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얼굴 이미지

Search Result 47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Face Image Synthesis using Nonlinear Manifold Learning (비선형 매니폴드 학습을 이용한 얼굴 이미지 합성)

  • 조은옥;김대진;방승양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1 no.2
    • /
    • pp.182-188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to synthesize facial images from a few parameters for the pose and the expression of their constituent components. This parameterization makes the representation, storage, and transmission of face images effective. But it is difficult to parameterize facial images because variations of face images show a complicated nonlinear manifold in high-dimensional data space. To tackle this problem, we use an LLE (Locally Linear Embedding) technique for a good representation of face images, where the relationship among face images is preserving well and the projected manifold into the reduced feature space becomes smoother and more continuous. Next, we apply a snake model to estimate face feature values in the reduced feature space that corresponds to a specific pose and/or expression parameter. Finally, a synthetic face image is obtained from an interpolation of several neighboring face images in the vicinity of the estimated feature valu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shows a negligible overlapping effect and creates an accurate and consistent synthetic face images with respect to changes of pose and/or expression parameters.

Convergence of facial image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of SME workers (중소기업 직장인의 얼굴이미지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융합연구)

  • Kim, Jeoung-Yeoul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2
    • /
    • pp.227-23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ial image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a sample of 167 workers in SM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SME workers' face image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nagement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which is a sub - area of facial image efficacy.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management ability, the higher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ttitude and job satisfaction, which is a sub - area of face image efficacy. Second, management ability, which is a sub - area of face image efficacy of SME worker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sub - domain of face image efficacy has no effect on job satisfaction, Expression confidence, which is a sub-domain of image efficac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 Study on Feature Selection in Face Image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Algorithms (PCA와 입자 군집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얼굴이미지에서 특징선택에 관한 연구)

  • Kim, Woong-Ki;Oh, Sung-Kw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857_185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PCA와 입자 군집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얼굴이미지에서 특징선택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2차원 얼굴이미지의 히스토그램 분표값에서 정규화합 연산을 이용한 히스토그램 평활화 기법을 거쳐 대비효과를 주어 화질을 개선시켜 준다. PCA는 2차원 얼굴이미지를 이용하여 공분산 행렬을 구한 후 그것의 고유값에 따른 고유벡터를 구하여 얼굴인식에 사용될 특징 벡터들을 추출한다. 또한 추출된 특징벡터 중에서 얼굴인식 성능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특징 벡터들을 입자 군집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화한다. 다항식 기반 RBF 신경회로망을 사용하여 얼굴인식 성능을 평가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을 통해 최적화된 특징벡터와 얼굴인식률과의 관계를 알 수 있다.

  • PDF

Face Recognition System Using Gray Color Features (흑백 색상 정보 특징을 이용한 얼굴 인식 시스템)

  • 이현순;오동수;유관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583-585
    • /
    • 2002
  • 얼굴 인식은 이미지에 대한 많은 변화(표정, 조명, 얼굴의 방향)로 인해 높은 인식률을 얻기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얼굴 인식에 관한 방법이 연구되었다. 본 논문은 윤곽선이 검출된 흑백 이미지에서 명암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을 추출한 얼굴 인식 시스템을 구현한다. 얼굴 방향에 대해 제약조건을 지닌 정면의 얼굴 이미지에서 소벨 마스크(Sobel Mask)를 이용하여 추출한 윤곽선 이미지를 일정한 크기의 영역들을 구성하여 특징벡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특징벡터를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얼굴의 특징을 추출하여 개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개인 정보를 가지고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하여 일대일 대응에서 인증을 실험한다. 이 시스템은 기하학적 특성 추출 방법보다 계산량이 적고, 높은 인식률을 보여준다.

  • PDF

Illumination-Robust Face Recognition based on Illumination-Separated Eigenfaces (조명분리 고유얼굴에 기반한 조명에 강인한 얼굴 인식)

  • Seol, Tae-In;Chung, Sun-Tae;Cho, Seong-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2
    • /
    • pp.115-124
    • /
    • 2009
  • The popular eigenfaces-based face recognition among proposed face recognition methods utilizes the eigenfaces obtained from applying PCA to a training face image set. Thus, it may not achieve a reliable performance under illumination environments different from that of training face imag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llumination-separate eigenfaces-based face recognition method, which excludes the effects of illumination as much as possible. The proposed method utilizes the illumination-separate eigenfaces which is obtained by orthogonal decomposition of the eigenface space of face model image set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ed face illumination subspace. Through experiments,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face recognition method based on the illumination-separate eigenfaces performs more robustly under various illumination environments than the conventional eigenfaces-based face recognition method.

