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엉덩이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6초

CT기반 3차원 모델을 이용한 고관절 운동범위 예측 (Hip Range of Motion Estimation using CT-derived 3D Models)

  • 이연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15-12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CT영상기반 3차원 고관절모델을 이용한 컴퓨터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고관절의 운동범위(Range of Motion)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 측정방법에 대한 기술적인 사항을 제시하고, 그 기술이 재현성 있게 실현할 수 있도록 대퇴골두 중심점의 결절, 대퇴골 외전(Abduction)/내전(adduction)회전축, 굽힙(flexion)/신전(extension) 회전축을 정의하고 측정하는 명확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외전각은 해부학적인 시상면(Sagittal plane)상의 Anterior-Posterior축에 대해 아래쪽(Inferior)면으로부터 Lateral 쪽으로의 회전각으로 정의된다. 최대외전각은 대퇴골두가 엉덩이뼈(Pelvis)의 절구(Acetabulum)의 테두리와 겹치지 않고 Anterior-Posterior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최대 외전각으로 결정된다. 굴곡각은 해부학적인 관상면(Coronal plane)상의 Medial-Lateral축에 대해 아래쪽(Inferior)면으로부터 회전각으로 정의된다. 최대굴곡각은 대퇴골이 Medial-Lateral축을 중심으로 엉덩이뼈(Pelvis)의 절구(Acetabulum)의 테두리와 겹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는 최대 굴곡각으로 결정된다. 정상고관절에 비해 인공고관절술을 받은 해당 환자의 경우, 외전에서는 60도 정도, 굽힘에서는 4도 정도 운동범위가 줄어들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본 연구에서 행한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외전의 경우 운동범위의 감소가 예측되므로, 대퇴골두를 조금 큰 것을 고르거나 대퇴골목부의 길이 (femoral neck offset)를 길게 시술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혈청 leptin 농도와 비만지표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Leptin Concentration and Obesity Indices in a Rural Population)

  • 신민호;박경수;최진수;김상용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3권2호
    • /
    • pp.193-198
    • /
    • 2000
  • 일부 농촌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혈청 leptin농도와 비만지표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역학조사에 참여한 주민 1036명 중 단순무작위표본추출하여 혈청 leptin 농도를 측정한 20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등의 비만지수는 신체계측, 생체전기저항분석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혈청 leptin농도는 면역 방사계수측정 법으로 측정하였다. 혈청 leptin농도는 비만지표인 체질량 지수, 체지방률, 체지방량,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혈청 leptin농도는 과체중 또는 비만인에서 저체중 또는 정상인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혈청 leptin농도는 남자보다 여자에서 더 높았는데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상태에서도 남자보다 여자에서 더 높았다. 혈청 leptin 농도는 남자에서는 허리둘레, 여자에서는 엉덩이둘레와 더 관련이 있어 높은 혈청 leptin농도는 남자에서는 복부형 비만, 여자에서는 둔부형 비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혈청 leptin 농도는 비만지표들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정상인보다 비만인, 남자보다 여자에서 더 높았으며, 복부형 비만보다 둔부형 비만과 더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만이 leptin결핍보다는 leptin 저항성과 더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것이다.

