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법

Search Result 4,27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Prediction of Vibrational Responses of Automotive Door System Using Energy Flow Analysis in Medium-to-high Frequencies (에너지흐름해석법을 이용한 중고주파수 대역 자동차 도어 진동예측)

  • Park, Young-Ho;Hong, Suk-Yoon;Kil, Hyun-Gw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20 no.11
    • /
    • pp.1097-1102
    • /
    • 2010
  • In this paper, the energy flow analysis(EFA) of the body-in-white door of a real automotive was performed using the energy flow finite element method(EFFEM) to effectively predict the vibrational responses of built-up structures in the medium to high frequency range. To increase the validity of EFA results, the structural hysteresis damping loss factor was measured by the experiment using the concept of statistical energy analysis(SEA). As the excitation frequency increases, the predicted results simulated with EFFEM generally agree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알카놀아민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흡수평형

  • 노승욱;유기풍;민병무;이종섭;손재익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5.11a
    • /
    • pp.33-37
    • /
    • 1995
  • 최근 문제시 되고있는 지구온난화 현상은 태양으로부터 발산된 태양파 중 지구 표면에 흡수되지 않은 일부 반사 에너지파와 지구표면 자체에서 발산하는 에너지파가 온난화가스들에 의하여 대기권 밖으로 발산되지 못하고 흡수되어 대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에 기인한다. 이산화탄소는 이와같은 지구온난화 현상에 절반 이상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날로 증가하는 에너지 소모량에 의하여 대기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1988년 토론토 회의 이후, 각종 국제회의에서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문제가 논의되고 있으며, 연소 배 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각종 지구온난화 가스의 분리 회수기술로는 흡수법, 흡착법, 막분리법, 산소연소법 등이 개발되어 있으나, 이산화탄소의 경우 상용화 되어있는 분리기술은 흡수법으로서, 알카놀아민을 이용한 화학흡수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중략)

  • PDF

일본의 고에너지 속도가공 기술과 연구동향

  • 근안수명
    • Journal of the KSME
    • /
    • v.31 no.4
    • /
    • pp.380-388
    • /
    • 1991
  • 고에너지 속도 가공법 중에서 주요한 것을 발췌하여 그 개요와 금후의 전개에 대하여 기술하 였다. 폭발압착과 같이 실제로 활용되고 있는 기술로부터, 폭약 또는 전자기력에 의한 분말압축 성형과 같은 개발도상의 기술까지 고에너지 속도가공법의 범주에 속하는 기술분야는 광범위하다. 관용의 가공법에 비하면 역사도 짧고, 실용화에 있어서 해결하여야 할 문제도 많이 남아있다. 현재 실용화를 위한 연구도 착실히 성과를 얻고 있으며, 고에너지 속도 가공법의 앞날은 밝다고 할 수 있다. 고에너지 속도가공의 진보와 발전을 위하여는 가공기술에 관한 연구와 함께, 재료가 고속변형을 받을 때의 거동과 특성에 관한 연구를 함께 진행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후자의 연구에 관하여 언급하지 않았으나, 고속재료 시험법과 그 평가법, 소성도 전파 해석, 계측법 등 많은 연구 성과가 매년 보고되고 있다.

  • PDF

신재생 에너지 생산량 예측 알고리즘

  • Kim, Ji-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389-392
    • /
    • 2012
  • 에너지관리 지원 서비스는 공장 내에서 일어나는 전력발전 및 전력할당을 데어터 분석 기법 등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그 중에서도 태양광,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관리 시스템은 비용절감 뿐만 아니라 환경보호 측면에서도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이들 친환경 에너지를 제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발전량을 정확히 예측할 필요가 있지만 현재의 시스템에는 가장 기본적인 예측법인 최근접 이웃법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접 이웃법의 경우 노이즈와 아웃라이어에 민감하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들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보다 정교한 예측법이 필요하다.

Microwave 에너지를 이용한 오염 토양에서 오염 물질의 제거 연구

  • 이기환;이태호;전기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21-222
    • /
    • 2001
  • Phenol에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토양을 복원하기 위하여 soxhlet 추출법과 microwave 에너지 추출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phenol에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soxhlet 추출법으로 phenol을 회수하고자 할 때는 오염된 지 36 시간 전후에 메탄올과 물을 일정 비율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최고의 회수율을 가지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그 회수율은 약 75 %에 이른다. 그리고 microwave 에너지 추출법을 사용할 경우 phenol에 오염된 지 36 시간 전후로 추출 용매는 acetone을 사용하여 추출 시간 60 초 동안 microwave 에너지를 주사하여 추출하는 것이 제일 좋은 회수율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그 회수율은 약 85%였다. 따라서 오염 토양으로부터 오염 물질 제거시 soxhlet 추출법보다는 microwave 에너지 추출 방법이 보다 경제적이며 우수한 추출 효율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PDF

Evaluation of Blast Pressure Generated by an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폭발성 물질의 폭발에 따른 폭발압력 평가)