Component Based Face Detection for PC Camera (PC카메라 환경을 위한 컴포넌트 기반 얼굴 검출)

  • Cho, Chi-Young;Kim, Soo-Hw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988-992
    • /
    • 2006
  • 본 논문은 PC카메라 환경에서 명암왜곡에 강인한 얼굴검출을 위한 컴포넌트 기반 얼굴검출 기법을 제시한다. 영상 내의 얼굴검출을 위해 에지(edge) 분석, 색상 분석, 형판정합(template matching), 신경망(Neural Network),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LDA(Linear Discriminant Analysis) 등의 기법들이 사용되고 있고,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히스토그램 분석(평활화, 명세화), gamma correction, log transform 등의 영상 보정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얼굴검출 방법과 영상보정 방법은 검출대상 객체의 부분적인 잡음 및 조명의 왜곡에 대처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PC카메라 환경에서 획득된 이미지와 같이 전면과 후면, 상하좌우에서 비추어지는 조명에 의해 검출 대상 객체의 일부분이 왜곡되는 상황이 발생될 경우 기존의 방법으로는 높은 얼굴 검출 성능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울어진 얼굴 및 부분적으로 명암 왜곡된 얼굴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얼굴의 좌우 대칭성을 고려한 가로방향의 대칭평균화로 얼굴검출을 위한 모델을 생성하여 얼굴검출에 사용한다. 이 방법은 부분적으로 명암왜곡된 얼굴이미지를 기존의 영상 보정기법을 적용한 것 보다 잘 표현하며, 얼굴이 아닌 후보는 비얼굴 이미지의 형상을 가지게 하는 특성이 있다.

  • PDF

Texture Mapping of 3D Scan Face Models (3차원 스캔 얼굴 모델의 텍스처 매핑)

  • Jung, Chul-Hee;Cho, Sun-Young;Lee, Mye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b
    • /
    • pp.212-216
    • /
    • 2007
  • 3D 스캐너의 보급으로 3차원 모델 생성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결과로 얻은 형상이 아직 사진에서와 같은 사실적 묘사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얼굴의 3D 스캔 데이터에 효율적인 텍스처 매핑을 통해 사실적 렌더링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한다. 3D 얼굴 스캔 데이터와 얼굴의 사진 이미지의 좌표를 정확하게 맞추어 3D 스캔 데이터와 얼굴 이미지의 버덱스를 매치시켜주고, 얼굴 이미지의 해당 버텍스에 들어 있는 칼라 값을 3D 스캔 데이터의 버텍스에 넘겨주는 텍스처 매핑을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면, 좌측, 우측 3장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간단히 멀티텍스처 매핑을 수행하는 방법과 이 때 발생하는 사진 간의 경계선에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에 대해 기술한다.

  • PDF

Face Illumination Normalization based on Illumination-Separated Face Identity Texture Subspace (조명영향 분리 얼굴 고유특성 텍스쳐 부분공간 기반 얼굴 이미지 조명 정규화)

  • Choi, Jong-Keun;Chung, Sun-Tae;Cho, Seong-W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7 no.1
    • /
    • pp.25-34
    • /
    • 2010
  • Robust face recognition under various illumination environments is difficult to achieve. For robust face recognition with respect to illumination variations, illumination normalization of face images is usually applied as a preprocessing step. Most of previously proposed illumination normalization methods cannot handle cast shadows in face images effective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face illumination normalization method based on the illumination-separated face identity texture subspace. Since the face identity texture subspace is construct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effects of illumination variations, the projection of face images into the subspace produces a good illumination-normalized face images. Through experiments,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face illumination normalization method can effectively eliminate cast shadows as well as attached shadows and achieves a good face illumination normalization.

퍼지소속도를 이용한 얼굴 영상 분할

  • 이창수;이정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0.05a
    • /
    • pp.69-7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이미지 안에서의 얼굴 영상 분할을 위해서 데이터로부터 얼굴 영상과 배경 영상의 소속도(membership degree)를 학습시켜 구한다. 그리고 입력 이미지의 각 픽셀 값에 해당하는 소속도를 이용하여 얼굴 영상의 분할을 수행한다. 실험에서는 8-bit 그레이 스케일 영상의 ORL Database를 이용하였다.

  • PDF

Member Verification with Deep Learning-based Image Descriptors (깊은 인공 신경망 이미지 기술자를 활용하는 멤버 분류)

  • Jang, Young Kyun;Lee, Seok Hee;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36-39
    • /
    • 2020
  • 최근 딥 러닝을 이용한 방법들이 이미지 분류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임에 따라, 복잡한 특징을 담고 있는 얼굴 이미지에 대해 이를 적용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이미지로부터 주요한 특징들을 추출하여 간결하게 이미지를 대표할 수 있는 이미지 기술자 (Image descriptor)를 딥 러닝을 통해 생성하는 연구가 인기를 끌고 있다. 이는 딥 러닝 끝 단에 있는 Fully-connected layer 의 출력으로 얻을 수 있으며 이미지의 의미론적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학습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기술자는 실수형 벡터 데이터로서, 한 장의 이미지를 수치화 하여 비슷한 이미지 사이에는 벡터 거리가 가깝게, 서로 다른 이미지 사이에는 벡터 거리가 멀게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통과시켜 얻은 얼굴 이미지 기술자를 활용하여 멤버 분류를 위한 두 개의 인공 신경망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안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얼굴 인식에 널리 사용되는 벤치 마크 데이터셋을 활용하였고, 그 결과 제안된 방법이 높은 정확도로 멤버를 분류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