  • PDF

일부 폐경전 성인여성의 골밀도와 신체계측 및 식이인자에 관한 연구

  • 임화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71-1071
    • /
    • 2003
  • 본 연구는 폐경전 성인여성들의 골격상태를 알아보고 신체계측 및 식이섭취실태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성인여성 61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을 실시하고 24시간 회상법으로 영양소 및 주요 식품군의 식품섭취실태를 조사하고 DEXA를 사용하여 요추와 대퇴부 3부위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1)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37세였으며, 평균 신장과 체중은 158.17cm, 54.55kg였으며, 평균 BMI와 WHR은 21.82, 0.78로 대상자들의 비만도는 정상이었다. 2) 평균 골밀도는 요추(L24) 1.04 g/$\textrm{cm}^2$, 대퇴경부 0.76g/$\textrm{cm}^2$, 대퇴전자부 0.66g/$\textrm{cm}^2$, 와드삼각부 0.69g/$\textrm{cm}^2$이었다. 3) T-score로 판정시 요추(L24)의 경우 골다공증군 3.28%, 골감소증군 14.75%, 대퇴경부의 경우 골다공증군 9.84%, 골감소증군 52.46%, 대퇴전자부의 경우 골다공증군 1.64%, 골감소증군 34.43%, 와드삼각부의 경우 골다공증군 6.56%, 골감소증군 45.90%였다. 4) 영양소중 칼슘(78.75%), 철분(69.75%) 및 비타민 A(92.17%) 영양소의 1일 평균 섭취량은 영양권장량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5) 신체계측 및 영양소섭취량과 골밀도와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신체계측에서 체중(p < 0.05), 엉덩이둘레(p < 0.01), 제지방함량(p < 0.05), 총수분함량(p < 0.05)이 높을수록 요추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영양소섭취량은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6) 주요 식품군의 식품섭취실태와 골밀도와의 상관관계분석에서 버섯군의 식품섭취횟수(p < 0.05, p < 0.05)가 많을수록 요추(L3, L24)의 골밀도가 각각 유의하게 높았으며, 유지류군의 섭취식품수(p < 0.05)가 많을수록 와드삼각부의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곡류군의 섭취식품수(P < 0.01, p < 0.05, p < 0.05)가 많을수록 대퇴부 3부위 (대퇴경부, 대퇴전자부 및 와드삼각부)의 골밀도가 각각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폐경전 성인여성의 경우 요추보다는 대퇴부 3부위의 경우 골다공증이나 골감소증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대퇴경부에 있어서 골다공증이나 골감소증의 비율이 가장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요추와 대퇴부 3부위의 골밀도는 영양소섭취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체중, 엉덩이둘레 등의 신체계측요인과 곡류군, 버섯군 및 유지류군 등의 주요 식품군의 식품섭취실태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성인여성에 있어서 골밀도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평상시 적절한 체중유지와 아울러 식생활지침에 있어서 주요식품군별로 적절한 섭취식품의 수, 섭취량 및 섭취빈도에 대한 영양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비만 여성에서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함유 다이어트 식품의 체중 감소 효과 (The Effect of Antifat Diets with β-Cyclodextrin on the Weight Loss in Obese Korean Women)

  • 박병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832-838
    • /
    • 2004
  • 본 연구는 성인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45일 동안$\beta$-cyclodextrin을 함유하는 다이어트 식품(antifat diets)의 섭취시 체중, 비만도, 체질량지수, 체지방율, 신체둘레 및 혈액지질수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Antifat diet섭취 전과 비교하였을 때 antifat diets 섭취 후 체중 3 kg 감소, 비만도 5% 감수 체질량지수 1 kg/$m^2$ 감소, 체지방율 7% 감소가 실제측정치로써 나타났으며, 이를 감소율로써 나타냈을 때 체중 4%, 비만도 13%, 체질량지수 4%, 체지방율 20%의 감소효과가 있었으며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Antifat diets섭취 전과 비교하였을 때 antifat diets 섭취 후 상위 팔둘레 3 cm 감소, 허리둘레 3 cm 감소, 엉덩이 둘레 3 cm 감소 및 허벅지 둘레 3 cm가 실제 측정치로서 감소하였고, 이를 감소율로써 나타냈을 때 상위팔둘레 8%, 허리둘레 3.4%, 엉덩이둘레 3% 및 허벅지둘레 5%의 감소효과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5). Antifat diets를 45일간 섭취하였을 경우 antifat diets 섭취 전에 비하여 중성지방 103 mg/dL감소, 총콜레스테롤 50 mg/dL 감소, LDL-C 50 mg/dL 감소가 실제 측정치로써 나타났으며, 이를 감소율로서 나타냈을 때 중성 지 방 40%, 총콜레스테롤 24%, LDL-C 37% 및 동맥경화지수 31%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beta$-cyclodextrin이 비만방지 및 과체중 조절을 위한 새로운 다이어트 식음소재로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치위생과 학생들의 건강-신념 모형에 의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행위 관련성 (Connections of Preventive Actions against Musculoskeletal Diseases by Dental Hygiene Students according to the Health Belief Model)

