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얼굴 인증

Search Result 21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Intelligent Passport′s Face Verification System Using Face Color Analysis (얼굴 컬러 분석에 의한 지능형 여권 얼굴 인증 시스템)

  • 김도현;차의영;김광백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279-28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출입국자 관리의 효율성과 체계적인 출입국 관리를 위하여 위조 여권을 판별할 수 있는 지능형 여권 얼굴 인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지능형 여권 얼굴 인증 시스템은 여권 이미지에서 여권 코드 문자열을 인식하여 여권 사용자의 사진 및 관련 정보를 여권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다. 추출된 출입국자의 사진 및 얼굴과 여권에 부착된 사진 및 얼굴과의 유사도 측정을 통하여 여권 사진의 위조 여부을 판단한다. 이때, 이미지의 유사도 측정을 위해서 다양한 실험을 통한 결과를 종합 분석해 본 결과 사진 영역의 인증에는 Luminance, Edge, RGB 특징이, 얼굴 영역의 인증을 위해서는 Hue, YIQ-I, YCbCr-Cb 특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진 영역의 유사도와 얼굴영역의 유사도가 모두 0.8이상인 경우 정상적인 여권으로 판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위조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여권으로 판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FAR 3.1%, FRR 2.7%의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Unattended Reception Robot using Face Identification (얼굴 인증을 이용한 무인 접수 로봇 개발)

  • Park, Se Hyun;Ryu, Jeong Tak;Moon, Byung Hyun;Cha, Kyung Ae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9 no.5
    • /
    • pp.33-37
    • /
    • 2014
  • As personal information is utilized as an important user authentication means, a trustable certification means is being required. The face identification technology using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l face among several biometrics technologies is easy in extracting features.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face identification robot for unattended reception. The robot is performed by face identification.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robot, it was tested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applicable for unattended reception interface.

De-Identified Face Image Generation within Face Verification for Privacy Protection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얼굴 인증이 가능한 비식별화 얼굴 이미지 생성 연구)

  • Jung-jae Lee;Hyun-sik Na;To-min Ok;Dae-seon Cho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3 no.2
    • /
    • pp.201-210
    • /
    • 2023
  • Deep learning-based face verificattion model show high performance and are used in many fields,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e user's face image may be leaked in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face image to the model. Althoughde-identification technology exists as a method for minimizing the exposure of face features, there is a problemin that verification performance decreases when the existing technology is applied. In this paper, after combining the face features of other person, a de-identified face image is created through StyleGAN. In addition, we propose a method of optimizingthe combining ratio of features according to the face verification model using HopSkipJumpAttack. We visualize the images generated by the proposed method to check the de-identification performance, and evaluate the ability to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he face verification model through experiments. That is, face verif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de-identified image generated through the proposed method, and leakage of face personal information can be prevented.

개선된 퍼지 ART 기반 RBF 네트워크와 PCA 알고리즘을 이용한 여권 인식 및 얼굴 인증

  • Jang, Do-Won;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547-55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출입국자 관리의 효율성과 제계적인 출입국 관리를 위하여 여권 코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위조 여권을 판별할 수 있는 여권 인식 및 얼굴 인증 방법을 제안한다. 여권 이미지가 기울어진 상태로 스캔되어 획득되어질 경우 개별 코드 인식과 얼굴 인증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므로 기울기 보정은 문자 분할 및 인식, 얼굴 인증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여권 영상을 스미어링한 후, 추출된 문자열 중에서 가장 긴 문자열을 선택하고 이 문자열의 좌측과 우측 부분의 두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수평선과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여권 영상에 대한 각도 보정을 수행한다. 여권 모드 추출은 소벨 연산자와 수평 스미어링, 8 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여권 코드의 문자열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여권 코드 문자열 영역에 대해 반복 이지화 방법을 적용하여 코드의 문자열 영역을 이진화한다. 이진화된 문자열 영역에 대해 CDM 마스크를 적용하여 문자열의 코드들을 복원하고 8 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개별 코드를 추출한다. 추출된 개별 코드 인식은 개선된 RBF 네트워크를 제안하여 적용한다. 제안된 RBF 네트워크는 퍼지 논리 접속 연산자를 이용하여 경계변수를 통적으로 조정하는 개선된 퍼지 ART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RBF 네트워크의 중간층으로 적용한다. 얼굴 인증을 위해서는 얼굴 인증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PCA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PCA 알고리즘은 고차원의 벡터를 저 차원의 벡터로 감량하여 전체 입력 영상들의 직교적인 공분산행렬을 계산한 후 그것의 고유 값에 따라 각 영상의 고유벡터를 구하므로 PCA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얼굴의 고유 벡터를 구한 후 특징 벡터를 추출한다. 따라서 여권 영상에서 획득되어진 얼굴 영상의 특징벡터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얼굴 영상의 특징벡터와의 거리 값을 계산하여 사진 위조 여부를 판별한다. 제안된 여권 인식 및 얼굴 인증 방법의 성능을 평가를 위하여 원본 여권에서 얼굴 부분을 위조한 여권과 기울어진 여권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여권의 코드 인식 및 얼굴 인증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Face Detection For Online Authentication on Complex Background (온라인 인증을 위한 복잡한 배경에서 얼굴 추출)