  • Yoon, Yong-Kyun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36 no.4
    • /
    • pp.26-34
    • /
    • 2018
  • Explosions of vapor cloud formed due to the leakage from installations with flammable fuels have often occurred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In this study, TNT equivalency method and Multi-Energy method for vapor cloud explosion blast modelling are described and demonstrated in a case study. As TNT equivalency method is simple and direct, it has been widely used for modelling a vapor cloud explosion blast. But TNT equivalency method found to be difficult to select a proper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combustion energy produced from the vapor cloud explosion and the equivalent amount of TNT to model its blast effects. Multi-Energy method assumes that the strength of vapor cloud explosion blast depends on the layout of the space where the vapor cloud is spreading. Strictly speaking, the explosive potential of a vapor cloud is dependent upon the density of the obstructed regions. In this study, Flixborough accident are analyzed as a case study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TNT equivalency method and Multi-Energy method. TNT equivalency method and Multi-Energy method found to be applicable if coefficient of TNT equivalency and coefficient of strength of explosion blast are selected properly.

비진공법을 이용한 CIGS광흡수층의 합성과 특성평가

  • Gwon, Yeong-Eun;Park, Jun-Tae;Im, Gi-Hong;Choe, Hyeon-Gwang;Jeon, Min-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12.1-312.1
    • /
    • 2014
  • Chalcopyrite계 화합물 반도체인 $Cu(InGa)Se_2$ (CIGS)는 직접천이형 에너지 밴드갭과 전파장 영역에 대하여 높은 광흡수계수($1{\times}$[10]^5/cm)를 가지므로 두께 $1{\sim}2{\mu}m$인 박막형태으로 고효율의 태양전지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박막공정의 저가 가능성을 나타내면서 전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와 관심을 받고 있고,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결정질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만한 재료로 주목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CIGS박막형 태양전지 구성은는 유리를 기판으로 하여 5개의 단위 박막인 Mo 후면전극, p형 반도체 CIGS 광흡수층, n형 반도체 CdS 버퍼층, doped-ZnO 상부 투명전극, $MgF_2$ 반사방지막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중에서 태양전지의 에너지 변환효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구성된다. CIGS 광흡수층의 제조는 크게 진공법과 비진공방법으로 나뉜다. 현재까지 보고된 문헌에 따르면 CIGS 박막형 태양전지의 경우에 동시증발법으로 20.3%의 에너지 변환효율을 보였지만,는데, 이는 진공장비 특성상 공정단가가 높고 대면적화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비진공법을 이용하여 광흡수층 제작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진보할 여지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반면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결정질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만한 방법으로 주목 받고 있는 비진공을 이용한 저가공정은 최근 15.5%의 에너지 변환효율이 보고 되었다. 비진공법에는 전계를 이용한 증착법 및 스프레이법으로 나뉘며, 이들 광흡수층 재료의 화학적 합성은 III족 원소인 In, Ga의 함량비에 따라 광흡수층의 에너지 밴드갭(1.04~1.5 eV)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진공법에 사용되는 CIGS재료의 화학적 합성조건을 변화시켜 III족 원소의 조성비 조절을 시도하였다. CIGS 분말 시료의 입자 형태와 크기를 FE-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화합물의 성분비를 EDX 및 XRD 분석을 통해 Ga 함량에 따른 구조적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 PDF

Analysis of development trends for the $CO_2$ separation and recovery technologies ($CO_2$ 분리회수 기술 동향 분석)

  • 우광제;황재동;정석용;문길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153-154
    • /
    • 2001
  • 온실가스 감축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대량의 $CO_2$ 감축을 목적으로 다양한 기술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온실가스 저감기술을 분류하는 방법으로 에너지 생산/사용에 대한 효율 향상 기술과 발생되는 온실가스를 근본적으로 억제 혹은 발생 온실가스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기술로 크게 분류되고 있다. 우선, 에너지에 대한 기술 중에는 에너지절약기술과 저탄소 에너지 사용(원자력, 신재생에너지, 천연가스)을 위한 대체에너지 및 청정에너지기술이 있으며, 발생된 온실가스 처리에 대한 분리회수 기술로는 흡착법, 흡수법, 막분리법, 막흡수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중략)

  • PDF

Earthquake Design Method for Structural Walls Based on Energy Dissipation Capacity (에너지 소산능력을 고려한 전단벽의 내진설계)

  • 박홍근;엄태성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7 no.6
    • /
    • pp.25-34
    • /
    • 2003
  • Recently, performance-based analysis/design methods such as the capacity spectrum method and the direct displacement-based design method were developed. In these methods, estimation of energy dissipation capacity of RC structures depends on empirical equations which are not sufficiently accurate, On the other hand, in a recent study, a simplified method for evaluating energy dissipation capacity was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based on the evaluation method, a new seismic design method for flexure-dominated RC walls was developed. In determination of earthquake load, the proposed design method can address variations of energy dissipation capacity with design parameters such as dimensions and shapes of cross-sections, axial force, and reinforcement ratio and arrangement, The proposed design method was compared with the current performance-based design methods.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wa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