  • 정유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45-550
    • /
    • 2009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이 건강-신념에 의한 근골격계 질환 지식과 예방행위를 알아보고 건강증진과 근골격계 질환 예방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그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경기도 소재 치위생과 2학년 학생 83명, 3학년 학생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강-신념 중 민감성은 2학년 학생이 $22.50{\pm}2.37$점, 3학년 학생이 $22.29{\pm}3.01$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 0.01), 유익성은 2학년 학생이 $18.82{\pm}2.60$점, 3학년 학생이 $18.64{\pm}2.77$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2. 신체부위별 통증은 3학년 학생이 2학년 학생보다 통증 정도가 높았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신체 부위는 목, 어깨, 허리, 무릎, 발, 발목이었다(P < 0.05). 3. 심각성은 목, 어깨, 팔꿈치, 등, 허리, 엉덩이, 무릎, 발목, 발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 < 0.01). 장애성은 무릎, 발목, 발이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P < 0.01). 건강-동기는 목, 어깨, 등, 허리, 엉덩이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 < 0.01), 무릎이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 < 0.01). 4. 건강-신념 중 심각성은 사용빈도가 높은 기구는 시술자 가까이 편리한 곳에 둔다, 가능한 한 같은 업무를 반복하지 않고 업무를 다양하게 한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 < 0.01). 유익성은 진료 시 구부리기와 뻗치기 자세를 줄인다, 가급적 목, 등, 팔과 손목이 많이 기울어 지지 않도록 한다, 상체자세를 중립으로 유지하려고 한다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 < 0.01).

  • PDF

Development of Rashguard Swimwear Size System and Pattern for Middle-aged Women in Breast Cancer Patients

  • Han, Hyun-Sook;Sohn, Boo-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55-16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환자를 위한 중년여성용 래쉬가드 수영복의 치수체계와 패턴을 제안하였다. 첫째, 유방암 환자가 선호하는 수영복 디자인을 선정하기 위해서 37명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가슴이 두드러지지 않고 노출이 적은 래쉬가드의 수영복이 디자인되었으며, 이는 캡이 삽입되기 쉽고 캡이 고정되는 주머니 형태를 갖고 있다. 둘째는, 유방암 환자용 수영복을 위한 치수체계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사이즈를 젖가슴둘레, 엉덩이둘레, 몸통세로둘레로 정하고, 30~69세의 여성 1625명에 대한 사이즈 코리아의 직접 측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3차원 각 셀의 출현율을 기반으로 유방암 환자 수영복을 위한 17개의 사이즈를 설정하였으며, 중심사이즈를 젖가슴둘레 90cm-엉덩이둘레 95cm-몸통 세로둘레 150cm로 정하였다. 셋째는, 유방암 환자용 수영복 중심사이즈 패턴 개발을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1차 중심사이즈 패턴을 제작하고, 그 후 2차, 3차 수정을 거쳐 패턴을 완성하였다. 각 패턴제작 단계마다 실험의를 제작하여 착용피트성 및 동작적합성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최적의 패턴제작을 위한 각 치수항목의 축소율을 구했으며, 이를 반영하여 유방암 환자용 래쉬가드 수영복 패턴을 개발하였다.

여자대학생의 생리주기에 따른 인체계측변인 둘레의 변화 (Changes in the girth of anthropometric variables during menstrual cycle in women university students)

  • 김영선;강설희;김윤정;박원엽;장지훈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421-42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생리주기별로 인체계측변인의 둘레를 반복측정하고 둘레의 변화 정도를 제시하여 월경전 증후군 증상 경감을 위한 프로그램 및 보조물 개발, 월경기 여성건강관리프로그램 개발, 월경전기 및 월경기 여성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개발 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생리불순과 (속발성)월경곤란증, 월경전 증후군을 호소하지 않는 건강한 여자대학생 10명이었다. 생리주기별로 가슴부위(2곳)와 허리부위(2곳), 엉덩이 부위를 반복측정한 결과 겨드랑부위는 황체기에 비해 월경기에, 유두부 가슴둘레와 가는 허리둘레는 난포기에 비해 월경기에 유의하게 큰 결과를 보였다. 가슴둘레와 허리둘레에 있어 난포기와 황체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엉덩이둘레는 생리주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가슴둘레와 허리들레는 생리주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향후 체중, 체지방율, 혈중 및 국소호르몬 농도 변화 등을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연구수행이 제언된다.

