용한 전기추종은 1,123,691원, 열추종은 1,180,425원, 복합추종은 1,121,174원으로 계산되었다. 한편 편익면에서는 복합추종운전시 813,690원의 편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B/C ratio의 결과는 0.405로 현재로서는 연료전지 시스템이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정부는 연료전지의 보급목표와 민간 주도의 자생적인 시장형성을 촉진하기 위해서 단순 설치 보조금 이외에 연료전지시스템과 스택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저감 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을 촉진하는 정책 병행이 필요해 보인다.

  • PDF

E-Business and Transaction Cost: Applications to Environment and Glocalization (e-비즈니스와 거래비용: 환경과 글로컬화에의 적용)

  • Lee, Sang-Ho;Cho, Sum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4
    • /
    • pp.109-119
    • /
    • 2013
  • Recent lifeline with Internet and smart-phone is a new ICT-based revolution that has transformed the structure of economics and business activities in digital economy. This paper deals with some economic perspectives on the conceptual concerns on transaction costs and its applications to energy and environments, and glocalization strategies of e-business. First, we consider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offline and online channel transactions and categorize three different aspects of transaction costs in the purchasing process in both channels. Second, we examine the impacts of e-business that affect sustainable environments and provide some considerations on energy savings, product-process design, and logistics. Finally, we present som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posted by global e-business and outline the economics of networking in achieving enhanced performance and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glocalization strategies of e-business.

Fuel economy and Life Cycle Cost Analysis of Fuel Cell Hybrid Vehicle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연료 경제성 및 Life cycle 비용 분석)

  • Jung, Kwi Seong;Oh, Byeong So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13 no.4
    • /
    • pp.287-296
    • /
    • 2002
  • 현재 자동차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착실한 엔진은 수소를 이용한 연료 전지라고 판단된다. 연료전지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장치이다. 순수한 연료전지 차량과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고려하여야할 점은 효율, 연료경제성, 출력 특성 등이 있다. FUDS 싸이클 시뮬레이션 비교를 하면 하이브리드화가 순수 연료전지 차량 보다 효율이 높다. 이는 회생 제동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battery를 이용하여 연료전지를 효율적인 영역에서 작동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Life cycle 비용은 연료전지의 크기, 연료전지의 가격, 수소의 가격 등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다. 연료전지의 가격이 고가이면 하이브리드화가 유리하나, 연료전지의 가격이 400$/kW 이하가 되면 순수한 연료전지 자동차가 비용면에서 유리 하다.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Wind Power Generation on SMP (풍력발전이 SMP에 미치는 영향)

  • Ryu, Seung-Hyun;Um, Shin-Young;Kim, Su-Du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208-211
    • /
    • 2009
  • 제4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08-2022)과 제3차 신 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계획에 의거하여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통해 우선 구매되는 풍력발전이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였다. 제4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08-2022)에서 향후의 전원설비건설계획과 전력수요를 참고하고, 제3차 신 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보급계획에 의거, 풍력발전보급계획을 반영하였다. 발전변동비의 변화는 미래의 화석연료변동에 따를 것으로 보아 명목상승률 3%, 6%, 그리고 8%의 경우를 검토하였다. 현재는 풍력발전용량이 전체발전용량에 비해 미미해서 SMP에 큰 변화를 가져다주지 못하고 있지만 2014년에는 SMP가 결정되는 구간이 LNG발전기에서 유연탄발전기로 옮겨감에 따라 SMP차이가 최대 20.02[\/KWh](발전 비용 명목 상승률8%)에 달하다가 2020년에는 다시 0[\/KWh](발전비용 명목상승률8%)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Study on Technical Alternatives of Electricity Supply to Remote Islands and Inland (도서벽지 신재생 전력공급 기술적 대안분석)

  • Bae, Wi-Sup;Chung, Tae-Moon;Choi, Sung-Ho;Heo, Eun-Yeong;Cho, Dong-H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329-332
    • /
    • 2006
  • 현행 농어촌전화촉진법에 의한 10호이상 도서전화사업이 2006년 말까지 완료될 예정임에 따라 전국적으로 43개에 달하는 10호미만 미전화유인도서 및 벽지지역에 대한 전화사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0호미만 도서지역의 전화사업을 위하여 도서전화사업의 기본취지인 전력정책의 보편공급목표를 달성하면서 사회적 경제적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의 채택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도서지역이 채택하고 있는 기존의 디젤방식과 최근 활발한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는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방식의 기술적 옵션에 대한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10호미만 도서지역과 5호미만 벽지지역에 디젤엔진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할 경우 발생될 기술적, 경제적 비용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 소규모 도서지역과 벽지에서는 태양광이 디젤엔진보다 경제적인 대안으로 판명되었다.

  • PDF

Marginal Abatement Cost Analysis for the Korean Residential Sector Using Bottom-Up Modeling (상향식 모형을 이용한 국내 주거부문의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 분석)

  • Chung, Yongjoo;Kim, Hugon;Paik, Chunhyun;Kim, Young Ji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4 no.1
    • /
    • pp.58-68
    • /
    • 2015
  • A marginal abatement cost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abatement measures on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for the Korean residential sector. A bottom-up model using MESSAGE has been developed by defining the energy demand and constructing the reference energy system for the residential sector. A great amount of activity data has also been analyzed. Abatement potentials and related costs of individual abatement measures are investigated. The result from the marginal abatement cost analysis may provide general guidelines and procedures for the establishment of GHG abatement polices.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Additional Cost for the Certification of Zero Energy Apartment Buildings (공동주택 제로에너지빌딩 인증을 위한 적정가산비 산정에 관한 연구)

  • Sa, Yong-gi;Haan, Chan Hoo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0 no.5
    • /
    • pp.21-30
    • /
    • 2019
  • Environmental and energy issues such as abnormal climate and depletion of fossil fuel due to global warming have emerged as a critical task to threaten human survival. As a result, interest in the Zero Energy Building is increasing as it is an innovative building that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building energy reduction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In the market, however, the added cost of construction is a major stumbling block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Zero Energy certification. In this study, general private apartment complexes were selected for research, detailed elements for Zero Energy certification were presented based on the construction criteria for eco-friendly houses from the initial design stage, and the cost efficiency analysis of the components for certification were presented. It has been analyzed that only Grade 3 certification can be implemented in apartments due to technical level and physical limitations. Also, after reviewing the cost trend during the lifecycle cost, all expenses can be recovered within 13 years after completion only in the case of grade 5 of the Zero Energy Building. The additional costs proposed in the present study are reflected appropriately in the review of projects for apartments scheduled for order in the future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Zero Energy Building cert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