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엉치엉덩관절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초

X-ray 엉치엉덩관절 촬영법을 통한 류마티스 및 퇴행성관절염 진단 (The Diagnosis of Rheumatologic and Degenerative Arthritis by X-ray Sacroiliac Joint Projection)

  • 이준행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97-402
    • /
    • 2018
  • 본 연구는 엉치엉덩관절의 골절, 탈구, 엉치엉덩 퇴행성관절염 진단을 위한 가장 좋은 영상을 얻기 위해 골반 팬톰과 엑스선관을 각도 변화를 주어 엉치엉덩관절의 Joint space 가장 잘 나타내는 영상을 얻어 방사선사에게 주관적 평가를 받아 보았다. 평가 결과 결론으로 엉치엉덩관절염과 퇴행성 관절염 발견을 위한 단순촬영에서는 엎드린상태에서 촬영은 검사반대쪽 엉덩이를 $25^{\circ}{\sim}30^{\circ}$ 들어올리고 엑스선관을 앞엉덩뼈가 시에서 2.5 cm 안쪽을 지나는 시상면에 대해 수직촬영 하고 누운자세에서는 검사쪽 엉덩이를 $25^{\circ}{\sim}30^{\circ}$ 들어 올리고 위앞엉덩뼈가시가 중앙에서 위앞엉덩뼈가시가 중앙에 대해 엑스선관 각도를 발쪽으로 $5^{\circ}$ 촬영 하며 반드시 양쪽 엉치엉덩관절후전사방향(RAO,LAO) 및 전후사방향(RPO, LPO) 모두 촬영을 하게 되면 관절염 진단을 내리는데 있어 많은 도움이 되리라 본다.

골반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엉치엉덩관절 통증을 동반한 만성요통환자의 통증과 엉덩관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lvic Stability Exercise Program on Pain and Hip Joint of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involving Sacroiliac Joint Pain)

  • 강정일;최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331-338
    • /
    • 2013
  • 본 연구는 엉치엉덩관절 통증을 동반한 만성 요통환자 52명을 대상으로 6주 간 골반운동프로그램 및 전통적 물리치료를 병행한 실험군 27명과 전통적 물리치료만을 중재한 대조군 25명을 무작위 임상 표본 추출 하였다. 두 군 모두 통증의 정도를 알아보는 오스웨스트리-요통장애지수검사와 보행 시 엉덩관절의 각도분석을 한 후, 집단별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오스웨스트리-요통장애지수검사와 보행 시 엉덩관절의 각도분석을 비교하여 골반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엉치엉덩관절 통증을 동반한 만성요통환자의 통증과 엉덩관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요통의 변화는 집단 내와 집단 간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엉덩관절 각도비교에서는 실험군내 좌측 엉덩관절에서 중간디딤기, 말기디딤기, 유각전기, 초기흔들기와 우측 엉덩관절의 중간디딤기, 말기디딤기, 유각전기, 초기흔들기에서 차이가 있었다. 대조군 내 좌측 엉덩관절에서는 중간디딤기, 말기디딤기, 초기흔들기와 우측 엉덩관절의 체중전달기, 중간디딤기, 말기흔들기, 유각전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골반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통증을 포함한 요통기능장애수준에 효과적이고 보행 시 입각기와 유각기 동안 엉덩관절의 굽힘과 폄이 리듬 있게 이동하여 보행이 대칭적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절가동술과 깔창적용이 엉치엉덩관절통증환자의 통증과 골반경사각, 족저압에 미치는 효과: 무작위배정예비임상시험 (Effect of Joint Mobilization and Insole on Pain, Pelvic Angle, and Foot Pressure in Patient with Sacroiliac Joint Pain :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 임재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83-392
    • /
    • 2020
  • 이 연구는 엉치엉덩관절 통증환자에게 관절가동술, 깔창착용 보행훈련, 그리고 관절가동술과 깔창착용 보행훈련 중재를 실시하고 환자의 통증, 골반 각 및 족저압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였다. 무작위로 24명의 대상자를 관절가동술군(n=8), 깔창착용보행훈련군(n=8) 또는 관절가동술과 깔창착용보행훈련군(n=8)으로 배정하여, 하루에 30분씩, 일주일에 2번씩 4주 동안 중재하였다. VAS를 사용하여 통증을 평가하고 골반 각도를 Palpation Meter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족저압 (전 / 후비)을 Gateview AFA-5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중전·중재 4주 후에 실시하였다. 모든 그룹은 그룹 내 전·후 비교에서 유의한 통증 감소를 보였다(p<.01). 골반 각도에서 관절가동술군은 전방 기울기에서만 통계적으로 개선되었고, 관절가동술과 깔창착용 보해훈련군은 앞쪽 및 뒷쪽기울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으며(p<.01), 깔창착용 보행훈련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5). 또한 관절가동술과 깔창착용 보행훈련군은 족저압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1). 모든 중재는 엉치엉덩관절 통증환자의 통증개선에 효과가 있었으며, 관절가동술과함께 깔창착용 보행훈련을 한 군이 골반각도와 족저압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 연구는 엉치엉덩관절통증이 있는 환자뿐만 아니라 만성 허리통증 및 족저압 입력 문제가 있는 환자의 부상 예방, 자세교정, 그리고 보행훈련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변형된 엉치엉덩관절 테이핑의 요통 효과 사례보고 (The effect of Modified Sacroiliac Joint Taping on Back pain_A case report)