A Study on the Lower Body Torso Shape in 40s, 50s and 60s Women for Development of Urinary Incontinence Panty

  • 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0호
    • /
    • pp.163-17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요실금 발생빈도가 높아지는 40대, 50대, 6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하반신 몸통 체형을 유형화하고 그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 연령대별 하반신 몸통 체형을 분류해봄으로써 요실금 팬티 패턴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가기술표준원 제8차 인체치수조사데이터 중 40-69세 여성 1543명을 대상으로 하여 하반신 몸통 관련 계측항목 총 29개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하반신 몸통 높이 항목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낮아지고, 너비 관련 항목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넓어지며, 둘레 관련 항목은 허리둘레와 배둘레는 증가하고 엉덩이둘레는 작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몸통길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하반신 몸통 구성 요인은 하반신 몸통 수평 요인, 높이 요인, 하부 요인, 수직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하반신 몸통 유형은 긴 역삼각 체형, 짧고 높은 몸통 체형, 몸통 비만 체형, 낮은 삼각 체형으로 분류되었다. 하반신 몸통 수평 요인과 높이 요인은 유형 3이 가장 크고, 하반신 몸통 수직 요인과 하부 요인은 유형 1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반신 몸통은 허리와 복부가 발달된 유형과 엉덩이, 넙다리가 발달된 유형으로 분류되어 요실금 팬티의 가로 부위 설정 시 체형 차이의 반영이 요구되었다. 또, 몸통이 긴 유형과 짧은 유형으로 분류되어 앞중심과 뒷중심길이 차이를 반영할 수 있는 제도법이 필요하였다.

몇가지 조경식물에서 채집한 날개응애류 (Taxonomic Study on Oribatid Mites (Acari: Oribatei) Collected from Landscape Plants)

  • 최성식;조명래;곽용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7-113
    • /
    • 1994
  • 이 연구는 조경식물에서 채집한 날개응애류를 분류한 결과로, 13종이 동정되었다. 그러나 식물에 대한 그들의 유해성은 확인하지 못했다. 그들은 엉덩이 혹응애(신청) Tubermaeus singularis Sellnick, 긴 네모지게응애(신칭) Zygoribatula elongata hammer, 야마시타자라응애 Scapheremaeus yamashital Aoki, 구멍팔자기게응애 Oribatula sakamori Aoki, 가지털왕응애 Camidia segnid(Hermans), 몽둥이 팔자지게응애 Scheloribates latipes (Koch), 어리좁쌀응애 Oppiella nova (Oudemans), 꼬불지게좁쌀응애 Lauroppoa neerlandica (Oudemans), Hemileius sp., Truncopes sp., Dometorina sp., Tecto-cepheus sp.등이다. 이중에 Tuberemaeus singularis 와 Zygoribatula elongata는 한국에서 처음 기록하는종이다.제주도 서귀포의 황금삼나무에서 채집된 Tuberemaeus singularis 의 한재료 체내(뱃속)에서 3마리의 유충이 관찰되어 이 좋은 난태생인 것으로 보인다.

  • PDF

중국 성인여성(中國 成人女性)의 ISO에 따른 의류치수규격 연구(衣類値數規格 硏究) (A Study on the Apparel Sizing System of ISO for Chinese Adult Women)

  • 손희순;위혜정;김은희;강연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1호
    • /
    • pp.58-78
    • /
    • 2006
  • This study materializes body type measurement based on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size system, targeting 1381 Chinese women, and suggests clothes size standards.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Chinese women size for Korean clothes companies advanced in China to strengthe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clothing industry. First, after the body type examination, based on the ISO's drop value, the results of types are in its decreasing order: A, M, H, and D. Second, women upper garment sizes by body types are set in the section of height 152cm, 160cm, and 168cm. Garment sizes are suggested based on the section that has more than 0.8% of appearance rate for the survey target: A, H, and M. Third, the clothes sizes of women pants are set in the section of height 152cm, 160cm, and 168cm just with the same as the upper gar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