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얼룩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산 납서대과 어류 1미기록종, Brachirus annularis (First Record of the Annular Sole, Brachirus annularis(Soleidae,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 김맹진;고수진;윤병선;김성태;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8-182
    • /
    • 2019
  • 납서대과에 속하는 Brachirus annularis 1개체 (표준 체장 161.0 mm)가 제주도와 거문도 사이의 해역에서 2019년 3월에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유안측에 불규칙한 형태의 반점과 얼룩무늬를 가지고 있으며, 꼬리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와 연결되었고, 머리와 눈 그리고 가슴지느러미가 작은 형태를 띠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유안측에 불규칙한 형태의 반점과 얼룩무늬를 가지는 특징에 기초하여 이 종의 속명과 국명은 각각 "얼룩서대속"과 "얼룩서대"라고 명명하였다.

인간의 시각 특성에 기반한 LCD 영역형 얼룩의 불량 수준 측정

  • 이원희;박노갑;최규남;유석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B)
    • /
    • pp.426-430
    • /
    • 2006
  • TFT-LCD의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불량 제품의 검출은 자동화 과정에 의해 선택된 잠재적 불량 제품의 선택에 이은 인간의 목시검사에 의한 판단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목시검사를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불량의 식별성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소들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 그리고 각 요소들과 실제 최종적인 불량 판단 여부 사이의 체계적인 함수 관계의 파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TFT-LCD의 영역형 얼룩을 구성하는 특징적인 요소들을 정의하고, 이를 통해 불량 수준을 정의하는 수치화 함수를 유도하는 과정과, 이를 영역형 얼룩의 불량 수준 수치화에 적용한 결과를 보여 준다.

  • PDF

새코미꾸리속 Koreocobitis 어류의 1 신종 및 새코미꾸리 K. rotundicaudata 의 재기재 (A New Species of Koreocobitis from Korea with a Redescription of K. rotundicaudata)

  • 김익수;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9-95
    • /
    • 2000
  • 한국산 새코미꾸리속 Koreocobitis에는 새코미꾸리 Koreocobitis rotundicaudata와 얼룩새코미꾸리 (신종) K. naktongensis 2종이 분포한다. 신종인 얼룩새코미꾸리는 새코미꾸리에 비해 갈색의 얼룩무늬반점, 절단형의 꼬리지느러미 후연, 척수골 수의 감소, 긴 두부 등에서 형태적인 뚜렷한 차이를 보여 주고 있으며, 낙동강에만 제한 분포하고 있어 생물지리적으로 주목된다. 또한 이들 2종에 대한 검색표와 함께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였다.

  • PDF

한국에 있어서의 말라리아 매개모기의 역학적, 매개동물학적 조사 (Epidemio-entomological survey on malarial vector mosquitoes in Kyongbuk, Korea)

  • 우종윤;강구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329-340
    • /
    • 1992
  • 경북지역에 있어서 삼일열 말라리아 매개모기인 중국얼룩날개모기 (Anopheles sinensis)의 계절적 출현소장과 군집변동을 규명하기 위해 1987연부터 5연간 경출군 1개소에 유준등으로 1주일에 한떤씩 성충을, 1989년부터 3 년간 경북 농촌 진흥 원부속농장에서 모기유충을 채집조사하였다. 1987년부터 1991년까지 유창등에 처음으로 중 국얼룩날개모기가 채집되는 날짜는 연도별로 큰 차리를 나타내었으며, 3월 중순에서 4월 중순사이에 채집되었고 가장 높은 군집밀도를 보인 것은 7월 초순에서 중순이었으며, 그 후 점점 감소하여 lli3 초순과 중순부터는 전혀 채집되지 않았다. 채집된 모기 중 흡혈한 개체률은 채집장소별로 차리가 있었으며 그 율은 0.5∼67.9%이었다. 중국얼룩날개모기의 채집되는 수는 1987년 이후 증가하여 1989년 가장 많은 수가 채집되었으며, 그 후 급격히 감소하여 1991연에는 가장 적은 수가 채집되었다. 액간활동성은 22시에서 23시사이에 가장 왕성하였으며, 그 후 점차 감소하다가 새벽 4∼5시에 다시 약간 증가하였다.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은 6월 중순에 논에서 처음 발견 되었고 그 밀도는 7월 초순 및 중순에 가장 높았으며, 9월 중구 이후부터는 그 밀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은 각감의 유기린제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보아 경북 지역에서 중국얼룩날개모기는 매년 감소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 PDF

경기도 김포시 모기의 계절적 발생소장 및 얼룩날개모기 유충 발생원의 생태학적 특성 (Seasonal Prevalence of Mosquitoe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opheline Larval Occurrence in Gimpo, Gyeonggi Province, Republic of Korea)

  • 김용기;이철민;이정분;배양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05-312
    • /
    • 2012
  • 본 연구는 김포시에서 모기성충의 계절적 발생소장과 얼룩날개모기류 유충의 발생을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성충모기는 6지점에서 유문등을 이용하여, 2008년 5월부터 9월까지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8속 16종 48,919마리가 채집되었다. 금빛숲모기(Aedes vexans nipponii)가 43%로 가장 많았고,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s sinensis)가 34%,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14%로 이 3 우점종이 전체의 91%를 차지했다. 얼룩날개모기류의 계절적 발생소장은 작은빨간집모기와 비교하여 다른 피크를 보였다. 얼룩날개모기류 유충은 203지점 중 138지점(63%)에서 확인되었다. 지점당 정량조사 결과에서 평균유충밀도는 연꽃 재배지가 6.9개체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수로가 4.5개체, 미나리꽝이 3.4개체, 유수지가 3.2개체, 휴경논이 3.1개체, 논이 1.8개체, 습지가 1.4개체, 하천이 0.2개체 순이었다. 유충밀도와 용존산소량, 산도, 염분도, 흡밀원(축사, 돈사, 계사) 사이에 유의한 관계성은 없었다. 최근린평균거리분석(ANNA)의 결과에서, 유충 조사지점간 분포패턴은 전체 조사지점간과 4.0개체 이상 확인된 지점간에서 각각 밀집분포와 불규칙분포였다. 하성면에서는 유충이 3.0 개체 이상 확인된 지점간 분산분포를 나타냈다.

육우홍보대사 박해미가 추천하는 국내산 육우! - "수입육은 불안하고 한우는 부담스럽다면 육우 드세요!"

  • 한국낙농육우협회
    • 월간낙농육우
    • /
    • 제31권10호
    • /
    • pp.140-141
    • /
    • 2011
  • 대한민국 국민들이 가장 좋아하는 식품은 아마도 쇠고기일 것입니다. 하지만 수입쇠고기는 불안하고, 한우는 가격 때문에 부담스러울 것입니다. 그래서 한우보다 경제적이면서, 수입산 보다 믿을 수 있는 맛있는 쇠고기 '육우'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육우'란 국내법상 한우고기와 젖소고기를 제외한 모든 쇠고기를 의미하지만, 대부분은 고기생산을 주목적으로 사육된 얼룩소 수소를 말합니다. 얼룩소(홀스타인종)가 수송아지를 낳으면 한우와 같이 전문적인 사육방법으로 비육시켜 전문고기소 '육우'가되고, 암송아지를 낳으면 우유를 생산하는 '젖소'가 됩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