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대사

Search Result 52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tudies on Development of Optimum Laying Hen Diet during Summer Period (산란계에 대한 하절기 사료 개발에 관한 연구)

  • 오세정;강경래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15 no.3
    • /
    • pp.229-246
    • /
    • 1988
  •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metabolizable energy(ME) levels on layer performance during summer period. Total 480 ISA Brown egg-type layers ageing 49 weeks housed 2 birds per cage with 4 replictes of 20 bird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Mean environmental temperature over experimental period ranged from 22.3$^{\circ}$to 29.5$^{\circ}C$. The treatments consisted of dietary ME levels of 2500, 2700, 2900kcal/kg of diet containing 15% and 17% protein, respectively, to provide $3{\times}2$factorial design. As metabolizable energy level increased form 2500 to 2900 kcal/kg of diet, daily feed and protein intake, egg production. egg weight, egg mass decreased, but the reverse was true for the daily energy intake, energy requirement and feed costs per kg egg. Feed conversion(kg feed/kg egg) and viability were not affected by the dietary energy level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gg production, protein requirement per kg egg, and egg weight between those hens fed 2500 kcal ME/kg diets and those fed 2700 kcal ME/kg diets, and no difference was found in egg weight between those fed 2700 kcal ME/kg and those fed 2900 kcal ME/kg, either. In addition, no specific trend was observed in protein requirement per egg by the different level of metabolizable energy in diets. On the other hand, as dietary protein level increased from 15 to 17%, daily protein in-take, egg production, egg weight, egg mass, and protein requirement and feed costs per kg egg increased, but feed and energy requirement per kg egg decreased,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aily feed and energy intake and viability were observed among dietary protein levels. It was concluded that metabolizable energy level of 2500 kcal/kg of diet and 17% dietary protein level were considered to be adequate to support the optimum productivity of layers during summer period.

  • PDF

부로일러 초생추에 있어서 박류의 대사 에너지 측정

  • 김춘수;이남형
    • KOREAN POULTRY JOURNAL
    • /
    • v.5 no.1 s.39
    • /
    • pp.100-107
    • /
    • 1973
  • 국산대두박, 수입대두박, 호마박, 채종박, 고추씨박, 임박의 대사에너지가를 4주령의 부로일러 285수를 가지고 지시물법(Indicator method)으로 측정했는데 이때 기본사료는 관용사료를 사용했으며 시험자료의 대치수준은 풍건물 상태로 10$\%$, 20$\%$, 30$\%$였다. 이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Chronmic oxide의 표준 커브는 430mm파장에서 Y=0.430 X였다. 2. 국산대두박의 ME가는 2.405 Kcal/gm, 수입대두박은 2.477 Kcal, 임박은 1,995 K cal, 채종박은 1,682 K cal, 호마박은 1,783 K cal, 고추씨박은 1,290 K cal였다. 3. 질소를 보정한 대사에너지가와 질소를 보정 안한 대사에너지가는 r=0.986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시험사료의 대치수준은 대사에너지가에 유의적인 영향이 없었다. 5. 증체량은 대두박구가 호마박구, 고추씨박구에 비해 우수했으며(p<0.05)임박, 채종박구와는 유의차가 없었다. 사료효율은 대두박구, 채종박구, 임박구가 호마박구, 고추씨박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좋았고 (p<0.05) 각 박류의 대사에너지가와 사료효율과는 회귀관계를 나타났다.

  • PDF

대사에너지가에 따른 재래흑돼지육의 냉장 중 물리적 변화

  • Gang, Seon-Mun;Kim, Yong-Seon;Lee, Se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10a
    • /
    • pp.160-164
    • /
    • 2004
  • 본 연구는 사료 내 대사에너지가와 성별에 따라 재래흑돼지육의 냉장 저장 중 발생되는 물리적 변화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pH는 저장일, 대사에너지가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드립감량과 가열감량은 저장기간동안 증가하고, 대사에너지가가 높을수록 낮게 나타났으며, 거세돈에서 낮게 나타났다. 저장기간동안 적색도는 감소하였지만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그리고 대사에너지가가 높을수록 적색도와 황색도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거세돈이 미경산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대사에너지가에 따른 조직감의 차이는 없었으나 거세돈이 미경산돈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 PDF

양식넙치의 총대사활성에 미치는 수온변동의 영향 1. 순화수온에 따른 표준대사율의 변동

  • Jin, Pyung;Shin, Eun-Kyung;Lee, Jung-A;Kim, Kyung- 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65-466
    • /
    • 2001
  • 동물의 대사기능은 체내 주요 생리기능의 지표로서 체내의 물질대사 또는 에너지 대사의 결과를 반영한다 체내의 모든 생리적 과정은 동물과 환경간에 있어서 물질 및 에너지의 교환과 체내의 물질 및 에너지의 전환을 통해서 수행된다. 따라서 생체의 대사작용은 생존을 위한 역원적 중추기능이며 생체의 대사활성은 동물체의 기능적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관련된 생리기능의 총체적 척도가 된다. (중략)

