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얼굴 탐지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Real-time Frontal Face Detection Based on SRC (SRC 기반의 실시간 정면 얼굴 탐지)

  • Kang, Bong-Su;Oh, Seung-Geun;Lee, Jong-Uk;Park, Da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458-46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요주의 인물 식별 시스템의 서브시스템으로 SRC 기반의 실시간 정면 얼굴 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개선된 피부색 탐지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의 이미지로부터 얼굴 탐지 범위를 축소하고, 단계형 분류기를 통해 얼굴 여부를 빠른 속도로 탐지함으로써 실시간 탐지가 가능케 하였다. 또한 최근 얼굴 인식 분야에서 성공적인 업적을 보여주고 있는 신호 처리 분야의 SRC를 이용하여 정면 얼굴, 비정면 얼굴, 그리고 비얼굴을 분류하여 정면 얼굴만을 출력함으로써 정면 얼굴 탐지율을 높힌다. 공인된 벤치마킹 데이터인 FEI Face Database을 사용하여 제안된 SRC 기반의 정면 얼굴 탐지 시스템의 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한다.

A Real-time Frontal Face Detection Based on SVDD (SVDD 기반의 실시간 정면 얼굴 탐지)

  • Kang, Bong-Su;Oh, Seung-Geun;Park, Seung-Jin;Park, Da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358-36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요주의 인물 식별 시스템에 직접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실용적 차원의 정면 얼굴 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개선된 피부색 탐지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의 이미지로부터 얼굴 탐지 범위를 축소하고, Viola 등의 단계형 분류기를 통해 얼굴 여부를 빠른 속도로 탐지함으로써 실시간 탐지가 가능케 하였다. 또한, 마스킹을 통하여 비 정면 얼굴들을 제거함으로써 정면 얼굴만을 보다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으며, 정면 얼굴 데이터만으로 학습된 SVDD로 최종 출력을 검증하였다. 공인된 벤치마킹 데이터인 FEI Face Database을 사용하여 제안한 SVDD 기반의 정면 얼굴 탐지 시스템의 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한다.

Face Detection using Brightness Distribution in the Surrounding Area of Eye (눈 주변영역의 명암분포를 이용한 얼굴탐지)

  • Hwang, Dae-Dong;Park, Joo-Chul;Kim, Gye-Yo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6B no.6
    • /
    • pp.443-450
    • /
    • 2009
  • This paper develops a novel technique of face detection using brightness distribution in the surrounding area of eye. The proposed face detection consists of facial component candidate extraction, facial component candidate filtering through eye-lip combination, left/right eye classification using brightness distribution, face verification confirming edges in nose region. Because the proposed technique don't use any skin color, it can detect multiple faces in color images with complicated backgrounds and different illumination levels.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 that the proposed technique is better than the traditional techniques in terms of detection ratio.

Component-Based Face Detection using T-type Structure (T형 구조를 이용한 구성요소 기반 얼굴 탐지)

  • Hwang, Dae-Dong;Kim, Gy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9.01a
    • /
    • pp.227-230
    • /
    • 2009
  • 본 논문은 눈, 입 등 얼굴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얼굴을 보다 고속으로 탐지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얼굴 탐지 방법의 기본적인 절차는 피부색을 추출하여 SkinMap을 만들고, 그 내부에서 구성요소의 색상 특징을 이용하여 눈과 입을 검출 후, T형 구조 검증방식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보요소들이 눈과 입에 해당하는지를 최종적으로 확인한다. 기존의 얼굴탐지 방식에 많이 사용되던 삼각형 구조 검증방식에 비해 보다 연산량이 적은 T형 구조 검증방식을 사용하고, 불필요한 방법을 제거 및 보완하여 보다 고속으로 얼굴을 탐지할 수 있다.

  • PDF

Face Detection and Facial Feature Extraction for Person Identification (신원확인을 위한 얼굴 영역 탐지 및 얼굴 구성 요소 추출)

  • 이선화;차의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517-519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신원 확인 시스템을 위한 얼굴 영역 탐지 및 얼굴 구성 요소들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신원 확인을 위해 사용자가 시스템을 조작할 때, 움직임이 발생한다는 점과 눈 영역이 주위 영역에 비하여 뚜렷하게 어두운 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CCD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동영상에서 차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탐지하고, 탐지된 얼굴 영역 내에서 가장 안정적인 검출 결과를 보이는 눈 영역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두 눈의 위치를 이용하여 전체 얼굴의 기울기를 보정한 수, 제안하는 가변 Ratio Template을 이용하여 검출된 얼굴영역을 검증하며 코, 입과 같은 다른 얼굴 구성 요소들을 추출한다. 이 방법은 명암의 변화에 따라 유동적인 결과를 산출해내는 이진화 과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국부적인 조명이 밝기 변화나 얼굴의 기울기 변화와 같은 얼굴 인식의 제약점에 강인한 특징을 가진다.