  • 김동현;한희철;권중장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05a
    • /
    • pp.242-246
    • /
    • 2000
  • 본 논문은 얼굴을 이용한 인증 단계의 전처리 단계로 복잡한 배경에서 효율적인 얼굴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얼굴로 추정되는 1차 영역을 찾고 2차로 색상정보와 자기정보를 이용하여 에지 정보를 추출하여 추정된 영역을 분리한다. 3차로 각 분리된 후보 영역에 얼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후보영역을 합치면서 얼굴 영역을 추출한다. 온라인 인증을 위한 얼굴 영역 추출이기 때문에 인증 받고자 하는 사람의 얼굴은 전체 영역에서 가운데로 치우칠 것이라는 예상과 인증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 크기를 가져야 한다는 가정 하에서 얼굴을 추출하였다. 실제 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유용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Passport Recognition using PCA-based Face Verification and SOM Algorithm (PCA 기반 얼굴 인증과 SOM 알고리즘을 이용한 여권 인식)

  • Lee Sang-Soo;Jang Do-Won;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285-29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출입국자 관리의 효율성과 체계적인 출입국 관리를 위하여 여권 코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위조 여권을 판별할 수 있는 여권 인식 및 얼굴 인증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여권 인식과 얼굴 인증 부분으로 구성되며, 여권 인식 부분에서는 소벨 연산자, 수평 최소값 필터 등을 적용한 후, 8 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코드의 문자열 영역을 추출하고 기울기를 보정한다. 추출된 문자열은 반복 이진화 방법을 적용하여 코드의 문자열 영역을 이진화 한다. 이진화된 문자열 영역에 대해 8 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개별 코드를 추출한 후에 SOM(Self-Organizing Maps)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여권 코드를 인식한다. 얼굴 인증 부분에서는 여권 사진 영역의 특징을 이용하여 얼굴 후보 영역을 추출한 후, RGB와 YCbCr 색공간에서 피부색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얼굴 영역은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특징 벡터를 구하고 여권 코드가 인식된 결과를 바탕으로 여권 소지자의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 얼굴 영상의 특징벡터와의 거리 값을 계산하여 사진 위조 여부를 판별한다. 제안된 여권 인식 및 얼굴 인증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원본 여권의 얼굴 부분을 위조한 여권과 기울어진 여권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여권의 코드 인식 및 얼굴 인증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ace Authentication System (딥러닝 기반의 얼굴인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Lee, Seungik
    • Journal of Software Assessment and Valuation
    • /
    • v.16 no.2
    • /
    • pp.63-68
    • /
    • 2020
  • This paper proposes a face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framework. The proposed system is consisted of face region detection and feature extraction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and performed the face authentication using joint-bayesian matrix learning algorithm. The performance of proposed paper is evaluated by various face database , and the face image of one person consists of 2 images. The face authentication algorithm was performed by measuring similarity by applying 2048 dimension characteristic and combined Bayesian algorithm through Deep Neural network and calculating the same error rate that failed face certification. The result of proposed paper shows that the proposed system using deep learning and joint bayesian algorithms showed the equal error rate of 1.2%, and have a good performance compared to previous approach.

A Scheme for User Authentication using Pupil (눈동자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기법)

  • Lee, Jae-Wook;Kang, Bo-Seon;Lee, Keun-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9
    • /
    • pp.325-329
    • /
    • 2016
  • Facial authentication has the limelight because it has less resistance and it is hard to falsify among various biometric identification. The algorithm of facial authentication can bring about huge difference in accuracy and speed by the algorithm construction. Along with face-extracted data by tracing and extracting pupil, the thesis studied algorithm which extracts data to improve error rate and to accurately authenticate face. It detects face by cascade, selects as significant area, divides the facial area into 4 equal parts to save the coordinate of object. Also, to detect pupil from the eye, the binarization is conducted and it detects pupil by Hough conversion. The core coordinate of detected pupil is saved and calculated to conduct facial authentication through data matching. The thesis studied optimized facial authentication algorithm which accurately calculates facial data with pupil trace.