  • 조일영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1-25
    • /
    • 2024
  • 본 연구는 엉치엉덩관절의 불안정성에 초점을 맞춘 테이핑 방법이 요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잠재 중재 방법인지에 대해 고려해 보고자 한 사례연구이다. 해당 사례는 58세 과거 디스크탈출증 및 협착증으로 인해 허리 수술 병력이 있는 남성이 지속적인 통증 감소를 위해 참여한 테이핑 교육 세션에서 나타난 주목할 만한 결과를 사례로 정리하였다. 중재 방법으로 테잎을 엉치뼈 2~4사이에 가시결절로부터 양쪽으로 80%< 장력으로 늘려 엉치엉덩관절을 지나게 붙이고 이후 끝 쪽은 양쪽 약 45° 방향으로 올려 중간볼기근(gluteus medius m.) 쪽으로 향하게 붙였다. 그 다음 엉덩뼈능선(iliac crest)로부터 척추기립근을 따라 10번째 갈비뼈 수준까지 이르는 양쪽 테이핑 방법이 적용되었다. 해당 중재를 통해 VAS와 ODI 두 검사도구로부터 VAS는 5에서 0, 장애지수는 13에서 0으로 각각 기록되는 긍정적 사례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S.O.T CATEGORY II BLOCKING이 복근지구력과 어깨 통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CROOCCIPITAL TECHNIQUE CATEGORY II BLOCKING ON ABDOMINAL MUSCLE ENDURANCE AND SHOULDER PAIN)

  • 신원선;조일영;김가은;박순권;차경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551-558
    • /
    • 2012
  • 본 연구는 카이로프랙틱 기법 중 누운 자세에서 시술되어지는 S.O.T category II 골반 블록 중재가 골반의 불안정으로 인한 기울어짐을 회복시킴으로써 이에 따른 어깨통증을 줄이고 복근의 지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 실험을 위해 엉치엉덩관절의 불안정을 가지고 있으며 허리의 통증이 있는 총 50명의 참여자가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 25명씩 무작위 할당되었다. 실험군은 category II 블록 중재를 받았고, 대조군은 거짓블록 중재를 받았으며, 이들 두 집단을 통해 중재 전, 중재 후, 그리고 중재 2주 후에 복근지구력과 어깨통증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O.T category II 골반 블록 중재 후 실험집단에서 복근지구력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중재가 끝난 2주 후에도 유지 되었다. 또한 어깨통증의 경우에도 실험집단에서 통증의 감소를 보였으며 역시 중재가 끝난 2주 후에도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S.O.T category II 골반 블록 중재는 골반의 안정성을 유도하여 복근지구력을 증진시키고, 어깨통증을 감소시키며 중재 후에도 지속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 골반의 불안정성이 원인이 되는 어깨통증이나 복근지구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중재법으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엉치엉덩관절 통증과 임상 질환에 대한 생체역학 (Biomechanics of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and Clinical Disease)