  • PDF

사료의 대사 에너지 측정 및 대사 에너지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최진호
    • KOREAN POULTRY JOURNAL
    • /
    • v.5 no.1 s.39
    • /
    • pp.95-99
    • /
    • 1973
  • 사료중에 포함된 총에너지는 이것이 전량 동물에게 이용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 형태로서 손실이 일어나는 것이다. 분과 뇨 그리고 열량증가로서의 에너지의 손실을 공제하고 실제로 동물에게 이용되는 에너지를 정미 에너지라고 하며 정미에너지는 다시 생산과 유지에 쓰이기 위한 것이다. 동물에게 실제로 이용되는 유효에너지인 정미에너지가를 추정하는데는 가소화에너지, 대사에너지, 생산에너지가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그중에서 구하기가 비교적 쉽고 유효에너지의 훌륭한 척도가 될 수 있는 대사에너지(ME)의 개념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대사에너지의 약점은 동물의 체내에서 일어나는 에너지의 손실중 열량증가(Specific dynamic action)로서의 손실을 고려하지 않았다는데 있으며 이로 인해서 몇가지 문제점들이 발견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성장중의 병아리를 대상으로 ME를 추정하는 방법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창안되었으며 실제로 많은 단미사료의 ME함량에 대한 데이타는 손쉽게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산란계를 대상으로 한 시험은 많지 않았으며 병아리로부터 얻어진 데이타를 산란계에 적용하고 있는 실정인바, 어떤 사료에 대해서는 병아리와 산란계 사이에 이용성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는 보다 많은 단미사료에 대해서 산란계로부터 직접 측정하여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생물학적인 사양시험을 통해서 직접 측정된 ME가와 그 사료의 화학적 성분함량과의 관계를 조사함으로써 화학적 조성으로 ME가를 추정하는 방법의 개발은 그 추정치가 반드시 정확하지는 않다 하더라도 사전 지식이 없는 새로운 단미 사료에 부딛쳤을때 그 사료의 대략적인 에너지가를 짐작하는데 도움을 준다. 각종 단미사료의 ME함량에 대해서 우리나라에서 측정된 자료가 많지 않고 대부분 외국의 데이타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인바 앞으로는 우리나라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많은 단미사료에 대한 ME가 직접 국내에서 측정, 이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대사에너지가가 재래흑돼지육의 지방함량, 지방산화도,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 Lee, Seong-Gi;Gang, Seon-Mun;Yang, Seong-Un;Chae, Byeong-Jo;Gang, Cha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10a
    • /
    • pp.165-168
    • /
    • 2004
  • 본 연구는 사료 내 대사에너지가와 성별이 재래흑돼지육의 지방함량과 지방산화도,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지방함량과 냉장 저장과 모델시스템에서의 TBARS는 대사에너지가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거세돈이 미경산돈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관능검사에서도 대사에너지가가 높을수록 맛, 풍미, 조직감, 다즙성, 종합적 기호도 모두 대사에너지가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거세돈에서 미경산돈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근육내 지방함량이 높을수록 지방산화가 되지만 관능적 기호도는 증가하였다.

  • PDF

Effects of Varying Levels of Dietary Metabolizable Energy and Crude Protein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Layer-type Growing Male Chicks (사료 내 대사 에너지 및 조단백질 수준이 산란종 수평아리의 성장성적과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 Yun, Jeong-Geun;Kim, Hong-Rae;Oh, Sung-Taek;Zheng, Lan;Choi, Young-In;Choo, Yun-Kyung;An, Byoung-Ki;Lee, Sung-Ki;Kang, Chang-Won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39 no.2
    • /
    • pp.87-95
    • /
    • 2012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ying levels of metabolizable energy (ME) and crude protein (CP)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layer-type growing male chicks. Nine hundred 1-d-old Hy-Line Brown male chicks were randomly allocated to 30 pens in a $2{\times}3$ factorial design.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ed 2 levels of ME (2,800 kcal/kg and 2,950 kcal/kg) in combination with 3 levels of CP (17%, 18.5%, and, 20%). A significant interaction of ME and CP on feed intake was observed (p<0.05). No interaction was observed between ME and CP for 53 d BW gain or FCR, which improved linearly with dietary CP levels (p<0.05). A significant interaction or tendency was observed between ME and CP levels. The intake of ME for 1 g BW gain was linearly decreased with increasing CP levels (p<0.001). The intake of CP per bir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low ME (2,800 kcal/kg) treatment than that of the high ME treatment (2,950 kcal/kg) (p<0.05), and dietary CP level had more influence on CP intake for gram BW gain than level of ME. The relative weights of liver, spleen, breast meat and, leg were not influenced by the dietary treatments. Serum BUN, albumin, creatinine, and the activities of GOT and GPT were not influenced significantly by the diet treatment. In conclusion, the growth performance in layer-type male chicks was linearly increased when the level of dietary CP increased. The ME and CP did not affect th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blood profiles. Therefore, the optimum levels of dietary ME and CP to improve the growth were 2,800 kcal/kg and above 18.5% in layer-type growing male chicks,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