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얼룩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9초

LCD모듈의 얼룩검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ot Inspection for LCD Modules)

  • 이재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422-424
    • /
    • 2006
  • This paper suggests an automatic spot-inspection algorithm for LCD modules. Usually, LCD module testing is classified by two categories. One is for uniform pattern testing and the other is Non-uniform testing. The uniform pattern testing is well defined and also fully automated in the factory. However non-uniform pattern testing is not defined well yet, so non-uniform testing is conducted by human operators. In this paper a spot-pattern, which is one of non-uniform pattern, inspection algorithms are propos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tested by extensive simulations using artificial slot-patterns and real ones in the LCD modules.

  • PDF

탁본영상의 영역분석 (Region Analysis of Takbon Images)

  • 황재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41-143
    • /
    • 2006
  • 한국을 비롯한 동양 금석학 정보 인식의 중요한 매체인 탁본을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영상 특성을 분석하고 수학적 모델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역사적으로 유명한 대표적 탁본을 포함한 50여개의 탁본영상 샘플을 작위로 선택하였고, 샘플영상 속에 내재되어 있는 영역특성을 중심으로 통계분석을 시도하였다. 탁본 원영상은 흑백의 두 영역으로 분할되는 완벽한 이진영상인데 반하여, 관측영상은 탁본뜨기 수작업과정을 거치면서 영역간 색도의 혼재와 얼룩무늬와 문양이 전체 영상에 분포한다. 본래의 두 영역은 정보영역과 바탕영역으로 구분되나 이들 얼룩무늬들은 또 다른 영역들로 치부되어 주로 바탕영역에 산발적으로 분포되어 영상인식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관측영상 속에 내재되어 있는 영역 본래의 특성과 본뜨기 수작업 과정에서 새로 생성되는 영역들 사이의 기하학적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류 처리함으로 관측 탁본영상의 영역 특성의 추이를 추론할 수 있다. 분석 결과, 탁본영상은 영역간 극단적인 확률적 차이를 보였으며, 이 양극성은 곧 탁본 원영상의 속성이 수작업과 관측이라는 훼손 과정을 거치면서도 보존됨을 의미한다. 이를 근거로 영역 특성과 훼손 과정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였고 정보영역 추출의 일차적 개연성을 제시하였다.

  • PDF

조경수의 병해충 - 배롱나무에 피해를 주는 해충

  • 최광식
    • 조경수
    • /
    • 제80권5_6호
    • /
    • pp.10-13
    • /
    • 2004
  • 진한 주홍색의 영롱한 색을 발하여 멀리서도 관상할 수 있는 꽃이 100일 이상 계속된다고 하여 흔히 백일홍이라 불리운다. 수피도 모과나무처럼 얼룩이 져 원숭이도 미끄러진다는 일본명을 가지고 있을 만큼 아름답다. (중략)

  • PDF

안양천과 만안교, 석수동과 삼막사

  • 김기빈
    • 하천과문화
    • /
    • 제2권4호
    • /
    • pp.51-55
    • /
    • 2006
  • 지금 안양천은 하천 살리기 운동에 의하여 자연생태계가 되살아나고 있다. 버들치, 밀어, 얼룩동사리 등의 물고기가 돌아오고 있으며, 물억새 부들 등 하천변 풀들이 되살아나고 있다. 이 하천에 만물(萬)이 고루 번성하고 생육하니(安), 만안(萬安)함이 다리 이름 그대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