  • 정성관;이우형;김경환
    • PNF and Movement
    • /
    • 제8권1호
    • /
    • pp.41-50
    • /
    • 2010
  • Pain originating from the sacroiliac joint(SIJ) has been associated with poor performance, yet specific diagnosis of sacroiliac dysfunction(SID) has been difficult to achieve. Clinical presentation of SID appears that pain and poor performance is responsive to local analgesia of periarticular structures with poorly defined pathology, and poor performance with bony pathological changes present as a result of chronic instability. Previous research indicates that physical examination cannot diagnose SIJ pathology. Earlier studies have not reported sensitivities and specificities of composites of provocation tests known to have acceptable inter-examiner reliability. Tests based on mechanics as manual provocation for SIJ pain have formed the basis of tests used to diagnose SIJ dysfunction. In this review summ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sacroiliac tests with a model of examin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ID. Further research is warranted to determine whether SIJ tests is reliable means of evaluating innominate impairments.

  • PDF

엎드린 자세에서의 다리이음뼈 블록중재가 넙다리뒤근육 이완과 호흡시 엉치뼈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ne pelvic blocking on hamstring muscle relaxation and sacral movement)

  • 차경수;김가은;정기훈;정승은;박순권;조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397-404
    • /
    • 2012
  • 엉치엉덩관절의 고정(sacroiliac joint fixation; SIJF)은 넙다리뒤근육의 과긴장을 일으키고, 호흡시 나타나는 엉치뼈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본 연구는 카이로프랙틱 기법 중 엎드린 자세에서 시술되어지는 S.O.T category I 골반 블록 중재가 SIJF를 완화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발꿈치긴장 검사를 통해 SIJF를 가진 26명의 참가자를 선정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기 13명씩 무작위 할당하였다. 실험군은 category I 블록 중재를 받았고, 대조군은 거짓블록 중재를 받았다. 중재 전과 후에 넙다리뒤근육의 긴장 정도(체전굴 검사 이용)와 호흡시 엉치뼈의 움직임을 측정하였다. 발꿈치긴장 검사 결과 실험 군에 속한 참가자는 모두 음성반응을 보인 반면, 통제군의 참가자들은 양성반응을 보여 블록중재가 SIJF를 완화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공분산분석(ANCOVA)에서 블록중재에 의해 체전굴 측정치[F(1, 23)=7.73, p<.05]와 호흡시 엉치뼈의 움직임[F(1, 23)=7.07, p<.05] 모두가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제군에서는 중재 전과 후의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는 비침습적 중재법인 S.O.T category I 블록 기법이 SIJF와 관련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임을 시사한다.

엉치엉덩관절 기능부전에 대한 복합 도수치료 프로그램이 여성의 생리통, 관절 통증, 엉덩관절 가동 범위에 미치는 영향: 단일 사례 보고 (Effects of a Complex Manual Therapy Program for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on Women's Menstrual Pain, Joint Pain, and Hip Range of Motion: A Single Case Study)

  • 최운호;이승병;함석찬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85-99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omplex manual therapy program on hip and knee pain occurring together with menstrual pain and iliotibial band tightness in a woman with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over a period of 3 months by dividing the treatment process into three sequential stages. Intensities of menstrual pain, hip pain, and knee pain, and hip range of motion (ROM) in the participant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at the end of each stage, and a modified intervention was applied according to results of assessments after each stage. Results: There was a decrease in the intensity of menstrual pain after the first and third stages of treatment, and there were reductions in the intensities of hip and knee pain after the third stage. Hip ROM was rather decreased after the second stage, but it was increased after the third stag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reatment of the instability and positional fault of sacroiliac joint can relieve hip and knee pain, improve hip ROM, and alleviate primary dysmenorrhea in patients with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 PDF

선 자세에서 엉치엉덩관절뼈 기준점 촉진의 검사자간, 검사자내 신뢰도 (Inter-Examiner and Intra-Examiner Reliability of Sacroiliac Anatomical Landmarks Palpation Test in Standing Posture)

