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얼굴 영상

Search Result 1,52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plitting Method for Head and Face Region using Differential Image (차영상을 이용한 머리와 얼굴영역의 분리 방법)

  • Jeon, Yeong-Cheol;Kim, Seong-Na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73-75
    • /
    • 2007
  • 이 논문은 얼굴인식에 있어서 중요한 얼굴 영역과 머리 영역을 차영상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입력영상에 대한 CMYK 영상 중 K 영상을 가지고 머리 영역을 분리한 후에 YIQ 영상의 Y영상과 머리 영상과의 차영상을 이용하여 얼굴영역을 분리한다. 분리한 머리영역과 얼굴영역에 대하여 라벨링을 하여 각 영역을 얻는다. 제안한 방법은 머리와 얼굴 영역을 뚜렷하게 분리하여 특징 점 추출 시 매우 유용할 것이다.

  • PDF

SVM Base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for Expression Control of an Avatar in Real Time (실시간 아바타 표정 제어를 위한 SVM 기반 실시간 얼굴표정 인식)

  • Shin, Ki-Han;Chun, Jun-Chul;Min, Kyong-Pi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1057-1062
    • /
    • 2007
  • 얼굴표정 인식은 심리학 연구, 얼굴 애니메이션 합성, 로봇공학,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얼굴표정은 사람의 감정 표현, 관심의 정도와 같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얼굴표정 인식은 크게 정지영상을 이용한 방법과 동영상을 이용한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정지영상을 이용할 경우에는 처리량이 적어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얼굴의 변화가 클 경우 매칭, 정합에 의한 인식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동영상을 이용한 얼굴표정 인식 방법은 신경망, Optical Flow, HMM(Hidden Markov Models)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표정 변화를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컴퓨터와의 상호작용에 유용하다. 그러나 정지영상에 비해 처리량이 많고 학습이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실시간 얼굴표정 인식 시스템은 얼굴영역 검출, 얼굴 특징 검출, 얼굴표정 분류, 아바타 제어의 네 가지 과정으로 구성된다. 웹캠을 통하여 입력된 얼굴영상에 대하여 정확한 얼굴영역을 검출하기 위하여 히스토그램 평활화와 참조 화이트(Reference White) 기법을 적용, HT 컬러모델과 PCA(Principle Component Analysis) 변환을 이용하여 얼굴영역을 검출한다. 검출된 얼굴영역에서 얼굴의 기하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의 특징요소의 후보영역을 결정하고 각 특징점들에 대한 템플릿 매칭과 에지를 검출하여 얼굴표정 인식에 필요한 특징을 추출한다. 각각의 검출된 특징점들에 대하여 Optical Flow알고리즘을 적용한 움직임 정보로부터 특징 벡터를 획득한다. 이렇게 획득한 특징 벡터를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하여 얼굴표정을 분류하였으며 추출된 얼굴의 특징에 의하여 인식된 얼굴표정을 아바타로 표현하였다.

  • PDF

Tracking and Detection of Face Region in Long Distance Image (실시간 원거리 얼굴영역 검출 및 추적)

  • Park, Sung-Jin;Han, Sang-Il;Cha, Hyu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5.11a
    • /
    • pp.201-204
    • /
    • 2005
  • 동영상에서 얼굴을 인식하는 기술은 Eigen-Face를 이용하는 방법, 템플릿을 이용하는 방법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들 기법들이 모두 동영상에서 얼굴영역을 검출했을지는 모르지만 얼굴영역이 영상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크기를 일정하게 제한하고 있다. 그 중에서 입력되는 영상이 촬영 도구로부터 제한된 거리에서 촬영되어 얻어 지거나 실험을 통해 얻어진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영역을 검출한다. 하지만 실제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얼굴영역 검출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제한된 입력 영상뿐만이 아니라 어떠한 환경에서의 입력 영상에서도 얼굴영역을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근거리뿐만이 아니라 원거리에서 획득한 영상에서도 얼굴영역을 검출할 수 있으며, 얼굴의 특징 추출과 예측기법을 통하여 보다 향상된 얼굴영역 검출을 할 수 있다. 움직임 정보와 얼굴색상정보를 이용하여 8x8블록을 만들고 이런 블록 정보들을 특정한 규칙에 적용함으로써 얼굴영역을 후보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후보 얼굴영역의 고유한 특징들을 추출하고 칼만 필터를 적용한 예측기법을 통하여 얼굴영역 판단하게 된다.

