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얼굴 마스크 탐지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mplementation of Face Mask Detection (얼굴 마스크 탐지의 구현)

  • Park, Seong Hwan;Jung, Yu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17-19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19 사태에 대비하여 실시간으로 마스크를 제대로 쓴 사람과 제대로 쓰지 않은 사람을 구분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하여 모델 학습 시에 합성곱 신경망(CNN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를 사용한다. 학습된 모델을 토대로 영상에 적용 시 하르 특징 분류기(Haar Cascade Classifier)로 얼굴을 탐지하여 마스크 여부를 판단한다.

  • PDF

Automatic Attendance Check System Using Face Recognition In A Masked Environment (마스크를 착용한 환경에서 얼굴 인식을 활용한 자동 출석체크 시스템)

  • Kim, Young-Kook;Lim, Chae-Hyun;Son, Min-Ji;Kim, M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23-2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CCTV를 통해 얻은 영상에서 얼굴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출석 여부를 체크하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이 시스템은 CNN을 바탕으로 RetinaFace 모델을 사용하여 얼굴을 탐지하고, 탐지된 얼굴을 ArcFace 모델로 R512의 목표 공간으로 임베딩한다. 기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얼굴과 CCTV를 통해 얻은 얼굴들의 임베딩 벡터 사이의 Angular Cosine Distance를 측정하여 동일 인물인지 판단하는 매칭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두 모델을 동시에 사용할 최적의 환경을 파악하고, 마스크 착용으로 얼굴의 하단부가 가려지는 폐색 문제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매칭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Face Mask Detection using Neural Network in Real Time Video Surveillance (실시간 영상 기반 신경망을 이용한 마스크 착용 감지 시스템)

  • Go, Geon-Hyeok;Choe, Seong-Jin;Song, Do-Hun;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208-211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합성곱 신경망을 활용하여 영상에서 마스크 착용 및 미착용 상태를 탐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유행에 따라 감염 및 확산방지를 위해 마스크 정상적 착용이 요구되는데 몇몇 사람들은 이를 지키지 않고 있으며 현재의 감시 시스템은 입구에서 마스크 착용 여부를 검사하는 방식으로 작동될 뿐 공간에 입장한 다음 착용 여부를 알 수 없다. 제안하는 방법은 합성곱 신경망을 통해 영상에서 얼굴을 탐지하여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수사람들의 마스크 착용 및 미착용 상태를 판별하는 방법으로 설계하였다.

  • PDF

Mask detection in complex scenes using an ensemble of YOLO models (YOLO 모델 앙상블을 이용한 복잡한 장면에서의 Mask Detection 기법)

  • Hu, Xufeng;Lim, Hyunseok;Gwak, J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97-98
    • /
    • 2022
  • 코로나바이러스-19 팬데믹 이후 매일 수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보건당국은 사람들의 생활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공항, 정류장 등 공공장소에서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라고 지시하고 있다. 마스크를 착용하는 목적은 감염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바이러스 전파와 확산을 막기 위한 것이다. 공공장소에서는 많은 인원에 대한 일괄적인 마스크 착용 검사를 하기 어렵고, 육안으로 확인하는 마스크 착용 검사 방법은 인파가 몰리는 장소에서 검사 효율이 떨어지며 누락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입력 이미지에 존재하는 얼굴 영역을 YOLOv4와 YOLOv5 모델을 통해 예측하여 마스크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되, 앙상블 기법을 적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BB(Bounding Box) 추출 및 마스크 착용 탐지 기법을 적용한다. 따라서 공공장소의 마스크 착용실태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Face Disguise Detection System Based on Template Matching and Nose Detection (탬플릿 매칭과 코검출 기반 얼굴 위장 탐지 시스템)

  • Yang, Jae-Jun;Cho, Seong-Won;Lee, Kee-Se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2 no.1
    • /
    • pp.100-107
    • /
    • 2012
  • Recently the need for advanced security technologies are increasing as the occurrence of intelligent crime is growing fastly. Previous methods for face disguise detection are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accuracy in order to be put to practical us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disguise detection method using the template matching and Adaboost algorithm. The proposed system detects eyes based on multi-scale Gabor feature vector in the first stage, and uses template matching technique in oreder to increase the detection accuracy in the second stage. The template matching plays a role 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erson of the captured image has sunglasses on. Adaboost algorithm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erson of the captured image wears a mask.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the previous methods in the detection accuracy of disguise faces.

Facial Feature Extraction in Reduced Image using Generalized Symmetry Transform (일반화 대칭 변환을 이용한 축소 영상에서의 얼굴특징추출)

  • Paeng, Young-Hye;Jung, Sung-Hwa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7 no.2
    • /
    • pp.569-576
    • /
    • 2000
  • The GST can extract the position of facial features without a prior information in an image. However, this method requires a plenty of the processing time because the mask size to process GST must be larger than the size of object such as eye, mouth and nose in an image. In addition, it has the complexity for the computation of middle line to decide facial features. In this paper, we proposed two methods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 of the conventional method. First, we used the reduced image having enough information instead of an original image to decrease the processing time. Second, we used the extracted peak positions instead of the complex statistical processing to get the middle line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e tested 200 images including, the front, rotated, spectacled, and mustached facial images. In result, the proposed method shows 85% in the performance of feature extraction and can reduce the processing time over 53 times, compared with existing method.

  • PDF