  • 임범창;이정아;이충휘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1-6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ter- and intra-examiner reliability of the sacroiliac joint (SIJ) anatomical landmarks palpation. Two physical therapists and one doctor specializing in rehabilitation examined 22 asymptomatic subjects. They examined anterior superior iliac supine (ASIS), posterior superior iliac supine (PSIS) and iliac crest (IC). For the assessment of intra-examiner reliability, 3 examiners repeated the measurements 3 times over a 2-week interval. Kappa (Kg) yielded intra-examiner reliability that ranged between slight to fair for the ASIS (Kg=.06 to .26; mean Kg=.19), and slight for the PSIS(Kg=-.04 to .18; mean Kg=.07) and slight to fair for the IC (Kg=.06 to .32; mean Kg=.21). Inter-examiner reliability was slight (ASIS Kg=.13; PSIS Kg=.05; IC Kg=.14).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ing SIJ anatomical landmarks using palpation and observation as an indication of SIJ dysfunction still remains questionable. Before this test can be relied upon as an accurate indicator of SIJ dysfunction, it must undergo further research. This further research needs to examine not only reliability, but also validit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 PDF

요통환자의 엉치엉덩관절 기능부전에 대한 도수교정 후에 하지의 생체역학적인 변화 (Biomechanical changes in lower quadrant after manipulation of low back pain patients with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 오승길;유승희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93-906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pelvic tilt. range of motion(ROM) of hip rotation, and leg length difference before and after manipulation and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of each variables after manipulation of sacroiliac pint in 31 low back pain patients(11 males, 20 females) with sacroiliac pint dysfunction. The sacroiliac pint of patients was manipulated on the side of anterior pelvic tilt, using the technique described by Stoddard(1962) and Greenmann (1996). I used this technique because it usually eliminated sacroiliac Pint dysfunction in one treatment session. SPSS for window computer syste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lso t-test was performed for comparison of the variables before and after manipulation,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changes of each variables after manipulation.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pelvic tilt after manipul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mean=$2.79^{\circ}$) compared with the pelvic tilt before manipulation(p=.001). 2. The PROM of hip internal rotation ipsilateral to anterior pelvic tilt after manipul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mean = $1.88^{\circ}$) compared with hip internal rotation before manipulation (p=.008). The PROM of hip internal rotation ipsilateral to posterior pelvic tilt after manipulation significantly increased(mean = $1.29^{\circ}$) compared with hip internal rotation before manipulation (p=.029). 3. The PROM of hip external rotation ipsilateral to anterior pelvic tilt after manipulation significantly increased(mean=$2.42^{\circ}$) compared with the hip external rotation before manipulation(p=$2.42^{\circ}$) compared with the hip external rotation ipsilateral to posterior pelvic tilt after manipulation significantly decreased(mean = $1.84^{\circ}$) compared with the hip external rotation before manipulation (p=.008). 4. Leg length difference after manipulation significantly decreased(mean=2.15 mm) compared with leg length difference before manipulation (p=.008).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 fair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hange in leg length difference and change in anterior pelvic tilt after manipulation(p=.009). 5.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assess differences of the variables after manipulation. A fair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hange in leg length difference and change in anterior pelvic tilt after manipulation(r=.462, p<.01). A fair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hange in anterior pelvic tilt and change in hip internal rotation ipsilateral to anterior pelvic tilt(r=.397, p<.05) and between change in anterior pelvic tilt and change in hip external rotation ipsilateral to anterior pelvic tilt(r=.516, p<.01). A fair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hange in posterior pelvic tilt and changes in hip internal rotation ipsilateral to posterior pelvic tilt (r=.441, p<.05) and between change in posterior pelvic tilt and change in hip external rotation ipsilateral to posterior pelvic tilt(r=.361, p<.05). A fair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hange in hip internal rotation ipsilateral to anterior pelvic tilt and change in hip external rotation ipsilateral to posterior pelvic tilt(r=.388, p<.05) and between change in hip internal rotation ipsilateral to posterior pelvic tilt and change in hip internal rotation ipsilateral to anterior pelvic tilt(r=.426. p<.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