  • PDF

A Study On Holistic Synthesis Human Face Images (얼굴 영상의 합성에 관한 연구)

  • 박호식;배철수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6 no.4
    • /
    • pp.645-651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automatically synthesized human fare images from holistic descriptions. We compactly represent the face set by a small set of prototypes, which can be used in simple ways generated controlled morphings. This becomes possible because separation of 2D-shape and texture provides a faithful, closed and convex representation of images, and smooths the mapping between images and their properties. With this approach, the user watches an images being continuously morphed according to his indications, and the synthesized images always obey the natural physiognomic constraints.

Reconstruction of High-Resolution Facial Image Based on Recursive Error Back-Projection of Top-Down Machine Learning (하향식 기계학습의 반복적 오차 역투영에 기반한 고해상도 얼굴 영상의 복원)

  • Park, Jeong-Seon;Lee, Seong-Wha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4 no.3
    • /
    • pp.266-274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a new reconstruction method of high-resolution facial image from a low-resolution facial image based on top-down machine learning and recursive error back-projection. A face is represented by a linear combination of prototypes of shape and that of texture. With the shape and texture information of each pixel in a given low-resolution facial image, we can estimate optimal coefficients for a linear combination of prototypes of shape and those that of texture by solving least square minimizations. Then high-resolution facial image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optimal coefficients for linear combination of the high-resolution prototypes. In addition, a recursive error back-projection procedure is applied to improve the reconstruction accuracy of high-resolution facial image. The encouraging results of the proposed method show that our method can be u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face recognition by applying our method to reconstruct high-resolution facial images from low-resolution images captured at a distance.

Facial Region Detection Using the Multivariable Histogram Technique (다변수 히스토그램 기법을 이용한 얼굴 영역 추출)

  • 황선철;김준영;김우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574-576
    • /
    • 2000
  • 디지털 영상 처리에서 사람 얼굴 인식은 여러 응용 분야에 요구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얼굴이 있는 칼라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자동으로 추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기술한다. 영상에 있는 얼굴 및 복잡한 배경과 다른 구성 성분들을 분류시켜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변수 히스토그램 기법을 이용하여 얼굴 후보 영역과 머리 후보영역을 추출하고, 머리와 얼굴 후보 영역들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최종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인터넷상에 있는 128개의 영상을 입력 데이터로 실험한 결과, 인식 시간이 빠르고 영상의 배경에도 강건한(robust) 효율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Image Scale Normalization Based on the Face Detection (얼굴 영역 검출 기반한 영상 크기 정규화)