Passports Recognition using ART2 Algorithm and Face Verification (ART2 알고리즘과 얼굴 인증을 이용한 여권 인식)

  • Jang, Do-Won;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90-19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출입국자 관리의 효율성과 체계적인 출입국 관리를 위하여 여권 코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위조 여권을 판별할 수 있는 여권 인식 및 얼굴 인증 방법을 제안한다. 여권 이미지는 기울어진 상태로 스캔되어 획득되어질 수도 있으므로 기울기 보정은 문자 분할 및 인식, 얼굴 인증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여권 영상을 스미어링한 후, 추출된 문자열 중에서 가장 긴 문자열을 선택하고 이 문자열의 좌측과 우측 부분의 두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수평선과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여권 여상에 대한 각도 보정을 수행한다. 여권 코드 추출은 소벨 연산자와 수평 스미어링, 8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여권 코드의 문자열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여권 코드 문자열 영역에 대해 반복 이지화 방법을 적용하여 코드의 문자열 영역을 이진화한다. 이진화된 문자열 영역에 대해 CDM 마스크를 적용하여 문자열의 코드들을 복원하고 8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개별 코드를 추출한다. 추출된 개별 코드는 ART2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식한다. 얼굴 인증을 위해 템플릿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굴 템플릿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여권에서 추출된 얼굴 영역과의 유사도 측정을 통하여 여권 얼굴 영역의 위조 여부를 판별한다. 얼굴 인증을 위해서 Hue, YIQ-I, YCbCr-Cb 특징들의 유사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얼굴 인증에 적용한다. 제안된 여권 인식 및 얼굴 인증 방법의 성능을 평가를 위하여 원본 여권에 얼굴 부분을 위조한 여권과 노이즈, 대비 증가 및 감소, 밝기 증가 및 감소 및 여권 영상을 흐리게 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여권 코드 인식 및 얼굴 인증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권 영상에서 획득되어진 얼굴 영상의 특징벡터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얼굴 영상의 특징벡터와의 거리 값을 계산하여 사진 위조 여부를 판별한다. 제안된 여권 인식 및 얼굴 인증 방법의 성능을 평가를 위하여 원본 여권에서 얼굴 부분을 위조한 여권과 기울어진 여권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여권의 코드 인식 및 얼굴 인증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진행하고 있다.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에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 유아의 아버지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의 상관에서는 아버지 양육태도의 성취-비성취 요인에서와 창의성제목의 추상성요인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일반 유아의 아버지와 보다 더 애정적이며 자율성이 높지만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집단내에서 창의성에 특별한 영향을 더 미치는 아버지의 양육방식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일반 유아의 경우 아버지의 성취지향성이 낮을 때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양육차원은 애정성이나 비성취지향성으로 나타나고 있어 정서적인 측면의 지원인 것으로 밝혀졌다.징에서 나타나는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자주 나타났다. 반성적 탐구 척도 두 그룹을 비교 했을 때 CON 상호작용의 특징이 낮게 나타나는 N그룹이 양적으로 그리고 내용적으로 더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를 했다용을 지원하는 홈페이지를 만들어 자료 제공 사이트에 대한 메타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원하는 실시간 자료를 검색하여 찾을 수 있고 홈페이지를 방분했을 때 이해하기 어려운 그래프나 각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자료들에 대한 처리 방법을 도움말로 제공받을 수 있게 했다. 실

  • PDF

Class Discriminating Feature Vector-based Support Vector Machine for Face Membership Authentication (얼굴 등록자 인증을 위한 클래스 구별 특징 벡터 기반 서포트 벡터 머신)

  • Kim, Sang-Hoon;Seol, Tae-In;Chung, Sun-Tae;Cho, Seong-W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6 no.1
    • /
    • pp.112-120
    • /
    • 2009
  • Face membership authentication is to decide whether an incoming person is an enrolled member or not using face recognition, and basically belongs to two-class classification where support vector machine (SVM)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he previous SVMs used for face membership authentication have been trained and tested using image feature vectors extracted from member face images of each class (enrolled class and unenrolled class). The SVM so trained using image feature vectors extracted from members in the training set may not achieve robust performance in the testing environments where configuration and size of each class can change dynamically due to member's joining or withdrawal as well as where testing face images have different illumination, pose, or facial expression from those in the training se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ective class discriminating feature vector-based SVM for robust face membership authentication. The adopted features for training and testing the proposed SVM are chosen so as to reflect the capability of discriminating well between the enrolled class and the unenrolled class. Thus, the proposed SVM trained by the adopted class discriminating feature vectors is less affected by the change in membership and variations in illumination, pose, and facial expression of face images. Through experiments, it is shown that the face membership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the proposed SVM perform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SVM-based authentication methods and is relatively robust to the change in the enrolled class config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