  • PDF

Face Detection using Adaptive Skin Region Extraction (적응적 피부영역 검출을 이용한 얼굴탐지)

  • Hwang, Dae-Dong;Park, Young-Jae;Kim, Gye-Young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6 no.1
    • /
    • pp.35-44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about producing skin color model adaptively in input image and face detection. The principle process which we proposed is finding eyes candidates by applying the eye features to neural network, and then using the around color to find the distribution of color value. There will be a verification process that producing face region by using color value distribution which is detected as skin region and find mouth candidate in corresponding face region; if eye candidate and mouth candidate's connection structure is similar with face structure, then it can be judged as a face. Because this method can detect skin region adaptively by finding eyes, we solve the rate of false positive about the distorted skin color which is used by existing face detection method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bout detecting the eye, the skin, the mouth and the face individuall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posed technique is better than the traditional techniques.

Face Detection Using Shapes and Colors in Various Backgrounds

  • Lee, Chang-Hyun;Lee, Hyun-Ji;Lee, Seung-Hyun;Oh, Joon-Taek;Park, Seung-B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7
    • /
    • pp.19-27
    • /
    • 202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detecting characters in images and detecting facial regions, which consists of two tasks. First, we separate two different characters to detect the face position of the characters in the frame. For fast detection, we use You Only Look Once (YOLO), which finds faces in the image in real time, to extract the location of the face and mark them as object detection boxes. Second, we present three image processing methods to detect accurate face area based on object detection boxes. Each method uses HSV values extracted from the region estimated by the detection figure to detect the face region of the characters, and changes the size and shape of the detection figure to compare the accuracy of each method. Each face detection method is compared and analyzed with comparative data and image processing data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As a result, we achieved the highest accuracy of 87% when using the split rectangular method among circular, rectangular, and split rectangular methods.

Viewpoint invariant face detection system (시점불변의 얼굴 탐색기)

  • 김동성;배명진;홍석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6.06a
    • /
    • pp.165-168
    • /
    • 1996
  • 복잡한 배경의 컬러 이미지에서 시점불변의 얼굴 탐지 방법이 제안되었다. 얼굴과 그 구성요소는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서 다른 형태를 갖기 때문에 복잡한 배경 이미지에서 시점불변의 탐지를 위해서 얼굴의 컬러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의 위치를 찾는 방법을 제안한다. 찾아진 얼굴은 눈과 입 등의 구성요소들의 기하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검증된다. 제안된 방법은 크기, 이동, 방향에 불변한다. 또한 몇 십장의 화상을 이용한 실험 결과를 제공한다.

  • PDF

Lip Detection Algorithm Using Color Clustering (색상 군집화를 이용한 입술탐지 알고리즘)

  • Jeong, Jongmyeon;Choi, Jiyun;Seo, Ji Hyuk;Lee, Se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277-27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색상 군집화를 이용한 입술탐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이미 많이 알려져 있는 AdaBoost를 이용한 얼굴탐지를 수행한다. 탐지된 얼굴영역에 Lab 컬러시스템을 적용 시킨 후 입술픽셀의 특징에 따른 색상 마커를 사용하여 피부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피부영역에 대하여 K-means 색상 군집화를 통해 입술영역을 추출한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입술탐지 결과를 확인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Face Mask Detection (얼굴 마스크 탐지의 구현)

  • Park, Seong Hwan;Jung, Yu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17-19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19 사태에 대비하여 실시간으로 마스크를 제대로 쓴 사람과 제대로 쓰지 않은 사람을 구분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하여 모델 학습 시에 합성곱 신경망(CNN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를 사용한다. 학습된 모델을 토대로 영상에 적용 시 하르 특징 분류기(Haar Cascade Classifier)로 얼굴을 탐지하여 마스크 여부를 판단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