  • 이혜현;임은경;김민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67-27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얼굴 영상들을 대상으로 얼굴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얼굴 영역을 기준으로 증명 사진의 규격에 맞게 영상을 정규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얼굴 영역의 추출을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피부색 확장을 통하여 얼굴 후보 영역을 추출하고. 얼굴 기관의 위치 정보와 얼굴 모양에 대한 통계치를 사용하여 최종 얼굴 영역을 결정한다 추출된 얼굴 영역과 배경 영역의 크기에 대한 비례 관계는 증명사진에 대한 통계조사에 의해 산출된 규칙을 적용하여 정규화한다. 제안된 방법은 다양한 배경을 갖는 130개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Face Detection Performance Enhancement Using FLD (FLD를 이용한 얼굴 검출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 남미영;이필규;김광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04a
    • /
    • pp.225-230
    • /
    • 2004
  • 얼굴 검출은 디지털화된 임의의 정지 영상 혹은 연속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얼굴이 존재할 경우 영상 내 얼굴의 위치, 방향, 크기 둥을 알아내는 기술로 정의된다. 이러한 얼굴 검출은 얼굴 인식이나 표정인식, 헤드 재스쳐 등의 기초 기술로서 해당 시스템의 성능에 매우 중요한 변수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영상내의 얼굴은 표정, 포즈, 크기, 빛의 방향 및 밝기, 안경, 수염 둥의 환경적 변화로 인해 얼굴 모양이 다양해지므로 정확하고 빠른 검출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피셔의 선형 판별 분석을 이용하여 몇 가지 환경적 조건을 극복한 정확하고 빠른 얼굴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포즈와, 배경에 무관하게 얼굴을 검출하면서도 빠른 검출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계층적인 방법으로 얼굴 검출을 수행하며, 휴리스틱한 방법, 피셔의 판별 분석을 이용하여 얼굴 검출을 수행하고 검색 영역의 축소와 선형 결정의 계산 시간의 단축으로 검출 응답 시간을 빠르게 하였다 추출된 얼굴 영상에서 포즈를 추정하고 눈 영역을 검출함으로써 얼굴 정보의 사용에 있어 보다 많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Real-time Face Extraction for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내용기반 영상 검색을 위한 실시간 얼굴 영역 추출)

  • 이미숙;이성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6.06a
    • /
    • pp.169-174
    • /
    • 1996
  • 객체 인식은 대용량의 영상 데이터를 분석, 탐색하고 재구성하기 위한 내용기반 영상 검색의 매우 중요한 분야이며, 특히 인간의 얼굴은 검색 영상 내에서 대부분 주요한 장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 비중이 매우 크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기반 영상 검색을 위한 실시간 얼굴 영역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다층 피라미드 구조와 간단한 형태의 머리 형판을 사용하여 얼굴의 후보 영역을 추출한 후, 보다 정확한 얼굴 영역을 추출하기 위하여 후보 영역 내에서 눈의 위치를 탐색하고, 두 눈의 위치를 기준으로 최종적인 얼굴 영역을 추출하였다. 얼굴 후보 영역 추출 단계에서는 얼굴의 형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모자이크 형판을 사용하여 머리와 턱을 포함한 얼굴 영역을 추출하였으며, 눈 위치 추출 단계에서는 눈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눈의 탐색 영역을 결정하고, 탐색 영역 내에서 이진 영상 형판을 사용하여 눈의 위치를 추출한 후, 눈 영역의 무게 중심을 눈의 중심 위치로 설정하였다. 마지막 얼굴 영역 추출단계에서는 두 눈의 위치를 기준으로 사각형의 영역을 얼굴 영역으로 추출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1700장의 다양한 영상에 대하여 실험하였으며, 실험 결과 한 장의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Pentium 166Mz의 PC상에서 평균 3.2초의 처리 속도와 91.7%의 추출률을 보임으로써, 실시간 얼굴 영역 추출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A Facial Image Segmentation for Video Coding and its Recognition Based on DWT

  • Lim, Chun-Hwan;Park, Jong-A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3B
    • /
    • pp.338-346
    • /
    • 2001
  • 이 논문에서는 잡음에 대해 유연성이 있는 신경망과 차영상법-DCT를 이용한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동일환경(조도의 세기, 얼굴에서 카메라까지의 거리)에서 연속적으로 두 개의 영상을 캡쳐했다. 이 때 한 영상은 얼굴을 포함하지 않고 다른 영상은 얼굴을 포함하게 된다. 차영상 방법을 이용하여 두 개의 이미지로부터 얼굴영상과 배경영상을 분리하고 그 다움에 분리된 얼굴영역에서 사각영역을 추출하여 이 영역을 얼굴의 특징영역으로 이용하였다. 이 사각 영역은 눈, 코, 입, 눈썹 등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이 영역에 대해 DWT 연산을 수행한후 특징 백터를 추출하였고, 추출된 특징벡터는 정규화 되어 신경망의 입력벡터로 사용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 학습된 얼굴영상에 대해서는 100% 인식률을 보였고 학습되지 않는 얼굴 영상에 대해서는 92.25%의 인식률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